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조은희 의원“경북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세 심각...

충분한 예산과 전문 예찰 인력으로 선제적 방제 시스템 구축해야 ”

 
  - 경북도내 23개 시군 가운데 21곳에서 재선충병 발생
  - 포항,경주,안동,구미,고령지역 피해 심각..전체 피해본수의 85%차지
  - 22년 8월에는 청정지역이던 청송에서도 신규발생 
  - 2017년 391억이던 방제예산, 2021년 196억, 2022년 282억으로 감소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울 서초갑)은 17일 열린 경상북도 국정감사에서 경북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이 매년 발생했고 지난해에만 11만3천본이 고사했는데도 방제예산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지적하고 선제적 방제를 위한 인력과 예산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경북도가 조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경북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본수는 11만3천본에 이르며 이는 지난해 전국 총 피해본수 37만7천본의 30%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8월에는 그동안 소나무재선충병이 없었던 청송에서 신규 발생하여 도내 울릉과 영양을 제외한 21개 시군에서 모두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 가운데 포항시, 경주시, 안동시, 구미시, 고령군의 피해가 특히 심각하여 전체 피해본수의 8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피해고사목 11만3천본을 제거하고 예방나무주사 등의 방제조치를 취해왔으며 앞으로 항공방제 및 감염우려목을 포함한 피해고사목을 제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조은희 의원은 이철우 지사에게“소나무재선충병은 감염되면 소나무가 한 달 만에 말라죽기 시작하고 고사율이 100%에 달해 피해를 확인하게 되면 이미 되돌릴 수 없어 선제적 방제만이 유일한 해법으로 알려져 있다. 사후약방문이 아닌 유비무환의 방제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경상북도에서는 매년 소나무재선충병이 발생했는데도 2019년 326억이던 방제예산을 2020년에 227억, 2021년에는 196억으로 내리더니 올해가 되어서야 282억을 배정하는데 그쳤다”,“예산을 평년과 같이 유지하며 선제적 방제에 나섰더라면 피해확산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경북도가 항공예찰로 피해목을 빠짐없이 찾아내 선제적인 방제조치에 나설 수 있도록 체계적인 인력과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며 이철우 지사의 관심과 노력을 당부했다.  

경상북도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및 방제현황

 
   발생 현황
 ❍ 최초발생 : 2001년 구미시 오태동
 ❍ 발생현황(천본) :  (’17)193→(’18)149→(’19)134→(’20)113→(’21)113
    ※ 2021년 3월말 기준 전국 총 피해본수(377천본)의 30% 차지
 ❍ 피해지역 : 21개 시·군
   ∙ (미발생)울릉, (’19년청정환원)영양, (’22. 8) 청송 신규발생
   ∙ 소나무류 반출금지구역 : (’21년말)1,016천ha→(’22.9)1,091천ha
    ※ 경상북도 전체 면적(1,903천ha)의 57%, 피해지역 증가
 ❍ 피해‘중’지역 4개소 → 5개소(고령 추가)
   ∙ 피해‘중’지역(1만~3만본) 5개소 : 포항,경주,안동,구미,고령
   ∙ 피해‘경’지역(1천~1만본) 7개소 : 김천,상주,군위,영덕,청도,성주,칠곡
   ∙ 피해‘경미’지역(1천본 미만) 9개소 : 영주,영천,문경,경산,의성,예천,봉화,울진, 청송
      ※  포항시, 경주시, 안동시, 구미시, 고령군이 전체 피해 본수의 85% 차지

    방제 실적(21.4~ 22. 3)
 ❍ 피해고사목 113천본 제거 완료(전년도와 비슷함)
   ∙ 전국 피해현황 : 377천본(경북113, 경남96, 제주30, 전남21, 경기16 등)
 ❍ 선단지 및 중요소나무림 예방나무주사 691ha 완료

  향후계획
 ❍ ’22.10.~’23.3 : 재선충병 피해고사목(감염우려목) 제거
 ❍ ’23.  1. ~  3. : 예방나무주사 2,000ha, 항공방제 1,500ha 실시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방제예산 감소와 기후변화로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증식에 유리한 환경 조성으로 밀도가 높고 활동량이 많아 확산 중

   

참고

 

연도별, 시군별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현황 (경북 제출자료)


                                                                                                                                           (단위 : )

시군

’15. 4. 1~

’16. 3월말

’16. 4. 1~

’17. 3월말

’17. 4. 1~

’18. 3월말

’18. 4. 1~

’19. 3월말

’19. 4. 1~

’20. 3월말

’20. 4. 1~

’21. 3월말

’21. 4. 1~

’22. 3월말

비고

381,511

311,972

193,480

149,729

134,330

113,872

113,668

 

포항시

159,812

106,521

61,957

28,513

23,240

15,689

16,845

 

경주시

90,755

58,094

46,028

40,128

32,922

21,692

21,848

 

김천시

337

397

283

548

692

2,244

1,297

 

안동시

71,849

69,157

30,949

31,906

28,384

26,786

24,521

 

구미시

48,568

65,387

40,655

33,237

29,774

24,736

22,815

 

영주시

6

12

11

20

13

206

784

 

영천시

7

15

110

201

261

387

775

 

상주시

2,508

1,329

377

393

468

1,187

1,216

 

문경시

 

1

 

 

 

2

13

 

경산시

68

9

14

18

16

25

29

 

군위군

27

100

124

600

579

1,439

1,482

 

의성군

6

23

68

64

588

662

813

 

청송군

 

 

 

 

 

 

 

228

3본신규발생

영양군

 

1

 

 

 

 

 

19년 청정환원

영덕군

1,313

882

976

885

366

590

1,182

 

청도군

740

2,343

4,265

3,699

4,917

3,961

2,204

 

고령군

2,201

2,347

4,507

3,486

6,972

8,995

10,230

 

성주군

1,395

4,193

2,436

3,498

3,085

2,736

5,051

 

칠곡군

1,919

1,161

714

2,532

2,050

2,517

2,499

 

예천군

 

 

1

1

1

16

58

 

봉화군

 

 

5

 

2

1

6

 

울진군

 

 

 

 

 

1

 

 

울릉군

 

 

 

 

 

 

 

 

 

방제예산

(억원)

(16)380

(17)391

(18)309

(19)326

(20)227

(21)196

(22)282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