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신용보증기금 태양광 발전시설자금 보증 1,446건에 7천억원에 달해! 보증 절반은 文정부 임기 내 발생!

태양광발전 사업 영위에 소요되는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신용보증기금의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상품 판매금액이 7천억원이나 되며, 문재인 정부 임기 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신용보증기금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내역』을 살펴보면, 최초 판매시기인 2009년~2022년 8월까지 13년여간 판매된 총 보증 건수는 1,446건이며, 보증금액은 6,99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도별 신용보증기금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내역을 살펴보면, 보증이 문재인 정부 임기 동안 집중되었을 확연히 알 수 있다.

실제 문재인 정부 출범 前 연도인 2016년 同 상품 보증 건수는 83건(335억원)이었으나 2017년 175건(600억원)⇨2018년 250건(873억원)⇨2019년 216건(666억원)⇨2020년 49건(159억원)⇨2021년 26건(107억원)⇨2022년 8월까지 9건(14억원)이 판매되었다.

즉, 문재인 정부 출범과 동시에 임기 3년차까지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다가 임기 후반부터 급격히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 임기인 2017년~2021년까지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건수는 총 716건(49.5%)으로 전체 절반 가까이가 문재인 정부 임기 내 판매되었다.

현재(2009년~2022년 8월)까지 신용보증기금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의 부실 내역을 살펴보면, 총 64건(4.4%)에 금액은 77억원(1.1%)이며, 대위변제 규모는 17건에 71억 100만원이었다.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실적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①경상북도가 293건(1,801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②전라북도 232건(1,022억원), ③경기도 180건(468억원), ④강원도 167건(652억원), 전라남도 139건(807억원) 등의 순이다.

또한 ‘태양광 발전시설자금 보증’ 부실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자체는 ①전라북도로 부실규모는 총 18건에 7억원이다.

현재(2022. 8월말 기준)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잔액은 총 414건에 673억원이며, 가장 많은 보증 잔액이 있는 지자체는 경상북도(96건/222억원)이다.

강민국 의원은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마저도 그 절반이 문재인 정부 임기 내 팔렸다는 것은 文정부의 태양광 광풍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함을 입증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추가된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 당국은 태양광 대출 사업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검증이 진행 중인 만큼 보증에 대해서도 꼼꼼히 들여봐야 하고, 부실 가능성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첨부 : 신용보증기금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현황 >

                                                                            2022. 9. 30.
                                                                       국회의원 강 민 국

< 첨부 : 신용보증기금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현황 >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현황 및 연체(부실) 실적(2009~20228월말까지)

(단위, 억원, %)


연도

보증

부실

건수(A)1)

금액(B)

건수(a)1)

금액(b)2)

 

비중(a/A)

 

비중(b/B)

2009

245

2,248

1

0.4

-

-

2010

172

945

2

1.2

1

0.1

2011

52

259

5

9.6

13

4.8

2012

19

109

11

57.9

57

52.6

2013

23

211

12

52.2

-5

-2.5

2014

52

293

11

21.2

9

3.1

2015

75

178

2

2.7

-4

-2.4

2016

83

335

2

2.4

-2

-0.7

2017

175

600

0

-

-0

-0.1

2018

250

873

7

2.8

2

0.2

2019

216

666

2

0.9

-0

-0.1

2020

49

159

1

2.0

1

0.4

2021

26

107

6

23.1

5

4.4

20228

9

14

2

22.2

3

21.2

합계

1,446

6,997

64

4.4

 77

1.1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대위변제 및 회수 실적(2009~20228월말까지)

(단위, 억원, %)


연도

대위변제

구상권 회수

건수(A)1)

금액(B)

건수(a)1)

금액(b)2)

 

비중(a/A)

 

비중(b/B)

2009

-

-

-

-

-

-

2010

1

0.94

1

100

0.95

100.1

2011

-

-

-

-

-

-

2012

4

39.05

4

100

10.50

26.9

2013

3

7.01

6

200

6.17

88.1

2014

2

17.13

6

300

8.37

48.9

2015

1

0.36

 2

200

13.83 

3809.0

2016

2

1.23

3 

150

0.74 

60.5

2017

1

1.04

 2

200

0.36 

34.5

2018

-

-

3 

-

 1.02

-

2019

-

-

1 

-

 0.03

-

2020

1

1.72

1 

100

 0.01

0.3

2021

2

2.52

2 

100

 0.07

2.7

20228

-

-

2

-

2.55

-

합계

17

71.01

32

 

44.06

 

  지역별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현황 및 연체(부실) 실적(2009~20228)

(단위, 억원, %)


지방자치단체

보증

부실

건수(A)

금액(B)

건수(C)1)

금액(D)2)

 

비중(C/A)

 

비중(D/B)

경상북도

293

1,801

11

3.8

14

0.8

전라북도

232

1,022

18

7.8

7

0.7

경기도

180

468

4

2.2

2

0.4

강원도

167

652

1

0.6

-

-

전라남도

139

807

5

3.6

16

2.0

충청북도

127

432

1

0.8

1

0.2

충청남도

122

498

11

9.0

33

6.6

경상남도

116

802

10

8.6

5

0.6

제주도

24

225

-

-

-

-

대구광역시

10

23

-

-

-

-

부산광역시

9

76

1

11.1

-

-

광주광역시

7

43

-

-

-

-

인천광역시

6

15

-

-

-

-

서울특별시

5

107

-

-

-

-

대전광역시

4

19

-

-

-

-

세종특별자치시

4

6

-

-

-

-

울산광역시

1

1

-

-

-

-

합계

1,446

6,997

62

4.3

77

1.1


  지역별 태양광발전 시설자금 보증 잔액 현황(2009~20228)

(단위, 억원)


지방자치단체

보증잔액

건수(A)

금액(B)

경상북도

96

222

경기도

82

97

강원도

65

84

충청북도

46

84

충청남도

40

53

전라북도

33

51

경상남도

29

35

전라남도

12

23

부산광역시

4

17

대구광역시

4

4

세종특별자치시

1

1

울산광역시

1

1

인천광역시

1

1

합계

414

673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