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11월 컨테이너 물동량 5.4% 증가, 9월부터 증가세 지속

전국 총 물동량(중량기준)은 전년 동월 대비 3.6% 감소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11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2,977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3,456만톤) 대비 3.6%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20.8) 11,826만톤(17.6%↓), (’20.9) 12,365만톤(3.3%↓), (’20.10) 12,708만톤(9.9%↓)

  수출입 물동량은 광석제품의 수입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등) 물동량 감소와 발전용 연료(유연탄 등)의 수입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 동월(1억 1,435만톤) 대비 3.3% 감소한 총 1억 1,054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20.8) 10,156만톤(19.1%↓), (’20.9) 10,669만톤(5.2%↓), (’20.10) 10,848만톤(10.3%↓)

  반면, 컨테이너 물동량(TEU 기준)은 ‘20.9월부터 이어진 증가세가 지속되어 11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5.4% 증가한 257만TEU를 기록하면서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연안 물동량의 경우 유류 사용량 감소로 인한 관련 물동량이 감소하고 건설경기 위축으로 시멘트 물동량도 감소하여 전년 동월(2,021만톤) 대비 4.9% 감소한 총 1,923만 톤을 처리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011) ]

(단위 : 만톤, %)

구 분

’19.11

최근 3개월

’20.11

’20.8

’20.9

’20.10

총물동량

13,456

11,826

12,365

12,708

12,977

전년 동기 대비

2.3

17.6

3.3

9.9

3.6

 

수 출 입

11,435

10,156

10,669

10,848

11,054

 

연 안

2,021

1,670

1,696

1,860

1,923

            
ㅇ 항만별(중량기준)로 보면 부산항은 올해 전년 동월 대비 계속된 물량 감소세에서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1.5%↑)되었고, 광양항도 크게 증가(4.5%↑)한 반면, 최근 증가세에 있던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1.2%, 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011) ]

(단위: 만톤)

  

                                                                컨테이너 화물


□ 11월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월(244만TEU) 대비 5.4% 증가한 257만TEU를 기록하여 20개월만에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9월부터 증가세 지속)


    * (’20.8) 234만TEU(3.2%↓), (‘20.9) 237만TEU(4.7%↑), (’20.10) 249만TEU(0.1%↑)

 ㅇ 수출입은 전년 동월(140만TEU) 대비 1.4% 증가한 142만TEU를 기록하였는데, 특히 수출은 72만TEU(2.4%↑)를 기록하여 증가세가 4개월 간 지속되고 있다.

물동량(전년대비)

’20.8

’20.9

’20.10

’20.11

수출입

131TEU(3.9%)

137TEU(3.7%)

140TEU(0.3%)

142TEU(1.4%)

 

수출

68TEU(0.5%)

70TEU(5.0%)

70TEU(0.1%)

72TEU(2.4%)

수입

63TEU(8.1%)

67TEU(2.3%)

70TEU(0.5%)

70TEU(0.4%)

                
ㅇ 환적은 전년 동월(102만TEU) 대비 11.5% 증가한 114만 TEU를 기록하여 전국 ‘컨’ 물동량 증가율에 큰 기여를 하였다.(20개월만의 최대 증가율)

    * (’20.8) 101만TEU(2.2%↓), (‘20.9) 99만TEU(6.1%↑), (’20.10) 108만TEU(0.1%↑)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물동량(’2011) ]

                                                                                                                           (단위 : 천TEU, %               

구 분

’19.11

최근 3개월

’20.11

’20.8

’20.9

’20.10

총물동량

2,435

2,339

2,374

2,492

2,568

전년 동기 대비

5.2

3.2

4.7

0.1

5.4

 

수 출 입

1,396

1,313

1,368

1,401

1,416

환 적

1,020

1,013

993

1,077

1,137

 

연 안

19

13

13

14

15

                     
□ 한편, 전년 동월 대비 적(積) 컨테이너 처리 실적은 대폭 증가(10.0%↑)하였고 공(空) 컨테이너 처리 실적(13.3%↓)은 감소하였으며, 컨테이너 화물 중량(내품*)을 기준으로 2020년 11월 처리량은 4,617만 톤(0.9%↑)으로 집계되었다.

