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글로벌

대전시, 2021년 세계한상대회 유치

충청권 최초, 20여년 만에 최대 규모의 국내외 기업인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대전시가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1,000여 해외 한인경제인과 3,000여 국내 기업인이 한 자리에 모여 글로벌 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2021년 제20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지로 최종 확정됐다.  

 7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달 9일 재외동포재단은 제36차 운영위원회에서 2021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열리는 제20차 세계한상대회를 대전컨벤션센터 일원에서 개최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그동안 재외동포재단 현장실사단은 대회 유치 역량 확인을 위해 2차례 현장을 방문해 공식행사, 개‧폐회장, 전시장 등 인프라 충족 여부와 재정적 지원, 프로그램의 적정성 등을 확인했다.

 한상대회 운영위원회는 울산시와 경합을 벌인 대전시의 유치제안서를 면밀히 검토한 후, 세계한상대회 개최지를 대전으로 결정했다.

 개최지 결정에 앞서 허태정 대전시장은 운영위원들에게 보내는 서한문에서 대한민국 최고의 과학도시이자 정부가 공인한 4차 산업혁명특별시의 자신감으로 성공적인 행사를 치러내겠다는 강한 유치 의사를 밝혔다.

 세계한상대회는 한민족 경제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02년부터 재외동포재단과 지자체가 공동주관하는 행사로 매년 열리고 있으며, 그동안 서울‧수도권, 부산‧영남권, 광주‧호남권, 제주를 중심으로 진행돼왔으며, 충청권은 대전에서 최초로 개최된다.

 대전시는 유치제안서를 통해 충청권 최초, 다수의 국제행사 경험 등 개최 당위성과 대전의 탁월한 접근성, 최첨단 행사장, 넉넉한 숙박시설, 세계적 수준 연구인력 매칭의 고품격 비즈니스, 안전한 행사지원 등 최적의 행사개최 인프라를 소개했다.

 아울러,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파트너로서 대회 추진의 강한 의지와 함께 역대 최고의 행사가 될 수 있도록 충청권 전체를 아우르는 대전시의 핵심적 지원 방안도 제시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내년 세계한상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300여개 참여기업을 발굴하고 청년 글로벌 네트워크 포럼과 청년 취업 박람회를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며 “대전의 진가를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되도록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붙임 1] 2021년 제20차 세계한상대회 개요
[붙임 2] 세계한상대회 추진경위 및 역대 한상대회 개최 현황
 

붙임 1

 

2021년 제20차 세계한상대회 개요

                  
행사개요

  일시/장소 : 2021.10.19(화) ~10.21(목) (3일간) / 대전컨벤션센터 일원

   주   최 : 재외동포재단*
     * 외교부산하 비영리 공공법인, 1997년 발족, 재외동포 사회발전 및 권익향상, 민족문화 및 민족정체성 유지사업 운영 
   주   관 : 우리시, 재외동포재단, 매일경제신문‧MBN

   규   모 : 4,000여명(해외 1,000여명, 국내 3,000여명)

   주요내용
    - 개․폐회식, 한상의 밤, 기업전시회, 일대일비즈니스미팅, 세미나
    - 한상비즈니스 네트워킹, 투자유치설명회, 국가별·직능별 경제단체 총회 
    - 청년글로벌 네트워크포럼, 청년취업박람회 등
           
 □ 대회 개최 역할
                                                            

재외동포재단

지방자치단체

 

세계한상대회 총괄

공동주관기관 회의, 시도관계관 회의,

정부지원 회의

기업전시회 및 비즈니스 미팅 기획 및 운영

개폐회식, 만찬 등 연회

세미나, 컨퍼런스

운영위원회, 리딩CEO포럼, 영비즈니스

리더포럼

행사대행사(PCO) 운영

홍보대행사 운영 등

 

지자체장 주최 환영만찬(문화공연 포함)

지자체 유관기관기업 참여유도 및 홍보

행사장 임차, 참가자 이동, 물류이동 지원

Post program 기획운영(관광 등)

자원봉사자 확보운영

대회 연계 행사 기획운영

예산분담 : 5~10(지자체 자체 집행)

전시장 시설이 충분치 않을 경우

별도 전시장 설치비용 포함 

                  

붙임 2

 

세계한상대회 추진경위 및 역대 한상대회 개최 현황


 1. 세계한상대회 추진 경위                                                   

9802

 

김대중 대통령 취임 기념국내외 동포기업인 초청 간담회에서

코리안 경제네트워크구축 결의

9810

해외한민족 경제공동체 대회개최

 

이후, 2001년까지 매년 공동(재단, KOTRA, 해외한인무역협회, 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 개최 (’98.10 서울, ’99.10 시카고, ’00.10 서울, ’01.11 L.A.)

9808

외국인투자촉진법 발표

0110

김대중 대통령, 시정연설(국회)에서 한민족네트워크의지표명

0201

재외동포재단 경제부 신설, 한상네트워크 사업 본격 착수

0210

한상네트워크 구축발표 및 1차 세계한상대회개최 (서울, 롯데호텔)

03

1차 세계한상대회 운영위원회 개최, 운영규정 제정

 

참여정부 출범 시 한상네트워크 등 재외동포 네트워크 구축을 국정과제로 채택

0310

2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서울, COEX)

0410

 

3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제주, ICC)

3차대회 부터 지자체와 공동주관, 지방경제활성화 효과

0509

4차 세계한상대회 개최(경기, KINTEX), 국무총리

0512

 

5차 재외동포정책위원회, 한상대회 활성화방안 모색

- ‘모국-재외동포간 호혜적 관계발전도모

0607

5, 6차 세계한상대회 개최(부산, BEXCO, 10)

