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파주시, 2019년 국비 4천717억원 확보

파주시가 2019년 주요 현안사업을 추진을 위한 국비 4천717억 원을 확
보했다.


지난 8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한 2019년 정부예산에는 파주시 주요 현안사업비 4천717억 원이 반영됐다.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보다 186억 원이 증액됐으며 전년도 3천957억 원 보다 760억 원이 증가한 규모다.

2019년 확보한 국비는 지난 반년 동안 최종환 시장을 중심으로 모든 공직자가 정부 각 부처를 설득하기 위해 발 벗고 뛰어다닌 노력의 결과이며 지역 국회의원들과 견고한 공조체계를 통해 이뤄낸 성과다.

먼저 신규사업 예산으로 179억 원을 확보했다. 주요사업으로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건설 92억 원 ▲DMZ 생태평화관광활성화 30억 원 ▲LPG 소형저장탱크보급 11억 원 ▲리비교 관광자원화 및 황포돛배 옛물길 개발 11억 원 ▲장곡 하수관로 정비 5억 원 ▲센트럴밸리 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4억 원 ▲민북지구(DMZ) 다목적 농촌용수 개발 3억 원 ▲고양-광탄 국지도 건설 1억 원 등이다.

특히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건설과 DMZ 생태평화관광활성화, 리비교 관광자원화 등은 남북 관계 개선 분위기를 반영한 평화예산으로 큰 의미가 있다.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한반도 평화수도’로서 파주시의 위상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진행 중인 계속사업 예산으로 4천538억 원을 확보했다. 도로·철도 등 교통분야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800억 원 ▲파주-포천, 김포-파주 고속도로(수도권 제2외곽순환 고속도로) 건설 2천282억 원 ▲서울-문산 고속도로 건설 509억 원 ▲문산-임진각 전철화 150억 원 ▲마지-구읍 우회도로 개설 23억 원 ▲운정역-야당역-앵골과선교 연결도로 개설 21억 원 등 3천813억 원이 확보됐다.

지역개발·안전분야에는 ▲문산천 하천정비 121억 원 ▲공릉천 하천환경정비 35억 원 ▲답곡천, 동문천 수해상습지 개선 53억 원 ▲수내천, 맨박골천 정비 14억 원 ▲용주골 창조문화밸리 프로젝트 11억 원 등 239억 원이 반영됐고 문화·체육·관광분야에 ▲금촌 다목적실내체육관 건립 10억 원 ▲한반도 생태평화 종합관광센터 건립 36억 원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수장고 및 정보센터 건립 93억 원 등 142억 원이 반영됐다.

농업·환경·고용 등 기타분야에 ▲임진강수계 농업용수 공급 175억 원 ▲발랑·탄현지구 지표수 보강개발 21억 원 ▲한국폴리텍대학 경기북부캠퍼스 건립 29억 원 ▲운정하수관로 정비 20억 원 ▲금촌(조리·월롱)하수관로 정비 13억 원 등 344억 원을 확보했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반년이 안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46만 파주시민만을 생각하며 국비를 확보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했다”며 “2019년 확보한 국비를 적기에 투입해 시민이 행복하고 살기 좋은 파주를 만들고 평화시대의 한반도 중심도시, 평화수도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파주시는 예년 보다 3개월 빠른 내년 1월부터 대응전략을 수립해 2020년 국비 확보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일 계획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