    * 내품 : 컨테이너 안에 실제로 적재되어 있다고 신고된 화물의 양

    * (8월) 4,056만톤으로 전년 동월(5,238만톤) 대비 22.6% 감소
      (9월) 4,189만톤으로 전년 동월(4,550만톤) 대비 7.9% 감소
      (10월) 4,390만톤으로 전년 동월(4,836만톤) 대비 9.2% 감소
□ 부산항은 전년 동월(182.5만TEU) 대비 5.5% 증가한 192.4만TEU를 기록하였는데, 환적물량을 중심으로 물동량이 대폭 상승하였다.
    * (’20.8) 174만TEU(4.8%↓), (‘20.9) 173만TEU(1.7%↑), (’20.10) 188만TEU(0.3%↓)
 ㅇ 수출입은 전년 동월(85.9만TEU) 대비 소폭 감소(1.5%↓)한 84.6만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증가(중국2.6%↑,미국2.5%↑등)에도 불구하고 일본(11.8%↓) 등 물량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물동량

(전년대비)

’20.8

’20.9

’20.10

’20.11

수출입

75.8TEU(10.3%)

79.3TEU(2.1%)

82.4TEU(4.0%)

84.6TEU(1.5%)

 

수출

39.2TEU(5.8%)

40.7TEU(0.5%)

41.4TEU(4.2%)

42.9TEU(0.3%)

수입

36.6TEU(14.6%)

38.6TEU(3.7%)

41.0TEU(3.8%)

41.7TEU(3.2%)

                         
* 코로나영향에 따른 수출입 물동량 감소세가 9월부터 완화되는 동향이 파악(10월 물동량은 추석연휴(10.1~2) 및 중국 국경절(10.1~8)의 영향으로 다소 감소)

   - 다만 수출은 43만TEU(0.3%↑)로 8개월만에 증가로 전환하였는데, 북미(9만,18.6%↑), 유럽(4만,14.5%↑), 동남아(5.8만, 3.3%↑) 항로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8월부터 월별 수출 물동량* 지속 증가)

    * 부산항 월별 수출 물동량 : 39만(8월) → 40만(9월) → 41만(10월) → 43만TEU(11월)

 ㅇ 환적*은 전년 동월(96.6만TEU) 대비 11.6% 증가한 107.8만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주요국가(중국 36.5만(31.0%↑), 북미 20.3만(10.1%↑))의 환적물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20.8) 99만TEU(0.2%↓), (‘20.9) 94만TEU(5.2%↑), (’20.10) 105만TEU(2.7%↑)

□ 광양항은 전년 동월(19.0만TEU) 대비 3.6% 감소한 18.3만TEU를 기록하였다.

  * (’20.8) 17만TEU(14.9%↓), (‘20.9) 19만TEU(11.7%↑), (’20.10) 17만TEU(13.1%↑)(9월 물동량은 중국항만 체선율 급증에 따른 부정기선 투입에 따라 일시적 증가)
 ㅇ 수출입은 전년동월(14.4만TEU)대비 2.8% 감소한 14만TEU를 처리하였는데, 교역 상위 국가들의 물동량 증가(미국 8.0%↑,베트남 41.4%↑등)에도 불구하고 중국(11.7%↓) 물동량이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물동량(전년대비)

’20.8

’20.9

’20.10

’20.11

수출입

14.3TEU(3.4%)

14.8TEU(8.0%)

15.3TEU(1.9%)

14.0TEU(2.8%)

 

수출

7.9TEU(6.1%)

7.4TEU(6.4%)

7.6TEU(0.5%)

7.0TEU(5.7%)

수입

6.4TEU(13.0%)

7.4TEU(9.6%)

7.7TEU(4.5%)

7.0TEU(0.3%)

              
ㅇ 환적*은 전년 동월(4.6만TEU) 대비 6.1% 감소한 4.3만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기항서비스** 중단, 선대 축소(얼라이언스 서비스 통합)에 따른 환적물량 이탈*** 영향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된다.

   * (’20.8) 2.2만TEU(52.5%↓), (‘20.9) 4.4만TEU(26.3%↑), (’20.10) 1.7만TEU(62.7%↓)(9월 환적물량은 중국항만 체선율 급증에 따른 부정기선 투입에 따라 일시적 증가)

  ** 중남미항로 연간 20만TEU 수준 / *** 북미항로 연간 10만TEU 수준(광양항 → 부산항)

□ 인천항은 전년 동월(27.0만TEU) 대비 9.2% 증가한 29.4만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 물량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20.8) 27.7만TEU(11.2%↑), (‘20.9) 28.7만TEU(12.8%↑), (’20.10) 28.2만TEU(7.4%↑)

 ㅇ 수출입은 전년 동월(26.4만TEU) 대비 6.1% 증가한 28.0만TEU를 처리하였는데, 연초 신규항로 개설효과가 지속(11월 중국 17.5만(8.3%↑), 베트남 3만(8.2%↑))된 것으로 분석된다.

