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김 지사, 여수서 해양수산 현장 정책간담회

-지구․업종별 21개 수협장 등과 생생한 목소리 듣고 정책 구상-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8일 여수수협을 방문, 수협중앙회 전남지역본부, 지구·업종별 수협 등 21개 수협장과 현장 정책간담회를 갖고, 해양수산 정책이 실제 어업현장과 맞지 않은 것이 있는지, 불합리한 제도가 있는지 등을 점검했다.

현장 간담회는 해양수산 분야 청년인력 고용 및 창업 지원사업,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사업 등 전라남도의 해양수산 역점 추진시책 19건 설명, 수협의 애로‧건의사항 청취, 공동 협력 방안 모색 순으로 진행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수협장들은 해조류 종합단지형 수출 클러스터 조성과 해역별 특화 품종 중점 육성사업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들은 “수산업이 미래 성장산업으로 커나갈 수 있도록 현장에서 금융 지원 등 도 시책 추진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또 김삼식 수협중앙회 전남지역본부장은 “영세 소형어선 보험료 부담 경감을 위한 지방비 보조를 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하고, 주영문 신안군수협장은 “해상 풍력발전 시설 설치 시 어업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총 6건의 애로 및 제도 개선사항을 건의했다.

김영록 도지사는 이 자리에서 “일제 강점기 때부터 답습한 불합리한 수산업법과 관련 제도들이 현실에 맞지 않아 어업 현장의 규제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해양수산 제도 개선 발굴 추진단을 구성, 7월부터 운영하고 있다”며 “각종 수산시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일선 수협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하므로, 앞으로 수협장과 만남의 자리를 자주 갖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해양수산 정책에 반영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기업들이 집중하는 도시, 고양
‘베드타운’으로 불리던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혁신산업 도시로 체질을 변신 중이다. 산업 인프라 후발주자이던 고양시는 민선8기 들어 경제자유구역 지정추진, 일산테크노밸리 조성, 벤처육성촉진지구‧대곡역세권 지식융합단지 지정 등 굵직한 정책들을 추진하며 기업친화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 변화의 중심에서 기업 지원 분야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는 곳이 고양산업진흥원이다. 고양산업진흥원은 기업의 시작과 성장, 도약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해 왔다. 이를 기반으로 코스닥 상장, 글로벌 시장 진출, 후속 투자 유치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며, 고양시 산업생태계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양산업진흥원 이사장인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고양시는 이제 주거 중심의 도시를 넘어 기업이 선택하고 찾는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며 “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전 과정에 걸친 체계적 지원을 통해 고양시만의 전략적 산업생태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 지원으로 성장한 뉴앤AI, 웨스트월드…코스닥 상장·글로벌 진출까지올해로 설립 22년 차가 된 고양산업진흥원은 기업 입주 공간 제공 등 기초적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삼영 모방에서 시작되는 K-Culture 르네상스: 전곡, 제2의 방송도시를 꿈꾸다-“관리”에서 “창의적 경영”으로의 방향 전환!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 위치한 삼영모방 부지는 오랜 시간 지역 내 유휴 공간으로 방치되어 왔다. 그러나 이 땅은 더 이상 ‘공장터’로 머물러선 안 된다. 수도권과 DMZ 사이에 위치한 이 상징적인 공간은, K‑콘텐츠 산업의 전진기지이자 제2 방송산업의 창조 거점이 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다. 이제 연천군은 소외와 침체의 상징이 아닌, 문화산업 르네상스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삼영모방 자리를 방송국 및 콘텐츠 복합단지로 개발하는 구상은 단순한 도시재생이 아니라, 연천군의 산업 구조와 경제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도전이다. 이 글에서는 삼영모방의 입지 가치, 제2 방송국 유치의 경제 효과, 행정이 뒷받침해야 할 정책 과제, 그리고 민간투자 방식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철저하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왜 삼영모방은 K‑Culture의 본거지가 되어야 하는가?전곡읍은 서울 접근성(경원선, 수도권 인접)과 DMZ 접경의 문화·역사적 콘텐츠를 지닌 도시이기 때문이다. 연천군의 방송국 유치는 이런 컨텐츠를 K-드라마, K‑POP, 메타 버스 콘텐츠의 창작 거점으로 승화시킬 수 있다. 국내외 유사 정책의 성공 사례를 토대로 방송국 조성 시 기대되는 높은 생산 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