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위성곤 의원, “작년 수산물 무역수지 적자 3조원”

작년 수산물 수입 479만톤, 해외제조업체 실사 100곳 중 1곳 불과



시장개방으로 농축수산물 수입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수산물 무역수지 역시 큰 폭의 적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서귀포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수산물 무역수지 적자가 26억 6327만불, 한화로는 약 3조 534억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위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수산물 수출입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액은 2014년 45억 618만불(5조 1600억원), 2015년 45억 5589만불(5조2700억원), 2016년 47억 9087만불(5조 4900억원)로 매년 증가세를 이어왔다.

반면 수산물 수출액은 2014년 20억 6697만불(약 2조 3700억원), 2015년 19억 2437만불(2조 2천억원), 2016년 21억 2759만불(2조 4400억원)로 정체를 나타냈다. 특히 물량으로는 2014년 70만 1554톤이던 것이 2015년 65만 797톤, 2016년에는 61만 1530톤으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무역적자 역시 2014년 24억 3921만불(2조 7900억원)이던 것이 2015년에는 26억 3152만불(3조 170억원), 2016년 26억 6327만불(약 3조 530억원)로 점차 확대돼 최근 3년간만도 77억 3401만불(8조 8670억원)의 무역수지 적자를 나타냈다.

수입액의 경우, 지난해 기준 중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이 12억 2641만불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러시아(7억 50만불), 베트남(6억 2108만불)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명태가 4억 1917만불로 가장 많았고 새우(3억 4041만불), 오징어(2억 177만불) 등의 순이었다.

수출액의 경우, 대 일본 수출액이 7억 3701만불로 가장 많았고, 대 중국(3억 7696만불), 대 미국(2억 4126만불) 등의 순이었다. 품목별로는 참치가 5억 7581만불로 가장 많았고, 김(3억 5301만불), 오징어(1억 1246만불)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은 2012년 23억 6천억불(71만톤)로 최고 실적을 달성한 이후 일본 엔화 약세 등으로 줄곧 감소세를 보여 왔다. 특히 오징어 등 일부 품목은 어획량 감소로 인해 수출물량이 급감한 반면 수입물량이 확대되면서 품목별 적자 폭마저 크게 늘어났다. 수산자원 고갈 등에 대한 우려를 낳는 대목이다.

수산물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산물 해외제조업소 등록 업체도 2013년 3379개에서 2017년 8월 현재 10380개로 5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실시하고 있는 이들에 대한 현지실사 점검은 지난해 기준 8933개 대상 업체에 대해 82곳만 실시돼 연간 100곳 중 1곳 꼴에도 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은 “수산물 무역수지는 국내 어업경쟁력은 물론 어족자원 조성 등 지속가능한 수산, 식량 안보 등과 직결된 지표”라면서 “수산물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시장 다변화는 물론 고부가가치화, 안정적 생산 기반 확보 등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남양주시 화도도서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에 선정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화도도서관이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주관 ‘2025 시니어 북스타트 시범사업’의 시행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시니어 북스타트’는 그림책을 매개로 한 인문학 활동을 통해 고령층의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전국 단위 공모사업이다. 이번 시범사업에는 전국 15개 기관만이 선정됐으며, 경기도 내에서는 화도도서관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화도도서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5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그림책 낭독 △삶의 이야기 나누기 △세대 공감 인문학 워크숍 등 총 4차례의 그림책 기반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책꾸러미 및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물품 일부는 책읽는사회문화재단으로부터 지원받으며, 프로그램에는 전문 강사도 함께 참여한다. 프로그램은 정서적 소외를 겪기 쉬운 시니어 세대에게 독서를 통한 심리적 위로와 사회적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며, 가족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 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화도도서관은 지역사회 내 시니어 삶의 질 향상과 평생학습 지원이라는 취지 아래 이번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다. 2024년 기준 화도읍의 5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35%로, 전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