물동량(전년대비)

’20.8

’20.9

’20.10

’20.11

수출입

27.1TEU(9.9%)

28.1TEU(12.0%)

27.6TEU(6.4%)

28.0TEU(6.1%)

 

수출

13.4TEU(11.7%)

14.2TEU(14.3%)

13.7TEU(10.6%)

13.8TEU(7.6%)

수입

13.7TEU(8.2%)

13.9TEU(9.6%)

13.9TEU(2.7%)

14.2TEU(4.7%)

                ㅇ 환적은 전년 동월(6천TEU) 대비 증가한 1.4만TEU를 처리하였다.

□ 세계 9대 주요 컨테이너 항만의 10월 기준 누적 총 물동량(TEU)은 전년 동기대비 0.3% 증가로 코로나영향에 따른 물동량 누적 감소분이 회복된 것으로 파악되며, 3분기 들어 세계 9대 항만의 물동량의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중국 항만의 성장세*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 항만을 통한 무역 확대 등 중국의 내수촉진, 인센티브‧마케팅 확대를 통한 항로 개설 등 항만 육성정책 등으로 2분기부터 물동량 증가세

 ㅇ 상하이항의 10월 기준 누적 물동량은 3,586만TEU(전년동기대비1.7%↓)로 세계 1위를 유지하였고, 싱가포르항(3,047만TEU, 0.8%↓), 닝보-저우산항(2,406만TEU, 2.4%↑), 선전항(2,149만TEU, 0.2%↑), 광저우항(1,902만TEU, 1.1%↑), 칭다오항(1,802만TEU, 3.2%↑)이 2~6위를 기록하였다.

   - 부산항(1,798만TEU, 1.7%↓)은 세계 7위(전년동기6위)를 기록하였고, 텐진항(1,553만TEU, 5.6%↑)이 그 뒤를 이었다.

 ㅇ 부산항은 글로벌 물동량 회복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선사 비대면 마케팅* 및 온라인을 통한 환적 네트워크 강화** 등을 지속해 나가고,

   * (기존) 선사에 방문하여 대면 면담 → (변화) 화상회의, 웹세미나, 온라인 컨설팅 등

  ** (구성) 항만당국 – 터미널 운영사 – 선사(글로벌본사 및 한국지사) – 해외 항만당국(역할) 터미널 운영 동향(물동량・서비스 등), 정기 ‘컨’ 노선 현황, 통계 등 상시공유

   - 기존 환적화물 인센티브와 별도로 최근 국내 기업들이 선복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주・동남아항로 수출화물을 대상으로 선사에 한시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 하여 수출 증가세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 (기간/방법) ‘20.12~’21.2 / ‘20 수출물량 2만TEU 이상인 선사에 TEU당 2만원 지급(미주항로) 전년동월 대비 10%이상 증가 시 10%를 초과한 물량 대상(총 15억원 한도)(동남아항로) 전년 동월 대비 5% 이상 증가 시 증가물량 대상(총 5억원 한도)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11월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8,360만 톤으로 전년 동월(8,879만톤) 대비 5.8% 감소하였으나, 광양항 등 일부 항만에서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 (’20.8) 7,770만톤(14.7%↓), (’20.9) 8,177만톤(0.8%↓), (’20.10) 8,318만톤(10.2%↓)

[ 전국 무역항 비컨테이너 물동량(’2011) ]

                                                                                                                                    (단위 : 만톤, %)

구 분

’19.11

최근 3개월

’20.11

’20.8

’20.9

’20.10

총물동량

8,879

7,770

8,177

8,318

8,360

전년 동기 대비

0.2

14.7

0.8

10.2

5.8

 

수 출 입

6,878

6,110

6,490

6,470

6,451

 

