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80대 어르신이 마을건강센터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 주민들이 주도하는 걷기 동아리 회원들의 즐거운 걷기의 날
보건복지부‘20년 건강생활지원센터 공모(적용) 현황
구 분 | 기본형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복지부 기존형) | 동단위형 건강생활지원센터 (부산시 마을건강센터 채택모형) |
근 거 | 지역보건법 제14조 | 좌동, 민선7기 공약 |
형 태 | 3~4개동 관장 | 1개 동 단위 |
장 소 | 지자체 내 별도 시설 | 동 주민센터 또는 마을 내 별도 시설 |
인 력 | 최소배치기준 6명(상근 5, 비상근 1) | 상근인력 3명(비상근3명) ※ 마을건강센터 인력 적극 활용 |
시설,예산 지 원 | ~ 825㎡(250평), 국비 10억이내 | ~330㎡(100평), 국비 0.75억이내 |
신축, 증축, 개보수, 매입, 분양 | 증축, 개보수 | |
지원단가 : 개보수 : 340천원(㎡), 신증축 : 1,670천원(㎡) | ||
장비지원 | 최대 1억원 한도 내 지원 | 최대 2천만원 한도 내 지원 |
기 능 | ∙관할지역 전체에 대한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사업(건강증진사업) ∙건강위험군 등에 대한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사업 ∙주민참여형 건강증진사업 | * 공모형 사업은 좌동 * 부산시 마을건강센터 사업 (주공, 건강생활지원센터, 커뮤니티케어) ・동 주민 상시 건강 스크리닝∙상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사업, ・건강증진 사업 및 프로그램 운영 ・주민 참여 건강생활실천사업 추진 ・치매∙방문건강관리사업∙모자보건 사업 수행∙연계 등 동 단위 건강 원스톱 서비스제공 ・동별 건강지표 조사∙분석, 주민 참여 마을건강계획수립∙추진 ・건강동아리 지원, 건강리더양성, 주민건강협의체 운영 등 |
마을건강센터 설치현황
구 분 | 마을건강센터 설치현황(거점시설) | 표준화사망비(건강취약동) | |||||
총계 | 설치수(개) | 비율 (%) | 설 치 동 | 계 | 100이상 | 110이상 | 120이상 |
206 | 58 | 28 | 주민센터(38), 복합(5), 건강생활지원센터(1), 복지관 등(14) | 140 | 45 | 42 | 53 |
중 구(9) | 2 | 22 | 동광(주민공동체시설), 영주1(주민센터) | 7 | 3 | 4 | 1 |
서 구(13) | 3 | 25 | 서대신1(주민센터), 남부민1(복합), 아미(행복센터) | 11 | 4 | 4 | 3 |
동 구(12) | 3 | 25 | 초량6(복합), 수정4(주민센터), 범일5(주민센터) | 9 | 1 | 3 | 5 |
영도구(11) | 3 | 27.2 | 동삼1(주민센터), 동삼3(아파트상가), 봉래2(EM센터) | 11 | 2 | 4 | 5 |
부산진구(20) | 4 | 20 | 당감4(주민센터), 개금3(복지관), 범천2(문화센터), 가야1(주민센터) | 20 | 7 | 6 | 7 |
동래구(13) | 2 | 15.3 | 명장2(주민센터), 명장1(주민센터) | 6 | 4 | 2 | 0 |
남구(17) | 3 | 17.6 | 우암1(구민체력단련장), 용호3(주민센터), 문현1(주민센터) | 11 | 6 | 2 | 3 |
북구(13) | 5 | 38 | 금곡(주민센터), 구포1(주민센터), 덕천3(주민센터), 만덕2(주민), 화명2(주민) | 10 | 5 | 1 | 4 |
해운대구(18) | 4 | 22.2 | 반송2(주민센터), 반여2(복합), 반여3(주민센터), 반송1(주민센터) | 6 | 1 | 1 | 4 |
사하구(16) | 5 | 31.3 | 장림1(주민센터), 신평1(복합), 감천2(복지관), 괴정3(주민센터), 괴정2(주민) | 9 | 3 | 4 | 4 |
금정구(17) | 2 | 11.7 | 서2(주민센터), 서3(건강생활지원센터) | 11 | 2 | 4 | 5 |
강서구(8) | 1 | 12.5 | 강동(강동지소) | 7 | 5 | 0 | 2 |
연제구(12) | 4 | 33.3 | 연산6(주민센터), 연산9(주민센터), 연산3(주민센터), 거제4(주민센터) | 7 | 3 | 3 | 1 |
수영구(10) | 4 | 40 | 광안1(주민센터), 광안2(주민센터), 민락(주민센터), 망미2(주민센터) | 4 | 3 | 1 | 0 |
사상구(12) | 12 | 100 | 모라3(주민센터), 학장(다누림센터), 주례3(주민센터), 덕포1(쉼터), 감전(주민센터), 주례2(주민센터), 모라1(작은도서관), 삼락(작은도서관), 덕포2(작은도서관), 엄궁(주민센터), 괘법(주민센터), 주례1(주민센터) | 12 | 3 | 2 | 7 |
기장군(5) | 1 | 20 | 기장읍(복합) | 5 | 3 | 1 | 1 |
※ 표준화 사망비 : 전국 평균을 100으로 봤을 때 상대적 행태 비율을 의미함.
