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7 (금)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벤치·휴지통·볼라드 우수디자인 인증받으세요~!


서울시가 벤치, 볼라드, 휴지통, 휀스, 음수대 등 공공시설물을 디자인 생산하는 국내업체들 대상으로 '제17회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인증 신청을 받는다.

서울우수공공디자인'은 주변경관을 해치지 않고 도시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우수한 공공시설물의 디자인을 서울시가 인증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도시경관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개선,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도시에 개성과 질서를 부여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을 발굴해오고 있다. '서울우수공공디자인'제도는 공공시설물의 제작 단계에서부터 디자인가이드라인 적용에 이르기까지 서울의 공공디자인 정립의 기초가 되고 있다.
서울우수공공디자인'으로 인증되면 2년간 인증마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 자치구 및 시 산하기관에서 디자인 발주 시 반드시 거쳐야 하는 ‘서울도시디자인위원회’의 심의가 면제되고, 시에서 책자 제작 등을 통해 자치구와 산하기관에 홍보하는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시는 2009년부터 지금까지 연 2회(상‧하반기)씩 총 16회에 걸쳐 26개 품목 총 884점의 인증제품을 선정했다.
신청대상은 벤치, 볼라드, 휴지통, 휀스 등 시장에 출시된 공공시설물 또는 출시 예정인 시제품이다.
신청은 8월 2일(화)~8월 5일(금) 서울우수공공디자인 홈페이지(http://sgpd.seoul.go.kr)에서 할 수 있다.

선정계획은 서울시 홈페이지(http://www.seoul.go.kr) 시정소식 고시‧공고란과 서울우수공공디자인 홈페이지(http://sgpd.seoul.go.kr) 알림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사는 8월 8일(월) 1차 서류심사를 시작으로 온라인 시민의견 수렴, 현물심사, 서울도시디자인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10월 중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선정절차 : 신청서 접수(온라인) → 1차 서류심사 → 시민의견 수렴(온라인) → 2차 현물심사 → 최종선정위원회 평가 → 서울도시디자인위원회 심의 최종결과 발표
한편, 시는 인증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는 13회차 인증선정 제품을 대상으로 재인증 신청접수도 받는다.
신청은 제출양식, 접수방법, 선정기준, 설치장소 표기 등의 공고사항을 꼼꼼히 체크해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단(jaehopark@seoul.go.kr)으로 이메일 신청하면 된다.

재인증 선정절차 : 신청서 접수(이메일) → 현장실사 → 선정위원회 평가 → 서울도시디자인위원회 심의 → 최종결과 발표

안재혁 서울시 도시공간개선반장은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인증제품 보급으로 도시공간 개선은 물론 업체 판로지원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기업이 몰리면 도시가 바뀐다… ