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인천시, 역대 최대 국비 5.8조 확보 … 중앙부처 지속적인 협력 성과

- 증액 없이 감액안만 반영함에도 불구, 인천시 확보액 3,846억 증가(7.0%↑) -
- 연말 보통교부세 확정 시, 3년 연속 국비 6조 원 초과 확보 예상 -
- 유정복 시장, “지속적인 중앙부처 협력으로 성과 이끌어”-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2025년도 예산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국고보조금 5조 8,697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확보한 5조 4,851억 원보다 3,846억 원(7.0%) 증가한 규모로, 지난해에 이어 3년 연속 5조 원을 초과하는 국비를 확보했다. 특히,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와 정부예산안이 증액 없이 감액만 반영되어 국회에서 통과되는 유례없는 상황에서도 전년도보다 더 많은 국비 예산을 확보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된다.

 

연도별 확보 현황

 년도별 확보 현황

 

 



이번에 확보한 주요 국비 사업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3,630억 원,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연장 793억 원 ▲인천발 한국고속철도(KTX) 350억 원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232억 원 ▲노인 일자리 지원 1,204억 원 등이다. 이는 인천시의 미래 성장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복 시장은 올해 2월부터 국비 확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국비 사업을 선정해 중앙정부에 반영을 요청했다. 5월부터 12월까지 기획재정부 및 중앙부처 장·차관, 국회 예결위원장, 상임위원장 등과 수시로 면담과 연락을 통해 국비 확보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 기재부 장관 면담, 예산협의회, 당정협의회, 예결위원장 면담, 중앙부처 장차관, 실·국장 건의 등 18회 건의 방문    


한편, 시는 이번 국회에서 증액되지 못한 주요 건의 사업들에 대해 추경을 통해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국비 추가 확보 활동을 계속할 예정이다. 증액 건의 주요 사업으로는 ▲서해 5도 정주생활 지원금(72억 → 87억, 9.1억 증) ▲제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 행사(1.8억 → 19억, 17.2억 증) ▲인천감염병전문병원 유치 설립(2억, 순증) ▲인천형 출생정책 ‘아이() 플러스 1억드림’(505억, 순증) 등이 포함된다.


유정복 시장은 “어려운 재정 상황에서도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아낸 중요한 예산을 확보한 것은 인천시와 중앙정부, 국회와의 협력 결과”라며 “시민의 행복과 인천의 미래를 위한 소중한 예산인 만큼, 주요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참고 자료

                
  분야별 주요 국비사업 현황 

분 야

 

주요 국비사업

 

 

 

 

 

 

철도·도로 등
기반시설 분야

(5,905억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 3,630억원(‘243,562, 68)

서울도시철도 7호선 연장 : 793억원(‘241,145,, 352)

인천발 KTX : 350억원(‘24746,, 396)

영종~신도 도로 건설 : 261억원(‘24251,, 10)

공단고가교~서인천IC 혼잡도로 : 108억원(‘2430,, 78)

 

 

 

 

친환경 분야
(2,276억원)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 989억원(‘24717, 272)

하수도 설치 및 관로 정비 : 404억원(‘24348, 56)

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 : 153억원(‘2411,, 142)

 

 

 

 

미래산업 분야
(1,493억원)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 232억원(‘24200, 32)

업단지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 80억원(‘24 30, 50)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 : 44억원(‘24 24, 20)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 946억원(‘241,243,, 297)

 

 

 

 

일자리·창업 분야

(1,308억원)

 

노인 일자리 지원 : 1,204억원(‘241,168,, 36)

장애인 일자리 지원 : 77억원(‘2474,, 3)

청년 일자리 지원 : 27억원(‘2431, 4)

 

 

 

 

복지 분야

(37,629억원)

100억원 이상

 

기초연금 지급 : 11,195억원(‘2410,272, 923)

생계급여 : 6,280억원(‘245495, 785)

영유아보육료 : 2,203억원(‘241,768, 435)

주거급여 : 2,384억원(‘242,148, 236)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