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동부지방산림청, 산불예방 숲가꾸기로 산불피해 저감 시도

산불 취약지역에 전문적 숲가꾸기를 통하여 국민안전 강화


동부지방산림청(청장 이상익)은 산불에 취약한 지역의 산림을 대상으로 국민안전을 강화하기 위하여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을 올해 특색사업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제작한 산불취약지도에서 산불 위험등급이 높은 A, B 등급 지역 가운데 사업대상지를 선정하여 추진하는 숲가꾸기 사업으로 간벌·가지치기, 산물수집, 하층식생 관리 등 산림 내 연료물질 감소를 통해 대형산불 등 각종 산림재해에 강한 숲으로 키워가기 위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일반적인 숲가꾸기사업과는 다르게 산불 위험이 높은 침엽수 단순림의 소나무류를 강도로 솎아베어 산불에 강한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으로 유도하고, 사업지 중에서 산불 위험성이 특히 높은 핵심구역은 수집 산물을 전량 임지 외부로 반출하여 임지 내 가연성 물질을 줄인다.

 동부지방산림청은 올해 10억여 원을 투입하여 300ha(축구장 면적 364배) 규모의 산불예방 숲가꾸기를 추진할 예정이며, 특히 집약적·효율적 산불예방을 위해 관할 구역 내 시·군과 협력하여 유역완결형 숲가꾸기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상익 동부지방산림청장은 “그 무엇보다 국민들의 안전을 최우선하는 동부지방산림청이 되겠다”라며 “산불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노력하는 기관이 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 1

 

산불예방 숲가꾸기 개념

         

  사업개요

 ㅇ 사업목적 : 산불 등 재해예방을 위한 생활밀착형 숲가꾸기 추진


 ㅇ 대 상 지 : 산불취약지역 등 산림재해 발생 위험지역이 높은 산림


             사업방법

 ㅇ 간벌 · 가지치기, 산물수집 및 하층식생 관리 등 산림 내 연료물질 감소를 통해 대형산불 등 각종 산림재해에 강한 산림으로 육성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 주요공정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방법 비교

 ㅇ 핵심(도로변, 농경지 등 산림 연접부 50m 내외) 및 일반(기타지역)구역으로 구분 작업

   * 핵심구역: 산불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작업(솎아베기, 가지치기, 산물수집 등) 추진

     일반구역: 기존에 시행하던 숲가꾸기 방법으로 작업추진(당초 산림기능 고려)

   * 핵심구역 내 솎아베기로 공한지가 발생한 경우 활엽수의 자연 발생이 어려운 소나무류 단순림은 활엽수류 인공 조림 가능(기존에 활엽수 중하층목이 있는 경우 제외)

                  

구 분

일반 숲가꾸기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목적

우량목재 생산

산불 위험요소 제거를 통한 재해예방

목표산림

생산목표별 안정적인 목재를 생산하는 산림

산불에 강한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

대 상 지

경제림육성단지 등 목재생산을 주로 하는 산림

산불위험이 높은 지역 중 밀도가 높은 침엽수림으로 인명 · 재산 피해 우려지역 *참고2사업 대상지

주요

작업

방법

솎아

베기

형질이 우량한 우세목의 생장에 방해가 되지 않는 중층목하층식생 등은 잔존

핵심구역은 산불 확산 방지 등 재해에 강한 숲으로 구조개선을 위해 상층 솎아베기 및 중하층목 관리(활엽수류 존치)

상층

- 우세목의 생육에 지장을 주는 경합목, 열세목, 피해목 제거

상층

- 적정 밀도의 소나무류 등 제거

*참고2간벌후 입목본수 기준

- 내화력이 강한 수종은 존치

·

- 상층 우세목 생육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하층식생은 잔존

·

- 산불 위험이 높은 소나무류 전량 제거, 활엽수는 작업에 지장이 없는 한 최대한 존치

- 낙엽 긁기(현지 여건에 따라 실시)

* 낙엽 긁기는 위험시설 및 임외반출 등 고려하여 실시 가능

가지

치기

형질 우량한 침엽수 상층 우세목 대상으로 26m 범위 실행

(옹이 없는 통직한 목재생산)

산불예방 차원에서 사다리형 연료배열을 끊어주기 위해 핵심구역 내 소나무류는 6m 범위 내에서 형질 구분 없이 전량 실행

제거

산물

처리

재해우려지역 및 수계주변 외의 제거산물은 임내 존치 가능

산불 위험성이 높은 지역(핵심)수집산물 전량 임외 반출, 미이용 산물은 파쇄 처리

* 일반구역도 여건에 따라 제거 산물 최대한 수집 가능


참고 2

 

산불예방 숲가꾸기 대상지 선정

                              

산불취약지역 등 산물위험성이 높은 지역 중 밀도가 높은 침엽수림(소나무류 단순림 등)을 사업 대상지로 선정

* 산불취약지 A · B 등급 → ② 소나무류 단순림 및 혼효림 → ③ 기준밀도 이상

                    

 사업대상지 선정

 ○ (1단계) 산불발생 위험성이 높은 산불취약지도 상의 A, B 등급 지역


   - 산불취약지도를 활용해 관할지역 중 대략적인 사업대상지 구역 설정

     * 필지 내 산불 취약지 AㆍB등급과 CㆍD등급 공존 시 도로, 주택, 농경지 등 산림연접부가 AㆍB등급일 경우 대상지로 포함하여 해당 필지 사업 가능

     * 일반구역 내 CㆍD등급과 공존되는 필지는 산불 위험성 등 고려 숲의 안정성 유도 등 숲가꾸기가 필요한 경우 현지 판단 하에 작업 가

               

