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재해·안전·예방

도, 교량과 터널 등 도로구조물 821개소 안전 점검

○ 도 관리 821개소 도로구조물에 32억 원을 투입해 안전 점검 등 실시
○ 도로구조물 안전 점검실시로 도민의 안전 확보, 예산의 효율적 집행 도모
- 위험 요소 발견 시 즉각적인 처리와 구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보수공사 실시


경기도건설본부는 올해 경기도가 관리하는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 및 지방도 내 교량, 하천 등 도로구조물 821개소를 안전 점검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상반기와 하반기 육안 점검 위주로 진행되는 ‘정기 점검’, 일부 구조물을 선별하고 현장 재료시험을 비롯해 구조물 안전성을 평가하는 ‘정밀 점검’, 시설물안전법상 정기 점검 대상 2개소(지방도 363호선 봉일천교, 지방도 359호선 임월교)에 대한 ‘정밀 진단’으로 구성됐다.
점검 대상 821개소(총연장 약 8만6,000m)는 ▲교량 709개소 ▲터널 28개소 ▲절토 사면 58개소 ▲옹벽 14개소 ▲지하차도 7개소 ▲보도육교 5개소다. 경기남부가 481개소, 경기북부가 340개소다. 점검에는 예산 약 32억 원이 투입된다.
도는 점검 과정에서 자재 균열 등 위험 요소를 확인하면 즉각 보수 처리하고, 구조물 안전 공사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대희 경기도건설본부장은 “올해는 중대재해법이 시행되는 원년으로 공중이용시설의 안전관리에 대한 전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도민의 높아진 안전의식에 부합하고 물 샐 틈 없는 도로관리를 위해 안전 점검을 통한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이뤄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고

 

           2022년 도로구조물 안전점검 계획

                
 안전점검 계획

구 분

대상구조물(개소)

점검시기

내 용

예 산

(백만원)

남부

북부

정기점검

821

481

340

하반기

1,2,3종 및 기타구조물에 대한 육안점검

1,290

정밀점검

122

75

47

`22.2.~12.

육안점검 및 현장재료시험 등 구조물 상태 및 안전성 평가

1,742

정밀진단

2

-

2

`22.10.

구조물의 상세분석 및 시험 등을 통한 상태 및 안전성 평가

160

            
소관 도로구조물 현황
 - 821개소(교량 709, 터널 28, 지하차도 7, 옹벽 14, 보도육교 5, 절토사면 58)

구 분

1종시설물

2종시설물

3종시설물

기타시설물

개소

연장(m)

개소

연장(m)

개소

연장(m)

개소

연장(m)

개소

연장(m)

821

86,133

41

15,063

199

49,041

306

13,103

275

8,926

남 부

481

47,251

15

8,128

108

26,381

193

8,390

165

4,352

북 부

340

38,882

26

6,935

91

22,660

113

4,713

110

4,574

교량

소계

709

51,015

40

13,497

105

18,159

297

12,219

267

7,140

남부

424

28,771

14

6,562

62

10,675

185

7,540

163

3,994

북부

285

22,244

26

6935

43

7,484

112

4679

104

3,146

터널

소계

28

14,530

1

1,566

21

11,762

4

630

2

572

남부

14

7,571

1

1,566

9

5,375

4

630

 

북부

14

6,959

 

 

12

6,387

 

 

2

572

지하

차도

소계

7

2,306

-

-

4

1,755

1

31

2

520

남부

3

526

 

 

2

495

1

31

 

 

북부

4

1,780

 

 

2

1,260

 

 

2

520

옹벽

소계

14

3,844

-

-

11

3,375

1

133

2

336

남부

5

1,524

 

 

4

1,391

1

133

 

 

북부

9

2,320

 

 

7

1,984

 

 

2

336

보도

육교

소계

5

448

-

-

-

-

3

90

2

358

남부

4

414

 

 

 

 

2

56

2

358

북부

1

34

 

 

 

 

1

34

 

 

절토

사면

소계

58

13,990

-

-

58

13,990

-

-

-

-

남부

31

8,445

-

-

31

8,445

-

-

-

-

북부

27

5,545

 

 

27

5,545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순천철도문화마을, 시간과 쉼이 있는 도심웰니스 여행지
100년 철도역사를 품은 순천 조곡동 철도문화마을이 ‘살아보는 여행’과 ‘웰니스 콘텐츠’를 접목한 도심 체류형 관광지로 재조명되고 있다. 시는 원형 보존된 철도문화 자산과 관사 시설을 활용해 도심 속 지속가능한 관광거점을 조성해 왔으며, 민간위탁 운영기관과 협력해 ‘머무는 여행지’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 100년 철도역사 간직한 마을이 생활형 관광지로 자리매김 조곡동 철도문화마을은 1936년 전라선 개통과 함께 조성된 철도관사촌으로 순천철도사무소 직원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계획적으로 형성됐다. 서울·대전·부산·영주 등과 함께 전국 5대 철도관사촌 중 하나로 꼽혔으나, 원형이 유지된 곳은 순천이 유일하다. 운동장, 병원, 수영장 등 근대식 복지시설을 갖춰 ‘근대형 신도시’로 불렸던 이곳은 해방 후에도 철도청 관할로 운영되었으며, 현재 약 50여 가구의 관사가 남아, 일부는 게스트하우스나 철도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체험과 교육, 숙박이 조화를 이루는 다채로운 관광 콘텐츠 제공 철도문화마을은 철도마을박물관, 철도문화체험관, 기적소리 전망대, 관사 1·2호, 게스트하우스 등 6개 시설을 중심으로 생활형 관광지로 자리 잡았다. 박물관과 체험관은 순천시 직영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도내 첫 글로컬대학 건양대 전폭 지원”
전형식 충남도 정무부지사는 28일 건양대 콘서트홀에서 열린 ‘2025 글로컬대학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건양대의 새로운 도약을 축하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교육부가 주관하는 글로컬대학은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대학의 위기가 심해지는 상황에 대응해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선도대학을 선정, 집중 지원·육성하는 사업이다. 도내에서는 지난해 8월 건양대가 처음으로 글로컬대학에 지정됐다. 전 부지사를 비롯한 지자체·정부 관계자,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군 관계자, 해외 초청 인사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번 행사는 기념 공연, 개회사 및 축사, 건양대 글로컬대학 사업 소개, 비전 선포, 기조 강연, 발표 및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서 건양대는 ‘지역과 함께 세계로, 케이(K)-국방산업 선도대학’이라는 비전을 선포하고,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국방산업 중심의 지역발전 선도대학 △학생 중심의 국방 융합 인재 양성대학 △세계와 지역을 잇는 글로컬대학이라는 3대 목표를 공식화했다. 이 자리에서 전 부지사는 “K-방산이 혼란스러운 국제 정세 속에서 새로운 수출 효자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데 건양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