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남도, 올해 노인일자리사업에 591억 투입

4년 연속 대상 수상으로 전년보다 71억 늘어…17일까지 읍면동서 접수


전라남도는 일하기를 희망하는 어르신들에게 소득 창출과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7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참여자를 오는 17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노인 일자리 참여 자격은 공익활동 사업은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이며 시장형은 만 60세 이상이다.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나 노인복지관, 노인회 등에 신청하면 된다.

신청자에 대해서는 참여 자격 조회 등 심사 과정을 거쳐 대상자로 선정되며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 동안 주 2~3회, 하루 3시간, 월 총 30시간의 활동을 하게 된다.
전라남도는 그동안 정부평가에서 4년 연속 노인일자리 대상을 수상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2016년보다 74억 원이 증액된 591억 원을 투입, 2만 7천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공익형 일자리 사업 활동비가 2004년 이후 처음으로 월 20만 원에서 22만 원으로 인상돼 저소득 어르신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인상분만큼, 일자리 숫자가 줄어든 것은 추경 예산을 확보해 늘릴 계획이다.
또한 어르신들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일자리 유형을 노노케어지역형, 시장형, 인력파견형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해 추진한다.

전라남도가 그동안 일자리 대상을 4년 연속 수상한 것은 단순 환경개선사업 비중을 줄이고, 도 자체사업으로 추진 중인 시니어 새 일터 지원센터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인 60~64세 중·장년층 은퇴자들의 재취업을 위한 취업 알선 및 교육, 재능기부와 자원봉사 연계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늘린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이 가운데 2016년부터 시작한 ‘병원서비스 실버코디네이터’ 파견 사업은 전국 최초로 운영,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도 노인 일자리 확대를 위해 시장형 사업을 주도하는 시니어클럽을 8개소로 확대하고, 1시군 1경로당에 특산품 가공 공동작업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신현숙 전라남도 보건복지국장은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임을 감안해 선진 노인복지모델을 만들어나가겠다”며 “일자리가 최고의 복지라는 신념에 따라, 양질의 노인일자리를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시민과 함께 만드는 ‘공감형 안전도시’ 실현
여수시는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구현을 위한 ‘시민 체감형 안전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행정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체감형 정책으로 시민이 공감하고 동참하는 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시민 맞춤형 안전교육 확대와 드론을 활용한 실시간 재난 대응, 시민안전보험 운영 등 다양한 생활밀착형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전 시민 자동 가입 시민안전보험과 QR 기반 재난안전 인식도 진단, 어린이·어르신 맞춤형 안전학당 등 시민의 일상과 밀접한 정책이 중심이 되고 있다. ▲전 시민 대상으로 운영되는 '시민안전보험'‘시민안전보험’은 별도의 절차 없이 여수시민 전체가 자동 가입되며, 각종 사고나 재난 발생 시 실질적인 보장을 제공한다. 이는 시민 모두를 촘촘하게 보호하는 든든한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보험 신규 보장내용에 대한 집중 홍보는 물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안내 및 처리 과정을 통해 시민의 실질적 수혜율도 함께 제고해 나가고 있다. ▲1만 8천여 명 참여한 ‘재난안전 인식도 진단’올해 처음 실시된 ‘재난안전 인식도 진단’에는 상반기 동안 시민과 관광객 1만 8천여 명이 참여했다. 진단은 자연재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