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사장 임상준)은 2025년 K-eco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2010년부터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가입하여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에 관한 10대 원칙을 준수해 오고 있으며, 2012년부터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여 올해 발간 10회째를 맞는다.
공단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인터랙티브 PDF 형식으로 제작하여 편의성을 높였으며, 환경공단 누리집(www.kec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보고서는 기업, 시민단체, 정부, 기업 등 폭넓은 이해관계자 인터뷰와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하여 핵심이슈를 도출했다. 보고서에는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는 환경전문 공공기관으로서 ESG,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세부전략과 활동, 성과를 종합적으로 담았다. 그리고 ESG영역과 별도로 환경산업 글로벌 진출 지원성과 등 G(글로벌) 성과를 특별 구성(ESG+G) 하였다.
* 기업의 사업활동이 환경과 사회 등 외부에 미치는 영향과, 외부 환경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등한 가치로 평가하는 방식
공단은 환경분야(E)에서 △ 탄소중립 로드맵 실행 △ Scope3 배출량 4개 항목에 대하여 954톤을 공시하는 등 기관 자체의 탄소중립 노력 뿐만 아니라 △ 배출권거래제 제도개선으로 발전부문 16.5백만 CO2 저감 △ 기후대응기금 온실가스 감축효과 13.8% 증가 △ 온실가스감축인지예산제로 344만톤CO2eq 감축 △ 243개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 △ 친환경모빌리티 충전 인프라 확산 등 국가 및 사회 전반에 걸쳐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고 있다.
사회분야(S)에서는 △ KOSHA-MS 전사 인증 통합을 통한 안전경영 고도화로 공공기관 최초 2년 연속 국토부 안전관리 수준평가 ’매우우수‘ 등급 달성, △ 협력사 안전지원, △ 사회형평채용, △ 스마트생태공장 98개소 지원(누적 290개소), 상생협력 실증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탄소배출 저감 설비와 중소기업 환경혁신 기술 실증화를 지원하고 있다.
거버넌스 분야(G)에서는 △ 노동이사제를 운영하고 △ 고품질 환경데이터 개방을 선도하여 공공데이터 제공운영 실태평가 최고등급을 달성하였다. 또한 △ 기관경영과 연계하여 ESG경영 중장기전략을 수립·실행하고 △ 성과측정을 통하여 PDCA 성과관리를 하고 있다.
아울러 △ CBAM(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을 위한 헬프데스크 운영 및 해설서 발간, △ 물산업 및 중소·중견기업 글로벌 진출지원, △ 글로벌 사회공헌, △ 국제 환경전문가 양성 등 글로벌 환경분야 지속가능경영에도 힘쓰고 있다.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공단은 앞으로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과 투명한 ESG경영공시를 통하여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ESG경영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환경공단은 2025년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 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