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강원도 춘천시 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첫 검출

▷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산자락에서 발견
▷ 수색·포획 강화, 울타리 점검 등 주변 지역 확산 차단


□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광역울타리 내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1개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8월 26일 검출됐다고 밝혔다.

 ○ 폐사체 발견지점은 최근 양성이 확진된 화천군 사내면 용담리 및 원천리 지점과 직선거리로 약 7km 떨어져 있으며, 남쪽 약 7km에 화악산 구간 광역울타리가 설치되어있다.
    * 최근 용담리 7월 17일, 원천리 8월 12일 검출

 ○ 춘천시는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표준행동지침에 따라 시료를 채취하고, 현장 소독과 함께 매몰했다.

□ 환경부는 이 지역의 울타리 구간 주변으로 민가, 농경지가 많아 북쪽의 두류산, 장군산 일대로부터 확산해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전파경로에 대해서는 발견지점 주변 폐사체 수색, 환경 조사 등을 통해 보다 세밀하게 파악할 예정이다.

□ 환경부는 춘천시에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처음 검출됨에 따라, 주변 지역으로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강화된 방역조치를 시행한다.

 ○ 우선, 감염 멧돼지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기존 광역울타리에 대한 훼손 여부, 출입문 개폐상태 등을 즉시 점검하고, 취약구간 발견 시 즉시 보강한다.

   - 또한, 울타리 관리원을 상시 순찰하도록 하는 등 울타리 출입문 닫힘상태를 철저하게 유지한다.

 ○ 감염확산 범위 및 추가 폐사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춘천 사북면 일대 5개 리(理*)와 광역울타리 외 지역인 춘천 오월리, 가평군 화익리에 수색인력 15명을 투입하여 집중수색한다.

    * 오탄리, 원평리, 신포리, 지암리, 지촌리

 ○ 발생지점 인근 교량 및 출입문 등 확산우려가 있는 구간에는 포획틀(22개)과 포획트랩(100개)을 집중 설치하고, 전담 관리원 8명을 배치하여 안정적으로 개체수를 저감한다.

 ○ 차량·사람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화천 사내면 및 춘천 사북면에서 활동한 엽사의 위치추적시스템(GPS) 정보를 활용하여 이력을 관리하고, 포획도구 소독 상태를 점검하는 등 방역관리를 강화한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춘천 발생지점 반경 10km 내 새롭게 추가된 양돈농가 1호에 대해 이동제한과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매일 전화예찰과 농장 주변도로, 진입로를 소독하는 등 관리를 강화한다.

 ○ 또한, 방역대 등 접경지역 양돈농장 진입로, 주변도로에 대해 출입차량과 인력에 대한 소독은 지속적으로 철저히 실시한다.

□ 한편, 환경부는 지난 8일간(8월 19일~26일) 강원도 화천군, 철원군,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및 경기도 연천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16건이 추가로 확진되어 현재까지 총 727건*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 파주 98건, 연천 281건, 포천 17건, 철원 33건, 화천 279건, 양구 8건, 인제 6건, 고성 4건, 춘천 1건

 ○ 이 기간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검사한 멧돼지 시료는 총 156건으로, 폐사체 시료가 40건, 포획개체 시료가 116건이었다.

□ 또한, 환경부는 집중호우 기간 및 태풍 ‘바비’로 인한 울타리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피해 구간을 긴급 복구하고 있다.

    * 2차울타리 손상구간 16.3km 중 98.1% 복구완료, 광역울타리 손상구간 4.2km 중 97% 복구 완료, 잔여구간은 지뢰 및 침수지대로 순차적 복구 예정

□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견 시 접근하지 말고, 지자체 등에 신속히 신고하고, 발생지역 인근 산지와 울타리 내 출입을 자제해줄 것을 당부했다. 

  붙임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출현황.  끝.

