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항만 수출입 물동량 14개월 만에 증가

- 2019. 12.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 컨테이너 물동량은 0.9% 감소 -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1년 2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1,830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111만 톤) 대비 2.3%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11) 13,078만 톤(2.8%↓), (’20.12) 12,781만 톤(14.0%↓), (’21.1) 12,895만 톤(1.6%↓), 

 ㅇ 수출입 물동량은 이산화탄소 저감 정책에 따라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고 스포츠형 다목적차량(SUV) 및 친환경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물동량이 증가하여 2019년 12월 이후 14개월 만에 전년 동월(1억 235만 톤) 대비 0.4% 소폭 증가한 총 1억 278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20.11) 11,095만 톤(3.0%↓), (’20.12) 10,803만 톤(16.0%↓), (’21.1) 11,118만 톤(1.0%↓)

 ㅇ 컨테이너 물동량은 설 연휴로 인한 수출입 기업의 조업일수 감소 및 터미널 운영일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소폭 감소(0.9%)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20년에는 설날이 1월(1. 24.~26.)이었으나 2021년에는 설날이 2월(2. 11.~13.)이었으며, 2021년 2월은 28일로 윤년인 2020년 2월(29일)에 비해 터미널 운영일수 1일이 부족

 ㅇ 연안 물동량은 수송량 비중이 높은 유류, 광석, 시멘트 등의 수요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월(1,876만 톤) 대비 17.2% 감소한 총 1,552만 톤을 처리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12) ]

(단위 : 만 톤, %)

구 분

’20.2

최근 3개월

’21.2

’20.11

’20.12

’21.1

총물동량

12,111

13,078

12,781

12,895

11,830

전년 동월 대비

0.6

2.8

14.0

1.6

2.3

 

수 출 입

10,235

11,095

10,803

11,118

10,278

 

연 안

1,876

1,983

1,978

1,777

1,552

         
□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과 인천항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4%, 9.4% 증가하였고 광양항과 울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1.0%, 16.3% 감소하였다.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12) ]

(단위: 만 톤)


                                                             컨테이너 화물
□ 2021년 2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환적물량과 수출입 물동량의 감소로 인해 전체적으로는 전년 동월(223만 TEU) 대비 0.9% 감소한 221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11) 258만 TEU(5.9%↑), (’20.12) 249만 TEU(0.0%), (’21.1) 247만 TEU(3.8%↑)

 ㅇ 수출입은 전년 동월(127만 TEU) 대비 0.6% 감소한 126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이 65만 TEU(4.0%↓), 수입이 62만 TEU(3.1%↑)로 수입 물동량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주요 교역상대국인 대중(對中) 수출입 증가세(24.3%↑)가 두드러졌다.

     * (’20.11) 142만 TEU(1.8%↑), (’20.12) 140만 TEU(3.0%↓), (’21.1) 142만 TEU(8.9%↑) 

 ㅇ 환적은 전년 동월(94만 TEU) 대비 1.0% 감소한 93만 TEU를 기록하였다. 

    * (’20.11) 114만 TEU(12.0%↑), (’20.12) 107만 TEU(4.0%↑), (’21.1) 102만 TEU(2.4%↓) 

                                       [ 전국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212) ]

(단위 : TEU, %)

구 분

’20.2

최근 3개월

’21.2

’20.11

’20.12

’21.1

총물동량

2,226

2,578

2,487

2,465

2,205

전년 동월 대비

3.0

5.9

0.0

3.8

0.9

 

수 출 입

1,272

1,421

1,401

1,423

1,264

환 적

936

1,142

1,066

1,024

926

 

연 안

18

15

20

18

15

                 
□ 부산항은 전년 동월(173.7만 TEU) 대비 3.4% 감소한 167.7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물량을 중심으로 물동량이 감소하였다.

    * (‘20.11) 193만 TEU(5.9%↑), (’20.12) 187만 TEU(0.2%↑), (’21.1) 184만 TEU(1.9%↑) 

 ㅇ 수출입은 부산항의 물동량 기준 상위 10개국 가운데 중국(12.5%↑)을 제외한 일본(18.6%↓)․미국(7.1%↓) 등 9개국의 물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 동월(84.3만 TEU) 대비 7.9% 감소한 77.7만 TEU를 처리했다.
 
    * (‘20.11) 85만 TEU(1.0%↓), (’20.12) 84만 TEU(4.1%↓), (’21.1) 85만 TEU(7.6%↑)

 ㅇ 환적은 전년 동월(89.3만 TEU) 대비 0.7% 증가한 90.0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주요국가(중국 27.5만(39.7%↑)의 환적물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20.11) 108만 TEU(12.1%↑), (’20.12) 103만 TEU(3.9%↑), (’21.1) 99만 TEU(2.5%↓)

□ 인천항은 전년 동월(18.0만 TEU) 대비 36.4% 증가한 24.6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은 2020년 2월, 7월에 각각 개설된 베트남․중국 신규항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17.6만 TEU) 대비 36.1% 증가한 24.0만 TEU, 환적은 전년 동월(3천 TEU) 대비 소폭 증가한 5천 TEU를 처리하였다.

