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국가연구개발(R&D) 사업’ 통합실증지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울산시가 미래형 하늘길 교통체계(UAM)의 선도도시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는 국토부가 최근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국가연구개발(R&D) 사업’ 통합실증지로 선정하고 15일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국가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 사업 규모는 총 4,300억 원으로, 울산 울주군 길천 일원에서 오는 2027년부터 2030년까지 연구(R&D) 실증이 진행된다.
이번 사업은 ▲인공지능(AI) 기반 항행·교통관리 기술 ▲수직 이착륙장(버티포트) 운용·지원기술 ▲안전인증·실증기술 등 3개 분야 13개 과제로 추진된다.
특히 국내에서 개발한 교통관리·수직 이착륙장(버티포트)·항행 설비 등을 세계적 수준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실증용 기체도 도입할 예정이다.
울산시와 국토부, 기상청이 공동 추진하는 이번 연구개발(R&D)은 민관 협의체인 ‘유에이엠(UAM) 팀코리아’의 13개 실무단 전문가 80여 명이 지난 1월부터 기획에 참여했다.
또한 유에이엠(UAM) 팀코리아와 220여 개 산·학·연 기관이 공청회 등을 거쳐 계획을 보완했다.
울산시는 이번 실증사업 추진으로 이착륙장(버티포트), 지상지원, 교통·운항·공역 관리, 항로관제, 디지털복제(트윈) 등 도심 항공 교통(UAM)산업 전반의 기반(인프라)이 울산에 집적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지난 2024년부터 진행 중인 도심항공교통(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과 연계해 도심항공교통(UAM) 산업을 선점하고 도심항공교통(UAM) 선도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이 국토부의 실증연구지로 선정됨에 따라 도심항공교통 관련 산업을 선도하고 미래 이동수단(모빌리티) 산업 전환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미래 혁신 교통체계의 중심도시로서 울산의 입지를 굳힐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사업개요. 끝.
참고 |
| K-UAM 안전운용체계 실증(RISE) 기술개발 사업 개요 |
□ 개요
ㅇ (목적) K-UAM 본격 도심진입기 준비를 위한 미래지향적 기술성‧안전성‧수용성이 검증된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 고도화 및 시험평가·실증으로 新 항공교통체계 활성화 기반 조성에 기여
※ K-UAM 안전운용체계 실증(RISE)기술개발(Real-world Integration and Scalable Evaluation) : 기술고도화 → 시제품 개발 → 단위실증 → 연계실증시험 → 상용화 실증 → 상용화
ㅇ (기간/예산) ’27~’30 / 4,288억원(국비 3,072·지방비 499·민간 717)
- 기존 선행사업(’24~’26, 1천억) 성과를 기반으로 연계 추진
| < 선행 사업 예타 통과 (대안 : 단계별 추진) > |
|
|
| |
ㅇ (선행사업, 1단계) 3년(’24∼’26년), 1,007억원(국고 803, 민간 204), 중밀도 교통관리, 버티포트 운용, 인증체계(국토부), 기상관측·예측(기상청) 7개 과제 기본·상세설계 기술개발
☞ (정책제언) 선행사업(핵심기술개발, 1단계) 목표·성과(상세설계 및 시작품) 확인 후, 후속사업(실증(RISE)기술개발, 2단계) R&D(시제품 개발 및 단위·연계 실증) 추진 |
ㅇ (사업구조) 3개 전략분야(① AI 기반 항행·교통관리기술 ② 버티포트 운용·지원기술, ③ 안전인증·실증기술) 13개* 연구과제로 구성
* 국토부 12개(AI 기반 항행·교통관리·버티포트 운용·지원·안전인증·실증기술),
기상청 1개(도심 저고도 기상관측·예측기술 고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