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산림청, 2019년 주요 임가경제지표 발표

지난해 임가소득 평균 3천7백50만 원, 소득 오르고 부채 줄어


 산림청(청장 박종호)은 2019년 임가경제 조사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지난해 농․어가소득은 모두 감소(2.1%, 6.6%)한 반면, 임가소득은 3천7백50만 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건․오락/문화․감가상각비 등의 소비지출이 늘어나면서 가계지출도 3.8% 증가했다.

 조사 결과, 지난해 임가소득이 늘어난 것은 임업 외 소득은 감소(3.5%)하였지만, 임업소득(6.1%), 이전소득(3.3%), 비경상소득(22.4%)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대추, 떫은감, 조경수 등의 판매로 얻은 임업소득의 증가에 힘입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가경제조사는 임가의 소득, 지출, 자산, 부채 등의 임가경제 동향을 파악하기 지난 2006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전국 1,110개 임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임가소득 동향>                                                                                                                                                                                                  (단위 : 만 원, %)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증감률

(19 /18)

구성비

임가소득

3,222

3,359

3,459

3,648

3,750

100.0

2.8

경상소득

3,009

3,155

3,266

3,414

3,464

92.4

1.5

 

임업소득

1,059

1,131

1,154

1,241

1,317

35.1

6.1

 

임업외소득

1,310

1,332

1,382

1,445

1,395

37.2

-3.5

 

이전소득

640

692

730

728

752

20.1

3.3

비경상소득

213

204

193

234

286

7.6

22.4  

 
  * 임가소득=경상소득(임업소득+임업외소득+이전소득) + 비경상소득
   * 임업소득: 임업총수입에서 임업경영비(임업경영 투입비용)를 차감한 금액
   * 이전소득: 비경제적 활동으로 얻은 수입. 공적(정부보조금 등), 사적보조금 모두 포함
   * 비경상소득: 우발적, 일시적 소득(퇴직금, 경조사비, 사고보상금 등)

□ 임가의 평균자산은 4억6천68만 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

  ○ 토지 등의 고정자산이 5.1%, 금융자산 등 유동자산이 1.7% 증가했기 때문이다. 

                                                        <임가자산 동향>    
                                                                                                                         (단위 : 만 원, %p)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증감(19 /18)

금 액

증감률

임가자산

40,181

41,481

41,654

44,064

46,068

2,004

4.5

고정자산

34,608

35,485

35,382

37,122

39,009

1,887

5.1

유동자산

5,573

5,996

6,272

6,942

7,059

117

1.7  

                                                                                          
 * 토지, 건축물 및 구축물, 기계・기구・비품, 대동・식물, 무형자산   * 현금, 예금 등 당좌자산 및 미처분 임산물, 미사용 구입 자재 등의 재고자산

□ 임가부채는 가구당 2천8백33만 원으로 당좌자산(현금, 예금, 보험금 등)이 증가하면서 부채 상환능력이 개선되어 3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임가부채 동향>
                                                                                                                   (단위 : 만 원, %p)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증감(19 /18)

금 액

증감률

임 가 부 채 (A)

3,084

3,108

2,931

2,896

2,833

-623

-2.2

임 업 용 부 채

837

881

918

938

885

-526

-5.6

임업용 이외부채

2,247

2,227

2,013

1,958

1,948

-97

-0.5  


  * 임업용 이외 부채는 가계용+겸업용+기타용 부채임. 
□ 임업을 전업으로 하는 전업임가의 소득은 4천3백99만 원으로 겸업임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겸업별 주요지표>                                                                                                                                                                                     (단위 : 만 원, %)

구 분

평 균

전업임가

겸업임가

임업주업

임업부업

임가소득

3,750

4,399

3,674

3,763

임업소득

1,317

3,657

1,824

701

임업의존도

35.1

83.1

49.6

18.6


□ 업종별로는 조경재업이 5천6백20만 원으로 평균 소득에 비하여 1.5배 높았으며, 밤나무재배업, 수실류재배업 순으로 소득이 높았다.
                                                       경영 업종별 주요지표>
                                                                                                                             (단위 : 만 원, %)

구 분

평 균

육림/

벌목업

채취업

밤나무

재배업

떫은

감나무

재배업

수실류

재배업

버섯

재배업

조경

재업

기타

재배업

임가소득

3,750

4,014

2,993

4,614

3,232

4,318

2,880

5,620

3,316

임업소득

1,317

1,246

431

1,994

1,103

1,716

1,030

3,324

743

임업의존도

35.1

31.0

14.4

43.2

34.1

39.7

35.8

59.1

22.4


□ 산림청 임상섭 기획조정관은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임가소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정확한 통계조사를 통하여 임업인의 경영 활동과 소득 증대를 돕겠다.”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내포서 전국 드론 축제 한마당 연다!
충남도가 오는 20일 도청 일원에서 ‘2025 충청남도 드론 페스타’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드론에 대한 도민의 이해와 관심을 증진하고 도내 드론 저변을 확산하고자 마련한다. 도가 주최·주관하며, 국토교통부와 도교육청이 후원하는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드론스포츠 선수단과 관람객 등 1만여 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프로그램은 전국 드론스포츠 대회, 드론라이트쇼, 드론 전시·체험 등이다. 전국 드론스포츠 대회는 △드론레이싱 △드론농구 △무인헬리콥터 △핸드런치 글라이더 조정 경진대회 등 4종목을 진행하며, 총상금 규모는 1500만 원이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세계 챔피언 수상자를 포함한 전국의 실력자들이 다수 출전할 예정이어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볼거리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1200대의 드론으로 밤하늘을 수놓는 드론라이트쇼와 드론 조종 체험·전시관 30여 개도 운영할 계획이며, 버즈와 박민수 등 인기 가수의 축하공연으로 축제의 풍성함을 더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드론에 관심 있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행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택빈 도 토지관리과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