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경남도, 패류독소 피해방지 긴급대책회의 개최

- 한경호 권한대행, “패류독소 발생 확산으로 인한 양식수산물 소비 위
축 등 어업피해 최소화” 지시




- 25일 사천시 삼천포수협에서 도와 시군 등 관계기관 참석
- 국립수산과학원 조사 결과, 24일 현재 도내 14개 지점에서 검출 

경남도는 25일 사천시 삼천포수협에서 ‘패류독소 피해 방지 긴급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긴급대책회의는 최근 패류독소 발생해역이 확산되고 있어, 도와 시군 등 관계기관이 모여 피해방지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이날 회의에는 한경호 권한대행, 해양수산국장, 수산기술사업소장을 비롯해 창원시, 통영시, 사천시, 거제시, 고성군, 남해군 등 도와 시군 관계자들이 참석하였으며, 기관별로 패류독소 피해방지대책을 보고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조사 결과, 24일 현재 패류독소 검출지점은 도내 51개 지점 중 14개 지점에서 패류독소가 식품허용기준치(80㎍/100g)를 초과하여 검출(82~670㎍/100g)되었다.

패류독소 검출지점은 지난 14일 거제 능포해역의 홍합(담치류)에서 식품허용기준치(80㎍/100g)를 초과하여 검출된 이후, 24일 현재 창원시(구복 244, 난포 210, 덕동 670, 명동 120), 남해군(장포 86, 모섬 89, 미조 289, 양화금 587), 통영(사량도 180, 오비도 91), 고성(내산리 92, 외산리 94), 거제(창호리 178, 석포리 82) 등 14개 지점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와 시군에서는 즉시 패류독소가 검출된 14개 기준치 초과해역에 대한 패류 채취금지명령을 발령하였고, 채취금지구역의 지도∙단속과 함께 초과해역 육상에 현수막을 게첨하였다. 

또한 해양수산국장 등 관계자들이 패류독소 발생해역 및 유통업체를 찾아 현장 지도하고 행락객들이 직접 패류를 채취, 취식하는 일이 없도록 육상 순찰을 강화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한경호 권한대행은 피해예방계획을 보고받은 후 “수온 상승으로 패류독소 발생해역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양식수산물 소비 위축 등 어업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봄철을 맞아 낚시객과 행락객들이 패류독소 초과검출지역에서 자연산 패류를 채취하여 섭취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남도에서는 지난 24일, 해수부와 합동으로 국립수산과학원, 시군 등 유관기관과 긴급대책회의를 열었으며, 패류독소 확산에 따른 식품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채취금지해역에 대한 해상단속, 육상을 통한 순찰을 철저히 실시하는 등 생산해역의 관리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