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토부, 제 9회 2016 스마트국토엑스포 개최


2016년 08월 30일 공간정보 산업의 현재를 확인하고 미래를 전망해보는 기회가 될 2016 스마트국토엑스포’가 31일부터 9월 2일까지 3일간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구 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된다. 

올해로 9번째를 맞는 2016 스마트국토엑스포에서는 공간정보, 생활을 디자인하다(Connect the future)라는 주제로 전시관(국토교통 7대 신산업 소개, 스마트홈·가상현실 등 체험존 및 기업 전시부스로 구성), 공간정보 아이디어 경진대회, 공간정보 해외협력을 위한 양자간 양해각서 체결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행사의 핵심 축인 전시관은 국토교통 7대 新산업 및 공간정보 산업 관련 콘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획되었으며, 국가공간정보기반(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의 영문약자를 활용하여 N, S, D, I의 4개 Zone으로 구성되어 있다. 

N zone (New trend): 국토교통부 7대 新산업 소개, 공동관/체험존 
S zone(Service, SI, S/W): 공간정보 서비스산업, 융복합산업 
D zone(Development): 공간정보 구축기술 산업 및 기관/지자체 
I zone(Interaction): 설명회 및 교육강좌 프로그램 

올해 전시회의 관전 포인트가 될 N 존에는 드론,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 국토교통 7대 신산업에 대한 소개와 함께,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홈 체험, 선릉역을 실제 걷거나 스키점프를 직접 타는 듯한 이색적인 가상체험(VR), 첨단 자율주행 체험이나 미니드론을 직접 날리는 재미를 맛볼 수 있는 체험존이 마련되어 있다. 

S존과 D존에는 네이버·카카오 등을 비롯한 국내 유수의 공간정보 기업 및 단체들이 참여해 증강현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실내공간정보 등 메가트랜드 신기술과 융복합을 이룬 공간정보 산업의 최신 동향을 보여줄 예정이다. 

행사 둘째날에는 2016 공간정보 융·복합 아이디어 경진대회가 개최되어 공간정보가 활용된 다양한 아이디어를 선보일 예정이다. 

 (시간/장소) 9.1.(목), 13:00∼16:00/더케이호텔 가야금 B실(서울 양재동)(주최/주관) 국토교통부/한국국토정보공사 

경진대회는 “공간과 결합된 아이디어가 미래가치를 창조한다!”를 모토로 대학생, 창업 준비자 등의 참가팀*들이 개발한 앱(App)을 현장에서 시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총 88개 팀이 참가, 중간평가(`16.8.9)를 거쳐 11개 팀이 최종본선 진출 

정부는 지난 두 달간(7.1~8.31) 본선진출이 확정된 11개 팀에게 공간정보 무상제공, 전문가 컨설팅 및 개발환경 제공 등을 통해 인큐베이팅*을 지원해 왔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 전용 길 찾기, 공간정보 3D 프린터 출력과 같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상품화되어 경진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발굴된 아이디어를 전문 컨설팅, 비즈니스 모델개발 지원, 상품기획 및 판매전략 수립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과정 

수상작은 관람객 평가(10%)와 전문가 평가(90%)를 거쳐 선정하며, 대상(大賞)에게는 국토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이 수여된다. 

 국토교통부 장관상 : 대상(1,000만 원) 1명, 최우수상(500만 원) 1명한국국토정보공사 사장상 : 우수상(300만 원) 1명, 장려상(100만 원) 2명 

이번 행사 중에는 국내 공간정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에 도움이 될 “공간정보분야 해외협력을 위한 양자간 양해각서(MOU)”도 체결된다. 

8월 31일 13시 더케이호텔에서 국토교통부 차관과 튀니지의 ‘모함메드 살라 아르파위(Mohamed Salah Arfaoui)’ 국토개발부 장관과 양해각서가 체결될 예정이다. 

이어서 스리랑카의 ‘존 안토니 엠마뉴엘 아마라툰카(John Anthony Emmanuel Amaratunga)’ 토지부 장관, 방글라데시 ‘싸이푸자만 쇼드리(Saifuzzaman Chowdhury)’ 토지부 정무장관, 에티오피아의 ‘벨레테 타파레(Belete Tafere)’ 총리 자문장관과는 “공간정보 분야 해외 협력을 위한 양국 간 면담"을 실시한다. 

아울러 한국의 공간정보 구축사례를 공유하고 각 국의 공간정보 기반 시설(인프라) 개발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튀니지, 우루과이, 스리랑카, 키르기스스탄 등 14개 국가의 공간정보 관련 부처 인사 40여 명이 참가하는 국제 공간정보 발전협력회의도 개최된다. 
국제 공간정보 발전협력회의(IMAGIC)는 ∆우리나라 및 참가국 공간정보 사례를 공유하는 라운드테이블 회의와 워크숍 ∆한국기업 공간정보 기술설명회 ∆비즈니스(업무) 미팅 등으로 구성 

이밖에 우수인재 채용을 위한 한국국토정보공사의 경력직 채용면접,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모의면접 시연, 공간정보사업진흥원의 고졸직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채용설명회 등과 함께 새싹기업(스타트업) 기술설명회 등도 열린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국가에서 산업부문별로 표준화 한 것 

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는 그 자체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지만, 신기술과 결합할 때 더 큰 가치를 발휘한다며, 이번 스마트국토엑스포가 국민들에게 이러한 인식을 널리 알리고, 국내 공간정보기업들에게는 전략적인 해외진출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