마땅한 용도 없이 동네 곳곳 방치된 땅에 시민의 눈길과 발길이 머물 수 있는 정원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광진구 구의동 27-4번지 등 유휴공간 7개소(3,822㎡)에 정원을 조성하는 ‘생활권 마을 정원 확충 사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시는 시유재산 중 활용이 중단된 공지 3개소 중 지난 6월 ▴광진구 구의동 27-4번지 인근 오랜 기간 비워져 있던 공지에 왕벚나무, 수국, 실유카, 알리움 등이 식재된 마을 정원을 조성했다. 하반기 중으로 ▴금천구 독산동 1063-2 ▴서초구 우면동 42-5번지 일대에도 정원을 선보일 예정이다.
시는 금천구 독산동 1063-2 등 2개소에 대해 9월 중으로 공유재산심의 등 행정절차를 마친 후 정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원 조성이 마무리된 광진구 구의동 주민은 “텅 빈 땅 주변으로 공사장 가림막처럼 높은 펜스가 설치돼 있어서 지나갈 때마다 갑갑한 느낌이었는데 이제 밤에는 조명이 들어오는 정원 생겨 요즘에는 매일 저녁 산책하러 나오고 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시는 또 기존에 녹지가 일부 조성되어 있었던 ▴성동구 금호동2가 511 일대 ▴동대문구 전농동 150-63번지 ▴성북구 석관동 309-4등 3개소(2,838㎡)에 예산 5억 원을 투입해 녹지공간을 더욱 확충하여, 주민에게 새로운 정원을 선보인다.
지난 6월, 정원이 조성된 성동구 금호동 금호초등학교 학생들은 “이전에는 지나갈 때에 조금 썰렁했는데 예쁜 꽃과 앉아서 쉴 수 있는 벤치도 생겨서 아늑하고 더 안전해진 느낌”이라고 말했다.
동대문구 전농동 150-63번지 등 2개소는 8월까지 조성 완료해 주민들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생활권 녹지 확충을 위해 지난 '20년부터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협업해 공사가 매입한 빈집 부지를 정원으로 조성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시는 SH와 토지 무상사용 협약을 체결하고 ▴동작구 상도동 237-13번지(약 135㎡) 빈집 부지에 오는 연말까지 마을 정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마을 정원은 일상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시민 생활 속 가장 가까운 녹지공간이자 주민 공동체 회복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라며 “앞으로도 자투리땅을 적극 발굴해 생활 속에서 마주하는 녹색 공간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업대상지 목록
□ 2025년 사업대상지 (단위 : 백만원)

□ 대상지 위치도

마을정원 조성 사진

마을정원 조성사업 Q&A
|Q1| 마을정원 조성사업이란 무엇인가요?
◆ 도시 과밀화로 시민 일상에 가까운 생활권 공원녹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서울시와 각 자치구에서 공원녹지가 부족한 지역에 소규모 부지를 매입하거나 기존 미활용 공유지들을 활용하여 조성한 ‘마을단위 주민휴식공간’입니다.
|Q2| 정원이 조성된 부지는 어떤 곳인가요?
◆ 시유지이지만 사용이 중단된 공지, SH공사가 매입한 빈집 부지 또는 기존에 녹지가 일부 있었던 곳이 포함되며, 주로 도심속 방치된 공간이 대상입니다.
|Q3| 앞으로의 마을정원 조성사업 추진계획은?
◆ 서울시에서는 도심 속 방치된 유휴공간을 적극 발굴하여 시민들이 일상 속 정원을 꾸준히 확대할 계획이며, 서울시민 모두 5분 이내 정원을 만나고 즐길 수 있도록 관련 사업을 적극 확대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