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기 통상촉진단, 中 중동부 거점서 3천만 불 수출길 개척



경기도-경기FTA활용지원센터 중국 시장 개척활동 
도내 중소기업 13개사 8월 21일 ~ 25일까지 중국 우한, 항저우 지역파견
상담 227건, 수출상담액 3,126만 달러, 1,306만 달러 계약 추진
 
경기도 유망 수출기업 13곳이 중국 현지바이어를 대상으로 판로개척 활동을 벌인 결과, 227건 3,126만 달러의 수출 상담실적과 1,306만 달러의 계약추진 성과를 거두고 귀국했다.
경기도와 경기FTA활용지원센터는 8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중국 중동부 진출 거점 우한(武汉)과 항저우(杭州)에 ‘2017 경기도 FTA활용 중국 통상촉진단’을 파견, 이 같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도는 최근 사드문제로 인한 양국 관계의 악화로 대중국무역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한국의 최대 수출 대상국이자 세계최대의 소비시장인 중국을 포기 할 수 없다는 판단으로 중국시장 공략을 선택했다.
도내 유망기업 13개 업체가 참여한 이번 통상촉진단은 먼저 우한에서 108건 1,660만 달러의 상담실적과 768만 달러의 계약추진 실적을, 항저우에서 119건 1,466만 달러의 상담실적과 538만 달러의 계약추진 성과를 거뒀다.
참가 품목으로는 최근 중국 내 중산층 규모 확대에 맞춰 친환경 세제, 여성용품, 후라이팬 등의 소비재는 물론, 3D 프린터, 초소형 기지국 장비 등 첨단제품들을 소개해 현지 바이어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도는 참가 업체들의 원활한 수출상담을 지원하고자 바이어 1:1 상담 주선, 현지 시장조사, 통역지원, 상담장 구축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경기FTA센터의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활용해 도내 유망 수출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을 전 방위적으로 지원했다. 
성남시 소재 ㈜굿쓰리디는  UV광원을 사용한 새로운 방식 3D 프린터를 선보여 중국 바이어들의 호응을 얻었다. 실제로 중국에서 3D 프린터를 개발·유통하는 업체 바이어와 기술제휴 및 중국시장 공동 마케팅을 진행하기로 하고, 현장에서 3만 달러치의 샘플구매 계약에 합의했다. 이를 통해 연 50만 달러 이상의 수출이 기대되고 있다.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주방기기를 생산하는 ㈜세신산업(김포시)은 탁월한 열전도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Yiwu Xinlian社 와 50만 달러 이상의 상담을 진행, 1차로 10만 달러 정도의 계약을 체결했다. ㈜세신산업의 정지훈 차장은 “품질보다 가성비가 우수한 제품을 찾는 경향이 많은 중국 바이어들에게 월등한 품질과 더불어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여 중국제품과의 차별화로 좋은 반응을 이끌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송용욱 경기도 국제통상과장은 “연초부터 지속된 중국측의 비관세장벽 강화로 인해 수출 중소기업에게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적극적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하여 양국관계 정상화를 대비한 선제적 준비를 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도내 중소기업의 중국 연해지역 1선 도시 뿐만 아니라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1.5선 시장 선점을 위해 중국 내륙 주요 거점도시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오는 10월 23일부터 27일까지 중국의 시안(西安), 베이징(北京)으로 통상촉진단 15개사를 추가 파견할 예정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