(표준화비가 120이라면, 전국 평균보다 20% 사망이 높다는 의미)
표준화사망비 높은 지역(110이상)과 마을건강센터 설치 현황
구 분 | 마을건강센터 설치현황(거점시설) | 표준화사망비 110이상 (추가 설치되어야 할 동) | |
총계 | 설치수(개) | 설 치 동 | |
206 | 58 | 주민센터(38), 복합(5), 건강생활지원센터(1), 복지관 등(14) | |
중 구(9) | 2 | 동광(주민공동체시설), 영주1(주민센터) | 광복, 남포, 중앙, 부평 |
서 구(13) | 3 | 서대신1(주민센터), 남부민1(복합), 아미(행복센터) | 남부민2, 동대신1, 서대신3, 초장, 암남 |
동 구(12) | 3 | 초량6(복합), 수정4(주민센터), 범일5(주민센터) | 범일1, 범일4, 수정1, 초량1, 좌천1, 좌천4, 수정2, 초량2, 초량3, |
영도구(11) | 3 | 동삼1(주민센터), 동삼3(아파트상가), 봉래2(EM센터) | 청학1, 신선, 동삼2, 영선1, 영선2, 봉래1, 청학2, |
부산진구(20) | 4 | 당감4(주민센터), 개금3(복지관), 범천2(문화센터), 가야1(주민센터) | 부전1, 당감2, 개금1, 범천1, 전포1, 초읍, 양정1, 부암1, 범천4, 개금2, 전포3 |
동래구(13) | 2 | 명장2(주민센터), 명장1(주민센터) | 온천1, 사직1 |
남구(17) | 3 | 우암1(구민체력단련장), 용호3(주민센터), 문현1(주민센터) | 문현2, 용호2 |
북구(13) | 5 | 금곡(주민센터), 구포1(주민센터), 덕천3(주민센터), 만덕2(주민), 화명2(주민) | 덕천1, 만덕1 |
해운대구(18) | 4 | 반송2(주민센터), 반여2(복합), 반여3(주민센터), 반송1(주민센터) | 송정 |
사하구(16) | 5 | 장림1(주민센터), 신평1(복합), 감천2(복지관), 괴정3(주민센터), 괴정2(주민) | 다대1, 괴정1, 감천1, 장림2, 다대2 |
금정구(17) | 2 | 서2(주민센터), 서3(건강생활지원센터) | 서1, 선두구, 금성, 장전2, 남산, 금사, 부곡1 |
강서구(8) | 1 | 강동(강동지소) | 대저1 |
연제구(12) | 4 | 연산6(주민센터), 연산9(주민센터), 연산3(주민센터), 거제4(주민센터) | 연산1, 연산3, 연산8, 거제4 |
수영구(10) | 4 | 광안1(주민센터), 광안2(주민센터), 민락(주민센터), 망미2(주민센터) |
|
사상구(12) | 12 | 모라3(주민센터), 학장(다누림센터), 주례3(주민센터), 덕포1(쉼터), 감전(주민센터), 주례2(주민센터), 모라1(작은도서관), 삼락(작은도서관), 덕포2(작은도서관), 엄궁(주민센터), 괘법(주민센터), 주례1(주민센터) |
|
기장군(5) | 1 | 기장읍(복합) | 일광면, 장안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