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파주시, 2019년 국비 4천717억원 확보

파주시가 2019년 주요 현안사업을 추진을 위한 국비 4천717억 원을 확
보했다.


지난 8일 새벽 국회 본회의에서 확정한 2019년 정부예산에는 파주시 주요 현안사업비 4천717억 원이 반영됐다. 정부가 제출한 예산안보다 186억 원이 증액됐으며 전년도 3천957억 원 보다 760억 원이 증가한 규모다.

2019년 확보한 국비는 지난 반년 동안 최종환 시장을 중심으로 모든 공직자가 정부 각 부처를 설득하기 위해 발 벗고 뛰어다닌 노력의 결과이며 지역 국회의원들과 견고한 공조체계를 통해 이뤄낸 성과다.

먼저 신규사업 예산으로 179억 원을 확보했다. 주요사업으로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건설 92억 원 ▲DMZ 생태평화관광활성화 30억 원 ▲LPG 소형저장탱크보급 11억 원 ▲리비교 관광자원화 및 황포돛배 옛물길 개발 11억 원 ▲장곡 하수관로 정비 5억 원 ▲센트럴밸리 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 4억 원 ▲민북지구(DMZ) 다목적 농촌용수 개발 3억 원 ▲고양-광탄 국지도 건설 1억 원 등이다.

특히 문산-도라산 고속도로 건설과 DMZ 생태평화관광활성화, 리비교 관광자원화 등은 남북 관계 개선 분위기를 반영한 평화예산으로 큰 의미가 있다. 해당 사업의 추진을 통해 ‘한반도 평화수도’로서 파주시의 위상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진행 중인 계속사업 예산으로 4천538억 원을 확보했다. 도로·철도 등 교통분야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800억 원 ▲파주-포천, 김포-파주 고속도로(수도권 제2외곽순환 고속도로) 건설 2천282억 원 ▲서울-문산 고속도로 건설 509억 원 ▲문산-임진각 전철화 150억 원 ▲마지-구읍 우회도로 개설 23억 원 ▲운정역-야당역-앵골과선교 연결도로 개설 21억 원 등 3천813억 원이 확보됐다.

지역개발·안전분야에는 ▲문산천 하천정비 121억 원 ▲공릉천 하천환경정비 35억 원 ▲답곡천, 동문천 수해상습지 개선 53억 원 ▲수내천, 맨박골천 정비 14억 원 ▲용주골 창조문화밸리 프로젝트 11억 원 등 239억 원이 반영됐고 문화·체육·관광분야에 ▲금촌 다목적실내체육관 건립 10억 원 ▲한반도 생태평화 종합관광센터 건립 36억 원 ▲국립민속박물관 개방형수장고 및 정보센터 건립 93억 원 등 142억 원이 반영됐다.

농업·환경·고용 등 기타분야에 ▲임진강수계 농업용수 공급 175억 원 ▲발랑·탄현지구 지표수 보강개발 21억 원 ▲한국폴리텍대학 경기북부캠퍼스 건립 29억 원 ▲운정하수관로 정비 20억 원 ▲금촌(조리·월롱)하수관로 정비 13억 원 등 344억 원을 확보했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반년이 안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46만 파주시민만을 생각하며 국비를 확보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했다”며 “2019년 확보한 국비를 적기에 투입해 시민이 행복하고 살기 좋은 파주를 만들고 평화시대의 한반도 중심도시, 평화수도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파주시는 예년 보다 3개월 빠른 내년 1월부터 대응전략을 수립해 2020년 국비 확보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일 계획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LH, 산업연구원과 산업․공간 융복합 연구협력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9일 대전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산업연구원(KIET)과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 및 국가균형발전」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핵심 공약*으로 제시된 ‘공간과 연계한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5극, 3특(5대 초광역권, 3대 특별자치도) 중심 균형발전’을 뒷받침하고자 마련됐다. * 정부는 10대 공약 중 하나로 국토균형발전을 제시하고, 이행 방법으로 산단,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지역투자 촉진 등을 제시 협약을 통해 LH 토지주택연구원(LHRI)과 산업연구원은 △ 지역산업과 도시·지역의 융복합 정책 개발 △ 기업유치 및 산업단지 활성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지원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정창무 LH 토지주택연구원 원장,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한편, 업무협약식에 이어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을 주제로 한 정책 포럼이 개최됐다. 포럼은 △산업입지 △지역전략산업 △기업생태계 등과 관련된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고, 지역 산업과 공간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주제 발표는 배진원 박사(산업연구원)가 ‘국내 산업 특구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무임손실, 국비 보전 촉구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한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에 대해 정부의 국비 보전을 촉구하며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교통공사 노사 대표들은 9일 국정기획위원회를 방문해 이용우 의원에게 공동건의문을 전달하고, 입법 개선의 필요성을 직접 설명했다.도시철도 법정 무임승차에 대한 국비 지원을 위한 「도시철도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 개정안은 2004년부터 꾸준히 발의돼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 채 입법화에 실패하고 있다.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이번 공동건의문은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이 처한 절박한 현실을 전달하고, 재정위기 해소를 위한 제도적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도시철도 무임수송 제도는 1980년 대통령 지시로 시작된 교통복지 정책이다. 그러나 지난 40년 동안 정부의 별도 재정 지원은 없었다.서울교통공사의 경우, 무임수송 손실이 2000년 234억 원에서 2023년 4,135억 원으로 급증했으며, 6개 기관 전체의 누적 결손금은 29조 원에 이른다. 지난해 당기순손실의 58%가 무임수송에 따른 것으로 집계됐다.같은 노선에서 동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