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고병원성 AI 발생 및 방역상황 보고

우리시 고병원성 AI 발생 및 전국 확산에 따른 방역 조치사항 임

부산 :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527(’16.12.15. 발생/12.16. 확진, 1농가 27수 살처분) 
전국 : 2개 특·광역시(부산, 세종), 7개 도(강원, 경기, 충남·북, 전남·북, 경남) → 307호 30백만수 

우리시 가금사육 : 닭 103,212수(137농가, 전국대비 0.06%), 오리 2,382수(19농가, 전국대비 0.03%)
  
 주요추진
추진사항⟶ 야생조류 폐사체 검사 28건 32수 / 결과 16건 18수 음성 
보호지역 내(~3km이내) 예방적 살처분 : 16농가 1,456수(닭 1,374, 오리 82)
거점소독시설 및 이동통제초소 설치‧운영 : 24시간 현장 근무
거점소독시설 2개소(강서 1, 기장 1)/이동통제초소 14개소(강서 4, 기장 10)  
AI 긴급 방역비 지원(중앙, 시) : 기장 330백만원, 강서 170백만원 
축산농가용 소독제 등 배부 : 소독제 1,127L, 생석회 800포, 방역복 720벌
장관 주재 매일(08:30) 각 부처, 시·도 부단체장 영상회의(구·군 동시 청취)
시장·장관 AI 발생현장 점검(’16. 12. 21(수) / 12. 24(토)) 
야생조류 분변 AI 검사 : 장안천 1개소, 낙동강하구 2개소 130점 전건 “음성”(12.28)
을숙도 야생조류 분변 고병원성 AI 검출 : 반경 10km이내 37개 농가 이동제한
야생조류(쇠기러기 1수) 고병원성 AI(H5N6) 발생 : 채취’16.12.27, 확진’17. 1. 3.
 전일추진
소비자 자가 소비용 가금류 사육자 전화 예찰 및 SMS 발송  
보건소 소독차량, 군 제독차량 4대 소독지원(강서, 기장) : 가금사육농가, 철새유입지
해운대구 AI 의심사체 접촉자 모니터링 실시(10일간)
  금후계획
길고양이 AI 모니터링 검사 :‘17.1.3~1.13, 10두 이상
을숙도 고병원성 AI 검출 방역대 농가 이동제한 해제 실시 :‘1.3~1.13
야생조류 AI 검사(장안천 1개소, 낙동강하구 2개소) : ’16. 12. 14~’17. 1. 24. 
가금사육농가 소독지원 방역단 편성‧운영(지속)
강서구, 기장군, 보건소, 부산축협, 동물위생시험소, 군부대 등
철새도래지 인근 농가 차단방역 홍보 및 강화 조치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