연 안

2,001

1,660

1,687

1,848

1,909

              
ㅇ 광양항은 약 60%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화학 관련 물동량의 감소폭이 줄어들고 호주, 브라질 등에서 수입하는 광석의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1,959만톤) 대비 5.8% 증가한 2,074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울산항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출이 회복세에 있으나 항공류, 휘발류 등 유류제품의 수요 부진 등으로 전년 동월(1,591만톤) 대비 9.3% 감소한 1,442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인천항은 유류와 유연탄의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 동월(915만톤) 대비 14.3% 감소한 785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평택·당진항은 자동차 물동량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원유 수요 불확실성에 따른 유류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897만톤) 대비 7.7% 감소한 827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대산항은 석유정제품 수요감소로 유류 물동량이 감소하고 동서발전 당진화력본부의 유연탄 수입량 감소가 지속되어 전년 동월(749만톤) 대비 15.2% 감소한 636만 톤을 기록하였다.


[ 주요 무역항별 비컨테이너 물동량(’2011) ]

                                                                                                                            (단위 : 만톤)

 □ 품목별로 보면 유류, 유연탄, 자동차가 각각 6.7%, 12.4%, 7.4% 감소한 반면, 광석은 8.2% 증가하였다

 ㅇ 유류는 국제 수요 감소에 따른 석유정제품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월(3,818만톤) 대비 6.7% 감소한 3,561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광석은 호주와 브라질의 철광석 생산 재개 등의 영향으로 광양항, 포항항 등 주요 수입항만의 물동량이 급증하여 전년 동월(1,160만톤) 대비 8.2% 증가한 1,254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유연탄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석탄발전 감축 정책 기조에 따라 화력발전소가 있는 보령항, 태안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 동월(1,112만톤) 대비 12.4% 감소한 975만 톤을 기록하였다.

 ㅇ 자동차는 세계적인 경기 위축에 따른 주요 차량 수출국의 자동차 수요 위축으로 전년 동월(697만톤) 대비 7.4% 감소한 646만 톤을 기록하였다. 

 

[ 품목별 비컨테이너 물동량(’2011) ]

                                                                                                                          (단위 : 만톤)
  
□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글로벌 컨테이너 운송시장의 상승세 속에 우리나라도 지난 3개월간 연속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환적, 미주・구주・동남아 수출물량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파악되고 있다.”라며, “이에 회복 및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출상황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국적선사 임시선박 투입, 국내기업 선적 공간 우선 제공 등을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12월부터는 한시적으로 수출화물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그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 “경기농업인 여러분이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며,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 강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더불어민주당, 군포1)은 9월 4일(목) 이천시 예스파크에서개최된 제64주년 한국농촌지도자 경기도대회행사에 참석했다. 정윤경 부의장은 축사를 통해 “농촌 발전을 위해 헌신해온 농업인들의 노고에 감사와 존경을 전하며, “농업인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이며, 우리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도의회의 역할도 소개했다. 정운경 부의장은 “스마트농업 확대, 친환경 농산물 유통망 강화, 청년·여성 농업인 지원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농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기후위기, 인구 감소, 유통 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 변화 속에서,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는 농업 현장의 지혜를 모으고 경험을 공유하며, 미래 농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정윤경 부의장은 마지막으로 “오늘의 만남이 경기도 농업의 새로운 도약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사천시, 2025년 양펑평등진흥 유공 기관 여성가족부 장관 표창 수상
대한민국 우주항공수도인 사천시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동등하게 존중받고 차별없이 자신의 능력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양성평등 도시로 인정받았다. 사천시는 9월 4일 서울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열린 양성평등주간 기념식에서 양성평등진흥 유공 여성가족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사천시가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 ▲양육 친화적 조직문화 확산 ▲양성평등 의식 강화 ▲안전한 근무환경 마련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시는 임신·출산·육아에 대한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고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을 적극 독려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대비 2024년 남성 육아휴직자가 180% 증가하는 등 가족의 돌봄을 사회와 조직이 함께 책임지는 문화를 확산시켰다. 더불어, 권장연가 일수 지정, 유연근무제 도입, 가족사랑의 날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실천하여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과 재충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시는 여성 관리자 비율 확대, 성인지 교육 강화, 4대 폭력 예방교육 및 상담센터 운영 등으로 조직 내 성평등과 직장 내 안전망을 강화했다. 특히, 2024년 신규로 시작한 ‘우리동네 젠더스쿨’ 사업을 통해 읍·면·동 리더 및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