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 부산 유치 확정

전세계 지질올림픽 -


1878년 시작된 150여년 전통의 지질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회의, 약 120개국 6,000여명 모여 지질학 분야 주요 이슈 논의
우리나라가 지질분야의 올림픽인 2024년 제37차 세계지질과학총회(IGC,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부산시와 부산관광공사는 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된 국제지질과학연맹(IUGS,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위원회에서 독일(베를린), 러시아(샌피츠버그), 터키(이스탄블)과 치열한 경쟁 끝에 2024년 제37차 세계지질과학총회(IGC,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개최지로 부산을 확정지었다고 밝혔다.
1878년부터 4년마다 개최되는 IGC총회는 120개국 6,000명이 참가하는 지질학 분야 국제회의 중 세계 최고 권위의 행사이다.
2024년 제37차 세계지질과학총회는 2024년 8월 25일부터 31일까지 7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행사는 각국의 지질 전문 기관, 업체들이 참여하는 전시회(GeoExpo)를 비롯해 세계적 석학들의 강연과 전문가 토론, 우리나라와 동북아 지역 주요 지질탐사, 영화도시 부산의 특성을 살린 지질 영화제(Geo Film Festival) 등으로 구성된다.
2024 세계지질과학총회의 한국(부산) 유치를 위해 부산시, 부산관광공사를 비롯하여 한국지질학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관광공사, 벡스코 등이 2014년부터 유치위원단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유치 활동을 펼쳐왔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외교부 등의 후원을 받았다.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의 재정 확보를 탄탄히 하고, 한중일 등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 동맹연합을 바탕으로 유치전에 나섰다.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 현지에서는 한국유치단이 대거 참가해  한국의 지질학적 가치와 유치도시 부산의 매력을 뽐낼 수 있는 홍보관을 운영하며 총회 유치에 총력을 기울였다. 홍보관에서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복 체험 및 전통차와 다과를 제공해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렸다. 특히, 개최지 결정권을 가진 위원들을 대상으로 유치설명회를 겸한 한국의 밤(Korean Night)’행사를 갖고 한국문화와 한국의 지질 환경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120개국 200명의 투표권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 유치단은 사전 유치 활동을 펼쳐왔다.  특히 금년 4월  IUGS 사무총장, 부회장을 부산으로 초청하여 컨벤션인프라 직접 답사를 진행하였으며, 미국지질총회, 유럽지질총회 등 관련 국제회의에 참가하여 홍보관을 운영하며 한국 유치 당위성에 대해 홍보하였다.

아울러 외교부를 통해 전세계 해외공관을 통한 IUGS 회원국의 지지를 요청하는 등 치밀하고 적극적인 유치 활동을 펼쳐왔다.
강력한 경쟁국이었던 독일은 IUGS의 회장국이자, 폴란드 및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유럽을 아우르는 유치 전략을 펼쳤으며, 러시아는 3회 이상 IGC총회를 개최한 역량을 내세웠다. 뿐만 아니라 터키는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유치전을 펼쳤다. 한국은 2020년 개최지가 인도로 대륙안배 차원에서 불리한 입장이었으나 한국유치단의 노력 끝에 1일 열린 IUGS 위원회에서 90표를 얻어 2024년 총회의 한국 유치의 쾌거를 이루어 낸 것이다.
총 투표수 180표 중 한국 90표, 독일 42표, 러시아 32표, 터키 16표 득표
서병수 부산시장은“이번 총회 유치를 통해 전 세계 총회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부산의 국가지질공원을 전세계에 홍보하고, 나아가 세계지질공원 선정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기회가 될 뿐 아니라 부산의 도시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관광공사 및 벡스코 관계자는“전세계 6,000명 이상이 참가하는 총회 개최를 통해 직접생산효과 270억, 생산유발효과 500억, 부가가치유발효과 210억, 취업유발효과 520억, 고용유발효과 350억의 경제파급효과가 기대되며, 2015년 세계화학대회, 2021 국제천문연맹총회 유치에 이어 기초과학 분야 대형회의 유치 불패의 저력을 다시한번 보여주는 기회가 되었다”고 말했다.
한편 120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국제지질과학연맹은 지질학 기초응용연구 진흥과 정보교환, 지역시찰을 통한 지질학적 문제 해결 등 지질과학을 통한 사회 기여를 목적으로 1961년도에 설립하여 현재 중국에 사무국을 두고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 밀양에서 펼쳐지는 전통의 향연
밀양시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밀양의 문화유산과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시는 국가유산청 주관의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4개 세부 사업에 선정돼‘국가유산 야행’등 전통문화의 가치와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담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가유산청의 전수교육관 활성화 사업, 시 자체 사업인 무형유산 상설 공연 등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시는 이러한 사업들을 통해 지역의 풍부한 무형유산을 보존·계승하며‘살아있는 문화유산 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국보 영남루에서 펼쳐지는 전통의 숨결‘무형유산 상설공연’2008년부터 시작해 올해 18년째를 맞이한 무형유산 상설공연은 대한민국 대표 누각인 국보 영남루에서 밀양의 무형유산을 보고 즐기는 프로그램이다. 국가 무형유산인 밀양백중놀이와 경상남도 무형유산인 무안용호놀이, 감내게줄당기기, 밀양법흥상원놀이, 작약산예수재 등 밀양의 역사와 전통문화 공연이 열린다. 공연은 매주 토요일 오후 3시(4~10월, 7·8월 제외) 영남루 마당에서 열리며, 우천 시 일정이 변동될 수 있다. 무형유산의 전승과 확산‘전수교육관 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