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광역도지자체

2017 하반기, 부산지역 소비자 상담 1위는 휴대전화 관련 상담


◈‘17년 하반기 부산지역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 ①휴대폰‧스마트폰/이동전화서비스(2,803건) ②자동차구매 ‧ 수리관련(1,176건) ③기타의류 ‧ 섬유(1,129건) 순
◈ 휴대전화 등 관련 상담이 가장 많은 비중 차지, 피해예방하려면 구두 계약내용을 계약서에 기재 하는 등 꼼꼼히 살펴야

  부산시는 ‘17년 하반기 부산시청 소비생활센터 및 8개 1372 소비자상담센터를 통해 접수된 소비자상담 접수 중 가장 많이 접수된 품목은 휴대폰, 이동전화서비스 등 휴대전화 관련 상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총 소비자 상담 44,464건 중 ①휴대전화 관련 상담 2,803건 ②자동차구매 ․ 수리 관련 1,176건 ③기타의류 ․ 섬유(1,129건) 순으로 나타났다.

‘17년 하반기 소비자상담 10대 품목
① 휴대폰·스마트폰/이동전화서비스(2,803건)
② 중형승용자동차(1,176건)
③ 기타의류․섬유(1,129건)
④ 중고자동차중개․매매(1,097건)
⑤ 국외여행(742건)
⑥ 헬스장․휘트니스센터(735건)
⑦ 택배화물운송서비스(684건)
⑧ 초고속인터넷(648건)
⑨ TV(624건)
⑩ 정수기대여(607건)

  소비자가 상담을 요청한 이유로는 ①A/S·품질 관련 상담이 13,306건(29.9%)으로 가장 많이 접수되었으며, ②정보제공 및 기타 상담이 11,133건(25.0%) ③계약해제·해지 9,218건(20.7%) ④계약 불이행 5,060건(11.4%) ⑤가격·요금 2,478건(5.6%) ⑥부당행위 1,583건(3.6%) ⑦제품안전 903건(2.0%) ⑧제도·약관 783건(1.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처리결과를 살펴보면 상품 및 시장정보, 보상기준 설명 등 정보제공 37,638건(84.7%), 상담접수 후 상담원이 사업자와 적극적으로 연락을 취하여 교환, 환불, 배상 등 실질적인 처리를 진행한 피해 처리는 6,825건(15.3%), 피해구제 1건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소비자 주권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피해 접수 건수가 늘어나고 구제신청 내용도 과거의 단순한 제품하자에 대한 구제 정도를 넘어 서비스의 질을 문제 삼는 등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변해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다양한 소비자문제로 인한 소비자불만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휴대전화 개통 시 요금제 할인을 마치 휴대폰 대금을 지원해 주는 것처럼 광고하여 ‘공짜’라는 말로 현혹하여 계약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휴대폰 무료제공은 구두로 설명하고 계약서에는 형식적으로 하는 것이라며 휴대폰 대금을 할부 청구 하는 것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그 계약서에 명의자가 서명을 한다면 명의자의 동의하에 휴대폰 할부 구입을 계약한 것이 되므로 나중에 이의제기 하더라도 휴대폰 무료제공에 대한 입증이 안 된다면 받아들여질 수 없다. 계약서는 분쟁해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서로서 판매자가 계약서는 형식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더라도 구두로 설명한 조건을 모두 계약서에 표기하여 작성하도록 꼼꼼히 챙겨야 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판매자가 시키는 대로 이곳, 저곳에 서명을 하게 되면 차후 효력을 발생하는 계약서가 명의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계약서든지 서명할 때는 꼼꼼히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하다며 사업자와 원만히 해결이 되지 않을 때에는 1372 소비자상담센터(국번 없이 1372)나 부산시 소비생활센터(☎051-888-2141~4)로 도움을 요청해 달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물길‧숲길‧꽃길이 연결된 의정부…생태도시의 품격을 높이다
물길이 흐르고, 숲길이 이어지며, 꽃길이 피어나는 도시.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지난 3년간 도심 하천을 생태공간으로 복원하고, 산림과 유휴 공간에 정원을 조성해 자연이 일상이 되는 도시를 만들어왔다. 지난해에는 전국 최초로 ‘걷고싶은도시국’을 신설해, 생태와 걷기를 중심에 둔 도시 정책을 한층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걷고 머무는 곳마다 자연이 스며든, 그 변화의 풍경을 따라가 본다. 물길을 따라 걷는 즐거움…의정부의 하천이 달라졌다시는 지난 3년간 도심 하천을 단순한 ‘치수 공간’에서 시민이 걷고 머무는 ‘친수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걷고 싶은 명품도시 조성사업’을 역점 추진해 왔다. 이를 통해 중랑천을 비롯한 ▲부용천 ▲민락천 ▲백석천 ▲회룡천 ▲호원천 등 총 6개 하천, 약 28km 구간이 생태와 문화가 어우러진 생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중랑천이 있다. 장암동 롯데마트 인근 인도교에서 호암교에 이르는 약 1km 구간은 봄이면 초록빛 청보리가 일렁이는 ‘청보릿길’로, 가을이면 하얀 메밀꽃이 흐드러진 ‘메밀길’로 변모한다. 청보리 탈곡, 풀피리 만들기 등 계절행사와 더불어, 쉼터‧포토존‧파라솔‧소풍매트가 곳곳에 마련돼 시민들이 편안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