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해양과학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끈다

- 6. 2.∼ 4. 2022년 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개최 -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국내 최대 해양과학 학술대회인 ‘해양과학기술협의회*(회장 김현주) 공동학술대회’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6월 2일(목)부터 4일(토)까지 개최된다고 밝혔다. 

   * 국내 해양과학기술 발전과 해양과학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이기 위해 ’99년 해양과학기술단체들이 연합하여 설립하였으며, 국내 6개 해양관련 학회가 회원

  공동학술대회는 2005년 처음 개최된 이래 올해로 열여덟 번째를 맞이하며, 그간 총 1만 5천 편이 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올해는 ‘해양과학기술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행사에서는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시상식과 공동심포지엄 및 공동워크숍이 열릴 예정이다. 워크숍에서는 기후위기와 해양수산 탄소중립, 해상풍력, 스마트항만과 미래 조선해양산업의 방향 등 해양과학기술을 이용한 ‘생태적·사회적·경제적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산·학·연 전문가들이 열띤 토의가 열리고 행사기간 동안 6개 학회에서 총 1천2백여편의 논문도 발표될 예정이다. 

  이 같은 논의는 해수부에서 추진하는 자율운항선박과 디지털 해상교통망 구축 기술개발, 해양에너지·해양바이오 등의 해양수산 신산업 발굴, 친환경 선박 건조 등 해양수산 탄소저감 정책에 다양한 해법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행사는 그동안 코로나19로 닫혀 있던 문을 활짝 열고 약 2,000여명이 오프라인으로 참석하여 진행되는 만큼, 산·학·연 간 활발한 소통과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종욱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은 “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는 그동안 해양과학기술 발전은 물론 미래 인재양성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라며, “이번 공동학술대회에서 해양과학기술을 통해 미래의 먹거리를 만들어 내고 미래 세대와 공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담당 부서

해양정책관

책임자

과 장

노재옥

(044-200-5240)

<총괄>

해양개발과

담당자

사무관

유현숙

(044-200-5241)


참고 1

 

2022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개요


 행사 개요

 ㅇ (주제) 해양과학기술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미래

 ㅇ (時‧所) ’22. 6. 2.(목) ~ 6. 4.(토) / 제주 서귀포시(제주국제컨벤션센터)

 ㅇ (참석자) 해수부, 해양 관련 전문가 및 학생 등 약 2,000여명

 세부 행사일정

 ㅇ (개회식: 6.2) 축사,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시상, 공동심포지엄

< 개회식 및 공동심포지엄 >                  

행사시간

주 요 내 용

비 고

17:0017:10

10‘

개회 및 국민의례

사회자

17:1017:15

05‘

개회사

협의회장

17:1517:20

05‘

축사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

17:2017:30

10‘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시상

해양수산부, 협의회

17:3018:45

75‘

공동심포지엄

기조발표: 이인식 지식융합연구소 소장

 (공동워크숍: 6.2~3) 경제적·사회적·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진행

* 6  * 6개 학회에서 약 1,200여편의 논문 발표


붙임

 

공동워크숍


일 시

세 션 명

주관학회/참여학회

2

()

15:00-16:30

사회적 지속가능성

좌장: 김영택(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속 가능한 항만 및 연안 마련을 위한 리질리언스 강화/안승현(KMI)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공사 준비에 대하여/신우창(()포스코건설)

해상풍력 확대에 따른 사회적 수용성 확보의 한계와 방향/육근형(KMI)

토론자: 안익장(()혜인이엔씨), 권석재(KIOST), 이용희(한국해양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3

()

10:0012:00

생태적 지속가능성

좌장: 원종화(()포어시스)

해양 플라스틱 오염 패러다임의 전환/심원준(KIOST)

해상풍력발전의 해양생태 영향 조사 및 평가/권봉오(군산대)

기후위기와 유엔 해양과학 10(2021-2030)/남성현(서울대)

2050 해양수산 탄소중립 방향과 과제/박수진(KMI)

토론자: 김승규(인천대), 김영호(부경대), 박종면(현대해양)

한국해양학회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3:00-14:30

경제적 지속가능성

좌장: 이승재(한국해양대학교)

스마트 항만을 위한 준비/김율성(한국해양대)

조선산업과 세계 산업에 부는 바람 ESG/김영훈(경남대)

Post-COVID 19, 미래 한국조선해양산업의 방향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정석주(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토론자: 박영수(한국해양대), 이순섭(경상대)

대한조선학회

한국항해항만학회

한국해양공학회


붙임

 

특별세션


일 시

세 션 명

2

()

