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알고 싶은 경기 마을버스정보, 언제 어디서나 한눈에 본다

경기도,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서비스 17일 전면시행

○ 경기도, 11월부터 全 시·군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실시
  - 마을버스가 운행되는 21개 시·군, 751개 노선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실시
  - 스마트폰 앱 ‘경기버스정보’와 홈페이지 ‘gbis.go.kr’에서 실시간으로 확인가능
 ○ 경계 없는 마을버스정보 제공을 통해 버스이용객 편의 증진 
  - 인접 시·군 관할 마을버스 도착정보도 안내전광판에 통합 표출
  - 경기, 서울, 인천 마을버스정보 연계를 통해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마을버스정보 제공
 
내가 타고 싶은 마을버스의 현재위치, 정류소 도착시간 등을 올해 11월부터 스마트폰 앱 ‘경기버스정보’ 등을 통해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경기도는 도내 모든 마을버스의 실시간 운행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서비스’를 오는 17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비스 대상은 고양, 과천, 의정부 등 현재 마을버스를 운행 중인 도내 21개 시·군 총 751개 노선이다. 
그간 경기지역 마을버스는 시내·시외버스와는 달리 실시간 운행정보가 일부 시·군의 전광판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제공됐었고, 통합적인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아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도는 이 같은 불편을 해소하고자 2015년부터 ‘마을버스정보 통합 제공 3개년 계획’을 수립·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먼저 2015년에는 성남, 광명 등 10개 시에 도입을 완료하고, 2016년에는 고양, 부천 등 8개시를 추가 확대했다. 올해에는 11월 의정부시를 마지막으로 시스템에 포함함으로써 총 21개 시·군의 마을버스 통합 제공 서비스 구축을 완료하는데 이르렀다.
이번 서비스는 시·군 경계를 넘는 노선임에도, 그간 지자체 간 시스템이 호환되지 않아 타 시·군의 이용객은 불편했다는 단점도 개선했다. 과거 사례의 경우, 남양주에서 출발해 구리로 도착하는 마을버스 탑승객은 남양주에서는 운행정보를 제공받았지만, 구리에서는 해당 노선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었다.
도는 이를 위해 21개 시·군은 물론, 서울시·인천시 등과도 ‘상호 정보 연계·공유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로써 행정구역에 따른 경계를 초월, 언제 어디서나 경기 마을버스 운행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이 서비스는 경기도가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 ‘경기버스정보’는 물론, 홈페이지(www.gbis.go.kr), ARS(1688-8031)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내 버스정류소에 설치된 1만여 대의 안내전광판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배홍수 경기도 교통정보과장은 “이번 마을버스정보 통합 시스템 구축으로 2007년 시내버스, 2012년 시외, 공항버스에 이어 도내 모든 노선버스에 대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완료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도민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기록적 폭염에 고양시 ‘총력 대응’… 도심부터 취약층까지 빈틈없이 지킨다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연일 이어지는 기록적인 폭염 속에서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전방위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최근 전국적인 폭염으로 온열질환자는 지난해의 약 3배인 2,400명, 폐사 가축 수도 전년 대비 10배인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 고양시 온열질환자도 지난해 14건에서 올해 7월 말 현재까지만 34건에 달하는 등 피해가 심각하다. 폭염특보 발령일도 지속 증가 추세다. 고양시 특보발령일은 2022년 24일에서 2023년에는 38일, 지난해에는 70일로 급증했다. 올해는 7월 말까지 24일을 기록했으며‘7말 8초’가 더위의 절정에 달하고 폭염 장기화 전망을 감안하면 올해 더위가 지난해를 앞지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부도 국가비상사태 수준으로 폭염 대응에 나선 가운데 고양시는 도심 주요도로에 살수차를 투입하고, 공사장 근로자 안전관리를 강화하며, 폭염취약계층 보호에 선제적으로 나서는 등 모든 행정력을 동원한 대책을 가동 중이다. 살수차·쿨링로드 운영으로 체감온도↓… 야외근로자 사망사고 예방도 만전시는 도로 복사열과 열섬현상으로 인한 체감온도를 낮추기 위해 민·관·군 협력체계를 통해 살수작업을 대폭 강화했다. 각 구청별로 살수차를 2대씩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