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환경연구원, 2016년~2018년 3년간 계획된 부산시 어린이집에 대한 실내공기질과 먹는 물 전수조사 중 1차년도 조사완료
1차년도 6개 구에서 실내공기질 87.5 % 개선, 먹는 물 100 % 개선 효과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설승수, 이하 연구원)은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노인·어린이·장애인 등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환경질 전수 조사 결과, 상대적으로 어린이집에 대한 부적합률이 높아 어린이집에 대한 환경질 조사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연구원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법정·비법정을 포함한 부산시 모든 어린이집에 대해 환경질 조사를 실시하며, 올해 1차년도의 환경질 조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환경질 조사 사업은 중구, 서구, 동구, 동래구, 북구, 해운대구의 6개구에 위치한 638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의 △실내공기질에서 부적합 우려가 높은 총부유세균과 폼알데하이드 △먹는물에서 총대장균군과 탁도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실내공기질의 경우 조사대상시설의 16.3 %인 104개소가 1차 기준 초과했으나, 실내공기질 관리요령에 대한 교육과 재검사(2차)를 통한 검사결과 △기준초과시설이 87.5 % 감소 △총 대상 시설의 2.0 %인 13개 시설에서 실내공기질 총 부유세균이 유지기준 800CFU/㎥를 초과했다.
또한, 먹는 물은 1차 기준초과시설이 15개소였으나 물탱크나 정수기 청소 후 재검사(2차)한 결과 △100 % 감소하여 먹는 물 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은 없었다.
그러나 재차 기준초과를 보이는 일부 시설들은 환기 및 청소만으로는 환경개선이 어려운 구조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설개선 등을 위해 구․군 관련부서의 적극적 관심과 협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1차년도 조사결과는 취약계층 보건환경개선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며, 2017년에는 영도구, 부산진구, 금정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등 6개구의 비법정 어린이집 약 600 개소에 대해 올해와 같은 환경질조사를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고 전하며, 해당 어린이집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