13:00

14:30

MT혁신비젼 2050위원회/MT Senior Academy 위원회

3

()

15:00

-17:00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우수논문발표회 좌장: 박광필(충남대학교 교수)

·Decoupling natural and man-made impacts on the morphologic and sedimentologic changes in the tidal flats, Saemangeum area, west coast of Korea: Implications for benthic ecosystem stability / 김도형(서울대)

·Analysis of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s in Membrane-Type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for structural safety using experimentally defined mechanical properties / 정연제(부산대)

·Atmospheric deposition of inorganic nutrients to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 석민우(고려대)

·Extraction of nearshore spectrum by energy-conserved zero-up crossing method and comparison with TMA / 황순미(성균관대)

·A Numerical Study on Hydrodynamic Energy Conversions of OWC-WEC with the Linear Decomposition Method under Irregular Waves / 김정석(한국해양대)

·Estimation of wave-induced steady force using system identification, model tests, and numerical approach /전명준(창원대)

·Local Sea-Level Rise Caused by Climate Change in the Northwest Pacific Marginal Seas Using Dynamical Downscaling / 김용엽(서울대)

·Process-Based Model Prediction of Coastal Dune Erosion through Parametric Calibration / 진혁(한국해양대)

·Experimental evaluation of pseudo-sound in a parametric array / 송지영(한국해양대)

·Long-rang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underwater communication in deep water / 김동현(한국해양대)

·Regional classification of total suspended matter in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 노효섭(서울대)

·Operation scenario-based design methodology for large-scale storage systems of liquid hydrogen import terminal / 김정욱(KAIST)

·Data-Driven Analysis for Safe Ship Operation in Ports Using Quantile Regression Based on Generalized Additive Models and Deep Neural Network / 이형탁(한국해양대)

·Thermal Efficiency and Economics of a Boil-Off Hydrogen Re-Liquefaction System Considering the Energy Efficiency Design Index for Liquid Hydrogen Carriers / 최민수(KAIST)


참고 2

 

2022년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추진 내용


 추진 개요


 ㅇ (추진목적) 전국 대학원생에게 해양과학기술 분야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 해양과학기술 인재를 육성 추진


 ㅇ (주최기관) (사)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포상규모 및 심사대상


 ㅇ(포상규모) 해양과학/해양기술 부문 대상 2점(장관상), 최우수상 4점(협의회장상), 우수상 8점(협의회장상), 특별상 2점 수여


 ㅇ (심사대상) 2021.1.1.~2021.12.31에 해양과학기술 부문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우수 논문을 발표한 대학원 석․박사과정 학생(수료자 포함)

                             
최종 수상자(16)

부문

포상

성명 및 소속

시상 및 부상

해양과학

대상

서울대학교 김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상, 상금 200만원

최우수상

고려대학교 석민우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장상,

상금 100만원

성균관대학교 황순미

우수상

서울대학교 김용엽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장상,

상금 50만원

한국해양대학교 진 혁

한국해양대학교 송지영

한국해양대학교 김동현

해양기술

대상

부산대학교 정연제

해양수산부 장관상, 상금 200만원

최우수상

한국해양대학교 김정석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장상,

상금 100만원

창원대학교 전명준

우수상

서울대학교 노효섭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장상,

상금 50만원

한국과학기술원 김정욱

한국해양대학교 이형탁

한국과학기술원 최민수

특별상

인하대학교 이민홍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상, 테블릿PC

부경대학교 김태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상, 테블릿PC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내포서 전국 드론 축제 한마당 연다!
충남도가 오는 20일 도청 일원에서 ‘2025 충청남도 드론 페스타’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드론에 대한 도민의 이해와 관심을 증진하고 도내 드론 저변을 확산하고자 마련한다. 도가 주최·주관하며, 국토교통부와 도교육청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드론스포츠 선수단과 관람객 등 1만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프로그램은 전국 드론스포츠 대회, 드론라이트쇼, 드론 전시·체험 등이다. 전국 드론스포츠 대회는 △드론레이싱 △드론농구 △무인헬리콥터 △핸드런치 글라이더 조정 경진대회 등 4종목을 진행하며, 총상금 규모는 1500만 원이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세계 챔피언 수상자를 포함한 전국의 실력자들이 다수 출전할 예정이어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볼거리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1200대의 드론으로 밤하늘을 수놓는 드론라이트쇼와 드론 조종 체험·전시관 30여 개도 운영할 계획이며, 버즈와 박민수 등 인기 가수의 축하공연으로 축제의 풍성함을 더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드론에 관심 있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행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택빈 도 토지관리과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