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추억이 울림이 되는 파주 테마 여행이 뜬다!

추억이 울림이 되는 파주 테마여행이 가정의 달 5월부터 1박2일 체류·체험형 파주 시티투어 코스로 새롭게 태어난다.

파주시는 관내 체류형 숙박업소 부족에 대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1박2일 시티투어 코스를 개발하고 5월 5일부터 본격 운영에 돌입한다. 관광객의 편리 도모와 이동 동선 최소화를 위해 권역별 테마 코스를 마련해 운영할 예정이다.


먼저 매월 첫째 주 토·일요일에는 ‘임진각 평화안보권역’ 코스가 운영된다. 임진각(중식)을 시작으로 제3땅굴~도라전망대~도라산역~군내면부녀회식당(석식)~캠프 그리브스(숙박)~도라산평화공원~통일촌장단콩 두부마을(중식)~허준 선생묘 등을 관광하게 된다. 이용료는 입장료와 캠프 그리브스, 버스비 등을 포함 1인 4만4천원이다.

둘째 주 주말에는 ‘출판도시·헤이리 문화예술권역’을 테마로 오두산통일전망대~프로방스/파주맛고을(중식)~모산목장~소울원~헤이리예술마을(석식)~지지향(숙박)~송영예의 바늘이야기~문산 당동리 푸드타운(중식)~반구정~볼거리나라 등의 코스가 운영된다. 이용료(입장료·체험료·숙박·조식·버스비)는 1인 6만5천원이다.

‘율곡 에코힐링 예술권역’ 테마가 운영되는 셋째 주 토·일요일에는 황포돛배~두지리매운탕(중식)~쇠꼴마을 배 쿠키 체험~자운서원~동화힐링캠프(석식)~초호쉼터(숙박)~두루뫼박물관~수우원 농장체험~고구려목장(중식)~산머루농장 등을 방문한다. 이용료(입장료·체험료·숙박·조식·버스비)는 1인 6만6천원이다.


1박2일형 파주 시티투어 마지막 코스인 ‘파주 삼릉역사유적권역’은 매월 넷째 주 토·일요일 운영되며 파주삼릉~보광사/토속마을(중식)~벽초지수목원~마장호수~교하맛고을(석식)~시에나호텔(숙박)~치즈체험~퍼스트가든~문산제일고 앞(중식)~36.5판매장~공릉관광지 코스로 운영된다. 이용료(입장료·체험료·숙박·조식·버스비)는 1인 6만5천원이다.

성삼수 파주시 관광과장은 “매주 화·수·목·금요일 운영되는 당일형 파주시티투어 코스와 함께 파주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관광을 즐길 수 있는 1박2일형 코스를 개발하게 됐다”며 “파주시가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권역별로 개발하고 숙박까지 연계한 만큼 취향에 맞는 코스를 선택해 많이 방문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파주시는 지난 4월 17일부터 매주 화요일(임진각 평화안보권역), 수요일(출판도시·헤이리 문화예술권역), 목요일(율곡 에코힐링권역), 금요일(파주 삼릉 역사유적권역)에 당일형 파주 시티투어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파주 시티투어는 11월 30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파주 시티투어 신청 관련 자세한 사항은 파주시 문화관광 홈페이지(tour.paju.go.kr)와 
티몬(www.ticketmonster.co.kr), 전화(031-949-8888 성오투어㈜)로 문의하면 된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직원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 반영
서울교통공사가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반영해 직원들의 정치 참여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해명과 후속 조치로, 공사는 내부적으로 개정된 법령을 정확히 안내하고 재발 방지에 나섰다.공사 감사실은 지난 5월 8일,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무 기강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공문을 사내에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공문이 올해 1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이전 법령을 기준으로 작성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직원을 선거운동 금지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지방공기업 직원의 정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해당 직원들의 기본적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된 개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언론 일부는 서울교통공사가 법 개정 사실을 무시한 채 직원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설명자료를 통해 당시 공문이 개정 이전의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인정하며, 이후 전 직원에게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핵심 내용을 별도로 안내하는 공문을 추가로 시행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