< 산불취약지도 개요 및 사용방법 >

 

o 산불취약지도 개요

- 전국 취약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위험도에 따라 AD 등급으로 구분

- 산불예방 숲가꾸기가 필요한 중점관리 대상지역(A, B 등급지)은 관할별 약 30%

* A등급 : 010%, B등급 : 1030%, C등급 : 3060%, D등급 : 60100%


o 산불취약지도 활용방법

- ··구별 해당지역의 산불취약 등급 확인방법

Google earth 프로그램을 설치

해당 지역 kmz 파일을 클릭하여 A, B, C, D 등급 확인

* : 빨간색, : 주황색, : 노란색, : 흰색 윤곽선

필요에 따라 투명도 조정 및 색상변경 가능

* 해당 shp 우클릭 속성 스타일 색상 탭에서 수정


                    

○ (2단계) 산불발생 시 확산 우려가 높은 침염수 단순림 및 혼효림 


   - 침엽수 단순림 : 소나무류 임지(편백, 낙엽송 등은 제외)

   - 혼효림 : 침엽수 또는 활엽수가 26∼75%미만 점유

 ○ (3단계) 산불에 강한 숲으로 구조개선을 위해 밀도조절이 필요한 임지


   - 입목본수가 산불예방을 위한 적정기준을 초과한 과밀한 임지를 선정

                                 

< 간벌후 입목본수 기준 >

 

o 산불예방 숲가꾸기 (’16년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결과)

수 종

가슴높이 지름()

10

12

14

16

18

20

22

24

26

소나무(강원)

1,350

956

736

624

559

487

423

396

362

소나무(중부)

1,325

928

721

615

530

472

417

370

321

잣 나 무

1,150

760

640

585

500

450

395

360

316

리기다소나무

1,200

808

660

600

507

450

413

-

-

해 송

1,225

830

664

590

515

460

400

-

-

* 혼효림은 수종별 혼효율을 곱하여 대상지 여부 결정

- ) 소나무 혼효율 50%인 산림, 가슴높이 지름 18cm인 경우

559× 50% = 280본 이상이면 사업 대상지로 적합

o 일반(목재생산) 숲가꾸기

수 종

가슴높이 지름()

10

12

14

16

18

20

22

24

26

소나무(강원)

1,800

1,500

1,300

1,100

950

840

740

670

610

소나무(중부)

1,110

960

860

780

710

650

610

-

-

잣 나 무

1,200

1,000

880

760

670

600

530

480

440

리기다소나무

1,600

1,300

1,100

940

810

710

630

560

500

해 송

1,400

1,200

1,060

950

850

750

660

620

-

                    

참고 3

 

숲가꾸기 사업을 통한 산불방지 연구 및 사례


 간벌재의 산물 방치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06년 강원대)

숲가꾸기 실행시 지하고가 미실행지에 비해 높아 지표화에서 수관화로 전파되는 산불연소의 연계성에 대한 부분에서 숲가꾸기 실행지가 미실행지에 비하여 산불위험이 낮음

 

- 미실행지는 실행지보다 ha당 임목본수가 많고(4001000), 죽은 가지 고사율이 높으며(7.5525.13%), 울폐도가 높아(1040%) 결론적으로 숲가꾸기 미실행지가 실행지에 비하여 산불위험이 높음 

                                                          

숲가꾸기 사업지 산불피해 방지사례(’08년 화순 운주사)             

(사업내용) 3050m 폭의 숲가꾸기 실행(’06’07) 및 산물수집

 

- 밀도조절 : 1,000/ha 500600/ha

- 가지치기(지하고 7m), 숲가꾸기 산물수집 및 임외반출

 

(사업효과) 산림 내 연료량 감소를 통하여 수관화로 진행되던 불이 지표화로 축소되어 복사열과 비화물질 동시 감소 지상진화 용이

 

* 확         산속도 분석결과 : (예측) 1.02/h (실제) 0.84/h

                                                                                                                                     

                                                    

□   외국의 산불피해(재해) 예방을 위한 숲가꾸기 정책

미국은 대형산불 피해방지를 위한 간벌촉진 사업으로 건강한 산림정책(Healthy Forests Initiative)”을 추진

* 산불취약 산림에서의 신속한 간벌 및 벌채 추진 지원

 

일본은 긴급간벌 5개년계획을 추진하면서 재난방지 기능인 보안림의 건강성 확보 등 산림의 다면적 기능 유지증대를 위하여 간벌사업을 실행

                                               

                                            

참고 4

 

일반 숲가꾸기와 산불예방 숲가꾸기 비교 모식도


                                                                            

사 업 명

일반 숲가꾸기

산불예방 숲가꾸기

대 상 지


사업내용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내포서 전국 드론 축제 한마당 연다!
충남도가 오는 20일 도청 일원에서 ‘2025 충청남도 드론 페스타’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드론에 대한 도민의 이해와 관심을 증진하고 도내 드론 저변을 확산하고자 마련한다. 도가 주최·주관하며, 국토교통부와 도교육청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드론스포츠 선수단과 관람객 등 1만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프로그램은 전국 드론스포츠 대회, 드론라이트쇼, 드론 전시·체험 등이다. 전국 드론스포츠 대회는 △드론레이싱 △드론농구 △무인헬리콥터 △핸드런치 글라이더 조정 경진대회 등 4종목을 진행하며, 총상금 규모는 1500만 원이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세계 챔피언 수상자를 포함한 전국의 실력자들이 다수 출전할 예정이어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볼거리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1200대의 드론으로 밤하늘을 수놓는 드론라이트쇼와 드론 조종 체험·전시관 30여 개도 운영할 계획이며, 버즈와 박민수 등 인기 가수의 축하공연으로 축제의 풍성함을 더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드론에 관심 있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행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택빈 도 토지관리과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