0808

 

국무총리실, “재외동포정책위원회 정책조정통합 기능 제고“, 기존 재외동포네트워크 재검토, 내실화 방안 마련

0810

7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제주, ICC)

0910

8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인천, 송도컨벤시아)

1010

9차 세계한상대회 개최(대구, EXCO)

1111

10차 세계한상대회 개최(부산, BEXCO)

1210

11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서울, COEX)

1310

12차 세계한상대회 개최(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1409

13차 세계한상대회 개최(부산, BEXCO)

1510

14차 세계한상대회 개최(경북경주, 경주화백컨벤션센터)

1609

15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제주, ICC)

1710

16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창원, CECO)

1810

17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인천, 송도컨벤시아)

1910

18차 세계한상대회 개최(여수, 여수세계박람회장)

2010

19차 세계한상대회 개최 예정(부산, BEXCO)


  2. 역대 세계한상대회 개최 현황   

구분

기 간

장 소

참가규모

실 적

특 징

1

대회

02.10.8()

~10.10()

서울(소공동) 롯데호텔

28개국 968

(해외 852, 국내 116)

3천만달러 투자유치

네트워크 기반조성

2

대회

03.10.6()

~10.8()

서울(삼성동) COEX

40개국 1,263

(해외 937, 국내 326)

1:1 미팅 175

기업전시 20부스

`비즈니스 창출 기반조성

3

대회

04.10.26()

~10.28()

제주도 ICC

37개국 1,606

(해외 937, 국내 669)

1:1미팅 445

기업전시 129부스

(8천만불 상담)

비즈니스 교류 활성화,

지자체 참여

4

대회

05.9.13()

~9.15()

경기도(일산) KINTEX

36개국 1,517

(해외 697, 국내 820)

1:1미팅 561

기업전시 400부스

(187백만불 상담)

업종별 비즈니스

교류강화/ 한상특화전 개발

5

대회

06.10.31()

~11.2()

부산(해운대) BEXCO

39개국 2,285

(해외 1,214, 국내 1,071)

1:1미팅 304

기업전시 367부스

(358백만불 상담)

업종별 단체간

MOU 다수체결

6

대회

07.10.31()

~11.2()

부산(해운대) BEXCO

37개국 2,993

(해외 1,146, 국내 1,847)

1:1미팅 383

기업전시 419부스

(376백만불 상담)

업종별 단체간 MOU 다수체결/

한상단체 역할 강화

7

대회

08.10.28()

~10.30()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35개국 3,340

(해외 1,337, 국내 2,003)

1:1미팅 577

기업전시 385부스

(564백만불 상담)

단체간 MOU 체결,

개최지생산증대효과 176

8

대회

09.10.27()

~10.29()

인천 송도컨벤시아

42개국 3,505

(해외 1,190, 국내 2,315)

1:1미팅 658

기업전시 521부스

(418백만불 상담)

단체간 MOU 체결,

개최지생산유발효과 887

9

대회

10.10.19()

~10.21()

대구 엑스코(EXCO)

43개국 3,275

(해외 975, 국내 2,300)

1:1미팅 218

기업전시 452부스

(256백만불 상담)

단체간 MOU 체결,

개최지생산유발효과 1,716

10차 대회

11.11.2()

11.4()

부산 BEXCO

40개국 4,010

(해외 1,002, 국내 3,008)

1:1미팅 620, 기업전시 598부스

(260백만불 상담)

단체간 MOU 체결, 지역업종별 한상네트워크 확산

11

대회

12.10.16()

~10.18()

서울 COEX

47개국 3,222

(해외 965, 국내 2,257)

1:1미팅 416, 기업전시 392부스

(167백만불 상담)

업종별 한상네트워크 및 영비즈니스리더네트워크 강화

12차 대회

13.10.29()

~10.31()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45개국 4,318

(해외 924, 국내 3,394)

상담건수 5,221

기업전시 463부스

(517백만불 상담)

국내중소기업의 해외진출 교두보 마련

YBLN 활동 구체화

13

대회

14.9.24()

~9.26()

부산대BEXCO 2전시장

42개국 3,712

(해외773, 국내2,939)

상담건수 4,538

기업전시 502부스

(120백만불 상담)

지역별 업종별 세미나 및 비즈니스 상담회 강화

14

대회

15.10.13()

~10.15()

경북경주시 경주화백컨벤션

44개국 3.799

(해외812, 국내2,987)

상담건수 4,878

기업전시 260부스

(112백만불 상담)

지역별 산업별 세션 강화

/한상기업 청년인턴쉽 프로그램 시행

15

대회

16.9.27()

~9.29()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56개국 3,542

(해외984, 국내2,558)

상담건수 6,995

기업전시 259부스

(118백만불 상담)

국가별·업종별 네트워크

고도화 및 한상기업

청년인턴십 확대시행

16

대회

17.10.25()

~10.27()

경남·창원

창원컨벤션센터

59개국 4,924

(해외 817, 국내4,107)

상담건수 10,513

기업전시 350부스

(188백만불 상담)

국가별·업종별 네트워크

고도화 및 한상&청년

Gotogether 내실화

17

대회

18.10.23()

~10.25()

인천

송도컨벤시아

62개국 5,070

(해외 880, 국내4,190)

상담건수 16,033

기업전시 464부스

(213백만불 상담)

한상의 정체성 강화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 내실화

18

대회

19.10.22()

~10.24()

여수

세계박람회장

53개국 4,482

(해외 790, 국내3,692)

상담건수 12,341

기업전시 311부스

(197백만불 상담)

한상대회 외연 및 한상참여 프로그램 확대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