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고속도로 로드킬 5~6월 최다 발생...한국도로공사, “새벽 0시~8시 사이 특히 주의”당부

최근 5년 고속도로 로드킬 사고 중 5~6월에 45%, 0~8시에 63% 발생
道公, 로드킬 사고 예방을 위한 운전자 행동요령 알려
야생동물 발견 시, 천천히 속도 줄이고 경적 울리며 통과
야생동물 충돌 시, 안전지대 대피 후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에 신고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는 로드킬(동물찻길사고) 다발시기인 5월을 맞아 사고예방을 위해 운전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5~6월은 나들이 차량으로 고속도로 통행량이 늘어나고, 야생동물의 활동 증가 등이 맞물려 1년 중 로드킬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최근 5년간 고속도로 로드킬은 총 9,866건이 발생했으며, 시기적으로는 5~6월이 45%, 하루 중에는 새벽 0시~8시 사이가 63%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로드킬을 많이 당하는 야생동물은 고라니(88%), 멧돼지(6%), 너구리(3%) 순인데, 고라니가 대부분인 이유는 포식동물의 부재로 인한 개체 수의 증가 외에도 도로와 가까운 낮은 야산에 주로 서식하며, 봄이 되면 먹이활동 및 새끼 양육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도로공사는 로드킬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정 속도 준수, 전방 주시 등 안전운전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구간은 표지판이나 내비게이션, 도로전광판 등으로 안내되며, 해당 구간을 지나는 운전자는 전방을 더욱 잘 주시하고 규정 속도를 지켜야 한다.

   만약 야생동물을 발견한 경우에는 핸들 급조작을 피하고 경적을 울려 도로 밖으로 내보내야 하며, 상향등을 비추는 것은 순간적으로 동물의 시력장애를 유발해 제 자리에 멈춰 서 있거나 차량 쪽으로 달려들게 할 수 있어 오히려 위험하다.

   부득이하게 동물과 충돌한 경우에는 비상등을 켜고 갓길로 차를 이동시킨 후, 가드레일 밖 등 안전지대로 대피해 한국도로공사 콜센터(1588-2504)에 신고하면 사고처리를 위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안전지대에서 신호기, 옷 등을 이용해 후방에 신호를 보내 정차한 차량이 있음을 알리면 2차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 2차사고 예방 행동요령 : 비상등 점등 → 대피 → 신고 → 안전조치

 한국도로공사는 야생동물 사고 예방을 위해 건설 중인 고속도로 전 구간에 야생동물 침입방지 유도울타리와 생태통로를 설치하고 있으며, 유지관리 구간도 로드킬 사고가 잦은 구간부터 유도울타리 등의 안전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설치된 유도울타리는 총 2,474km이며, 생태통로는 53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로드킬 사고건수는 2015년 2,545건에서 2019년 1,561건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봄철은 나들이 차량 증가와 함께 동물의 이동이 많아 로드킬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며, “로드킬 사고가 발생할 경우 2차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안전지대로 신속하게 대피 후 후속차량을 위한 안전조치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

붙 임 : 1. 로드킬 관련 현황(2015~2019)
        2. 관련 사진

 

붙임 1

 

로드킬 관련 현황 (2015~2019)

 

월별 현황                                                                                    [단위 : ]

                                                               

구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9,866

379

223

299

877

2,518

1,910

713

450

408

649

645

795

2015

2,545

65

33

40

180

716

608

190

128

113

132

125

215

2016

2,247

94

55

67

224

588

389

142

112

82

156

148

190

2017

1,884

85

55

62

161

475

353

110

80

74

131

149

149

2018

1,629

78

37

61

161

363

273

123

67

69

95

137

165

2019

1,561

57

43

69

151

376

287

148

63

70

135

86

76


시간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0~8

8~24

9,866

6,190

3,676

2015

2,545

1,710

835

2016

2,247

1,398

849

2017

1,884

1,128

756

2018

1,629

984

645

2019

1,561

970

591


동물종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고라니

너구리

멧돼지

멧토끼

오소리

족제비

기타

9,866

8,688

338

559

33

36

105

20

87

2015

2,545

2,302

86

96

4

13

17

5

22

2016

2,247

1,990

78

115

12

5

22

6

19

2017

1,884

1,643

69

115

10

7

19

-

21

2018

1,629

1,448

45

90

4

3

18

6

15

2019

1,561

1,305

60

143

3

8

29

3

10


노선별 현황                                                                                [단위 : 건수]

                                                                  

 

구분

중앙

중부

당진대전

경부

영동

서해안

청주상주

중부내륙

서천공주

호남

기타

9,866

1,560

1,364

1,069

911

734

712

515

404

370

317

1,910

2015

2,545

480

339

312

206

156

218

217

62

116

82

357

2016

2,247

366

314

258

219

126

165

101

105

95

75

423

2017

1,884

274

260

199

174

154

125

69

92

56

61

420

2018

1,629

228

206

151

166

161

112

55

75

54

50

371

2019

1,561

212

245

149

146

137

92

73

70

49

49

339

  

붙임 2

 

관련 사진

                                                                                                                



야생동물의 이동을 돕는 구조물인 생태 통로가 설치된 모습(추풍령 생태통로)

                        

                                                                            


야생동물의 고속도로 침입을 막는 유도 울타리가 설치된 모습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 “경기농업인 여러분이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며,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 강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더불어민주당, 군포1)은 9월 4일(목) 이천시 예스파크에서개최된 제64주년 한국농촌지도자 경기도대회행사에 참석했다. 정윤경 부의장은 축사를 통해 “농촌 발전을 위해 헌신해온 농업인들의 노고에 감사와 존경을 전하며, “농업인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이며, 우리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도의회의 역할도 소개했다. 정운경 부의장은 “스마트농업 확대, 친환경 농산물 유통망 강화, 청년·여성 농업인 지원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농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기후위기, 인구 감소, 유통 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 변화 속에서,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는 농업 현장의 지혜를 모으고 경험을 공유하며, 미래 농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정윤경 부의장은 마지막으로 “오늘의 만남이 경기도 농업의 새로운 도약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사천시, 2025년 양펑평등진흥 유공 기관 여성가족부 장관 표창 수상
대한민국 우주항공수도인 사천시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동등하게 존중받고 차별없이 자신의 능력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양성평등 도시로 인정받았다. 사천시는 9월 4일 서울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열린 양성평등주간 기념식에서 양성평등진흥 유공 여성가족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사천시가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 ▲양육 친화적 조직문화 확산 ▲양성평등 의식 강화 ▲안전한 근무환경 마련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시는 임신·출산·육아에 대한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고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을 적극 독려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대비 2024년 남성 육아휴직자가 180% 증가하는 등 가족의 돌봄을 사회와 조직이 함께 책임지는 문화를 확산시켰다. 더불어, 권장연가 일수 지정, 유연근무제 도입, 가족사랑의 날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실천하여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과 재충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시는 여성 관리자 비율 확대, 성인지 교육 강화, 4대 폭력 예방교육 및 상담센터 운영 등으로 조직 내 성평등과 직장 내 안전망을 강화했다. 특히, 2024년 신규로 시작한 ‘우리동네 젠더스쿨’ 사업을 통해 읍·면·동 리더 및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