    * (‘20.11) 30만 TEU(9.4%↑), (’20.12) 28만 TEU(4.1%↑), (’21.1) 31만 TEU(15.7%↑)

□ 광양항은 전년 동월(18.7만 TEU) 대비 15.5% 감소한 15.8만 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 감소(전년동월(15.0만 TEU)대비 6.5% 감소한 14.0만 TEU)와 더불어 해운동맹 재편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3.8만 TEU) 대비 51.4% 감소한 1.8만 TEU에 그쳐 전체 물동량은 감소했다.

    * (‘20.11) 18만 TEU(4.3%↓), (’20.12) 17만 TEU(10.6%↓), (’21.1) 16만 TEU(1.8%↓)

    ※ HMM의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 가입(’20.4)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중동노선 폐지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1년 2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7,959만 톤으로 전년 동월(8,414만 톤) 대비 5.4% 감소하였고, 개별항만으로 보면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대산항은 소폭 증가한 반면 울산항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20.11) 8,445만 톤(4.9%↓), (’20.12) 8,383만 톤(13.8%↓), (’21.1) 8,540만 톤(4.5%↓)

                                      [ 전국 항만 비컨테이너 물동량(’212) ]

(단위 : 만 톤, %)

구 분

’20.2

최근 3개월

’21.2

’20.11

’20.12

’21.1

총물동량

8,414

8,445

8,383

8,540

7,959

전년 동월 대비

5.6

4.9

13.8

4.5

5.4

 

수 출 입

6,555

6,476

6,424

6,780

6,420

 

연 안

1,859

1,969

1,959

1,760

1,539

                         
ㅇ 광양항은 석유정제품 등 석유화학제품의 수요가 부진하였으나, 제철 관련 제품(광석, 유연탄 등)의 물동량 회복으로 전년 동월(1,888만 톤) 대비 0.5% 증가한 1,898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울산항은 전 세계 자동차 수요 회복에 따라 자동차 수출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유류 수출입 및 유연탄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1,532만 톤) 대비 16.0% 감소한 1,287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인천항은 광석 및 철제 관련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917만 톤) 대비 1.2% 증가한 928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평택·당진항은 유가 상승세에 따른 계약 물량 증가로 유류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여 전년(853만 톤) 대비 2.5% 증가한 874만 톤을 기록하였다.

□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등)와 광석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0%, 5.0% 감소하였고, 유연탄과 자동차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2%, 20.2% 증가하였다. 

 ㅇ 유류는 광양항과 울산항의 원유 및 석유정제품 수출입 물동량 감소 및 내수 수요 감소에 따른 연안 수송량 감소로 전년 동월(4,083만톤) 대비 5.0% 감소한 3,880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광석은 철강제품 주요 생산기지가 있는 광양항, 평택·당진항의 철광석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포항항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 동월(1,059만톤) 대비 5.0% 감소한 1,006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유연탄은 광양항 제철용 원료탄 수입 물동량 증가와 화력발전소가 소재한 일부 항만(보령항, 하동항 등)의 유연탄 수입 증가로 전년 동월(885만 톤) 대비 0.2% 증가한 887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자동차는 전 세계 자동차의 수요 회복세 및 자동차부품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502만 톤) 대비 20.2% 크게 증가한 604만 톤을 기록하였다.

□ 박영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항만 수출입 물동량이 14개월 만에 증가한 것은 긍정적”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항만 물동량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선사 및 터미널 운영사 등과의 비대면 마케팅 등 온라인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고 항만별로 다양한 물동량 유인책을 병행하여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 “경기농업인 여러분이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며,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 강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더불어민주당, 군포1)은 9월 4일(목) 이천시 예스파크에서개최된 제64주년 한국농촌지도자 경기도대회행사에 참석했다. 정윤경 부의장은 축사를 통해 “농촌 발전을 위해 헌신해온 농업인들의 노고에 감사와 존경을 전하며, “농업인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이며, 우리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도의회의 역할도 소개했다. 정운경 부의장은 “스마트농업 확대, 친환경 농산물 유통망 강화, 청년·여성 농업인 지원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농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기후위기, 인구 감소, 유통 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 변화 속에서,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는 농업 현장의 지혜를 모으고 경험을 공유하며, 미래 농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정윤경 부의장은 마지막으로 “오늘의 만남이 경기도 농업의 새로운 도약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사천시, 2025년 양펑평등진흥 유공 기관 여성가족부 장관 표창 수상
대한민국 우주항공수도인 사천시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동등하게 존중받고 차별없이 자신의 능력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양성평등 도시로 인정받았다. 사천시는 9월 4일 서울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열린 양성평등주간 기념식에서 양성평등진흥 유공 여성가족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사천시가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 ▲양육 친화적 조직문화 확산 ▲양성평등 의식 강화 ▲안전한 근무환경 마련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시는 임신·출산·육아에 대한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고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을 적극 독려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대비 2024년 남성 육아휴직자가 180% 증가하는 등 가족의 돌봄을 사회와 조직이 함께 책임지는 문화를 확산시켰다. 더불어, 권장연가 일수 지정, 유연근무제 도입, 가족사랑의 날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실천하여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과 재충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시는 여성 관리자 비율 확대, 성인지 교육 강화, 4대 폭력 예방교육 및 상담센터 운영 등으로 조직 내 성평등과 직장 내 안전망을 강화했다. 특히, 2024년 신규로 시작한 ‘우리동네 젠더스쿨’ 사업을 통해 읍·면·동 리더 및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