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장관 한정애),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바다와 하천이 만나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 8월 20일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한 ‘낙동강 하굿둑 3차 개방운영 결과’와 10월 19일부터 약 1개월간 실시하는 ‘4차 개방운영 계획’을 공개했다.
<낙동강 하굿둑 2021년도 3차 개방운영 결과>
□ 지난 3차 개방은 바다조위(해수면 높이)가 하천수위보다 높거나 비슷하여 바닷물이 하천으로 들어올 수 있는 시기(대조기)를 포함하여 8월 20일부터 9월 15일까지 실시됐다.
○ 하천 유량이 많은 홍수기(매년 6월 21일~ 9월 20일) 상황에서 개방기간 중 총 362만㎥의 바닷물을 유입했고, 목표지점(9km)에 근접한 하굿둑 상류 8km 부근까지 기수역을 형성했다.
※ 해수유입량 : (1차 개방, 4.26∼5.21) 179만㎥, (2차 개방, 6.22∼7.20) 207만㎥
○ 하굿둑 및 상류(3지점), 하류(2지점)에서 수문 개방 전·후 어류를 조사한 결과 뱀장어, 숭어, 문절망둑, 점농어, 농어 등 다양한 기수어종이 포획되어 수문 개방에 따른 생태소통 효과를 확인했다.
○ 하굿둑 수문개방으로 인한 인근 지하수의 유의미한 염분 변화는 없었으며, 바다측 염분도 하굿둑 개방영향보다는 강우와 하굿둑 방류량에 더 크게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낙동강 하굿둑 2021년도 4차 개방운영 계획>
□ 하굿둑 4차 개방은 10월 19일부터 11월 12일까지 진행되며, 10월 19일부터 환경부, 해양수산부, 부산시,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관계기관 합동상황실(하구통합운영센터)을 구성·운영한다.
○ 하굿둑 개방은 상류 취수원 및 서낙동강 지역의 농업에 영향이 없도록 하굿둑 상류 12km 내외로 기수역 범위를 조절할 계획이며, 자연스럽게 바닷물이 오가는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개방 수문을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운영 방식을 시도할 계획이다.
○ 또한, 농업에 피해가 없도록 지속적으로 지하수위 및 염분을 관측하고,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관측 및 생물종 채집 등을 통해 가을철 기수생태계의 변화도 살펴볼 예정이다.
□ 특히, 4차 개방기간은 연어(회유성 어종)가 바다에서 하천으로 이동하는 시기로 수문부 집중조사 및 연어의 이동경로 추적조사 등을 통해 개방에 따른 연어의 이동을 자세히 관찰할 예정이다.
○ 이번 4차 개방과 연계하여 과거 낙동강 하구 대표 생물종인 재첩의 서식지 복원을 위한 재첩 방류 사업도 연내 시행할 예정이다.
※ ’21년도 생태계 복원사업 : 어린연어(3월)·동남참게(6월) 방류, 새섬매자기 식재(7월)
□ 박재현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이번 3차 개방은 홍수기 상황에서 낙동강 하구 기수환경 조성경험을 축적했으며, 4차 개방을 통해 수문 운영방식을 최종 점검할 계획”이라며,
○ “앞으로도 농․어민, 시민단체, 전문가 등 하굿둑 개방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와 충분히 소통하여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기수생태계 복원을 추진하고, 그 성과를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3차 개방운영 현장사진.
2. 4차 개방운영 세부계획.
3. 낙동강 하구 현황.
4. 전문용어 설명. 끝.

| 
|
< 해수유입(저층) > | < 해수유입(표층) > |

| 
|
< 숭어 채집 > | < 점농어 채집 > |

| 
|
< 문절망둑 채집 > | < 뱀장어 채집 > |

구분 | 해수유입 시기 |
해수 유입 개방 | 1대조기 (10.19∼10.23(5日)) | 2대조기 (11.03∼11.07(5日)) |
·1차: 10.19 - / 19:30∼20:40 ·2차: 10.20 07:40∼08:50 / 20:10∼21:00 ·3차: 10.21 08:00∼09:40 / - ·4차: 10.22 08:30∼10:00 / - ·5차: 10.23 09:10∼10:20 / - | ·1차: 11.03 - / 18:20∼20:30 ·2차: 11.04 06:40∼09:10 / 18:50∼21:20 ·3차: 11.05 07:10∼10:00 / 19:30∼22:00 ·4차: 11.06 07:50∼10:50 / 20:30∼22:20 ·5차: 11.07 08:40∼11:20 / - |
총 97 만㎥ 유입 | 총 103 만㎥ 유입 |
생태 소통 개방 | 1소조기 (10.24∼11.02(10日)) | 2소조기 (11.07∼11.12(6日)) |
· 하천수위와 바다수위가 유사한 시기에 일부 해수유입 가능 · 목표 기수역 조성범위를 초과하는 해수유입이 예상될 경우 일시 수문 폐쇄 |
※ [참고] 해수유입 방식 비교 구분 | 일정개도 유지 방식 | 수시개도 조절 방식 | 수문 개도 | 
| 
| 해수 유입 형태 | 
대조기 총량 이내 유입 | 
회차별 목표량 유입 | 장점 | 자연스러운 기수역 조성, 운영 편리 | 빠르게 목표범위 기수역 조성 | 단점 | 목표 기수역 조성범위 및 속도 감소 | 운영복잡 및 분석횟수 많음 | 적용 시기 | 4차 시범운영 | 1∼3차 시범운영 |
|

○ 기수역(Brackish water zone, 汽水域)
- 강물(담수)과 바닷물(해수)이 만나 염분의 농도가 강물보다는 높고 바닷물보다는 낮게 나타나는 강의 하구 일대
○ 대조기·소조기(Spring tide and Neap tide, 大潮期·小潮期)
- 약 15일 마다 삭 또는 망일 때 일어나는 조차가 큰 조석을 대조기, 상현 또는 하현일 때 일어나는 조차가 작은 조석을 소조기라 함
○ 회유성 어종(Migration species, 回遊性 魚種)
- 알에서 부화하여 바다로 갔다가 성어가 되어 민물로 돌아오는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