붙임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출현황(8.2618시 기준)




 

< 지역별·월별 멧돼지 ASF 발생현황(~8.26) >

ASF 발생(건수)

파주

연천

철원

화천

춘천

양구

고성

포천

인제

‘19

10

5

7

6

-

-

-

-

-

-

18

11

6

2

7

-

-

-

-

-

-

15

12

8

10

4

-

-

-

-

-

-

22

소계

19

19

17

0

0

0

0

0

0

55

‘20

1

27

20

2

34

 

-

-

-

-

83

2

22

45

3

73

 

-

-

-

-

143

3

17

94

1

77

 

-

-

-

-

189

4

11

52

6

38

 

3

3

2

-

115

5

2

24

-

18

 

-

1

1

-

46

6

-

17

-

5

 

-

-

2

-

24

7

-

7

-

17

 

-

-

10

-

34

8

-

3

4

17

1

5

-

2

6

38

소계

79

262

16

279

1

8

4

17

6

672

총 계

98

281

33

279

1

8

4

17

6

727


< 멧돼지 ASF 검사현황(‘20.8.19~26) >

검사시료 건수

분석결과

합계

폐사체

포획

양성

음성

양성

음성

156

(폐사체 40, 포획 116)

156

15

25

1

115

발생지역

파주

3

0

0

0

3

연천

18

1

1

1

15

포천

20

0

0

0

20

철원

8

2

2

0

4

화천

17

5

5

0

7

양구

24

3

7

0

14

인제

46

3

3

0

40

고성

7

0

1

0

6

춘천

8

1

5

0

2

그 외 지역

5

0

1

0

4


< 멧돼지 ASF 발생건별 세부사항(‘20.8.19~26) >

구분

신고

확진

시도

시군구

주 소

종류

발견자

비고

712

8.18

8.19

강원

철원

근남면 육단리 산88-1

폐사체

군인

 

713

8.18

8.19

강원

화천

상서면 다목리 산47

폐사체

주민

 

714

8.18

8.19

강원

철원

근남면 육단리 산88-1

폐사체

군인

 

715

8.18

8.19

강원

양구

동면 팔랑리 산1-5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716

8.18

8.19

강원

화천

상서면 구운리 369-1

폐사체

수렵인

 

717

8.19

8.20

강원

화천

화천읍 풍산리 산1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718

8.19

8.20

강원

인제

인제읍 가아리 산57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719

8.20

8.21

강원

양구

동면 팔랑리 산84

폐사체

주민

 

720

8.20

8.21

경기

연천

연천읍 부곡리 산156

폐사체

민간인

 

721

8.19

8.21

경기

연천

장남면 자작리 761

수렵개체

수렵인

 

722

8.23

8.24

강원

화천

상서면 다목리 산1-1

폐사체

주민

 

723

8.22

8.24

강원

인제

서화면 천도리 산1

폐사체

주민

 

724

8.22

8.24

강원

인제

서화면 천도리 산1

폐사체

주민

 

725

8.23

8.26

강원

춘천

춘천시 사북면 오탄리 산112

폐사체

주민

 

726

8.25

8.26

강원

화천

간동면 방천리 741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727

8.25

8.26

강원

인제

서화면 천도리 산29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연천군, 접경지역 AI 기반 그린바이오 미래 성장 전략 모색
경기도 연천군(군수 김덕현)은 지난 6월 27일 국립 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된 『2025 지리학대회 접경지역 AI 특별 세션』에 참석하여 AI 기술을 활용한 접경지역 전략산업 및 지정학적 재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특별 세션은 대한지리학회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AI·GIS·그린바이오·안보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기조 발제를 통해, “연천군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DMZ 천연자원을 비롯해 임진강·한탄강 등 풍부한 수자원과 드넓은 가용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AI 기반 정밀농업 실행과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천군은 현재 ▲자율주행 트랙터 및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증사업, ▲국내 최초 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사업, ▲연천 BIX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AI 기반 미래 전략산업(그린바이오)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연천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및 DMZ 접경지역의 지리·생태적 강점을 바탕으로 AI 정밀농업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남북 농업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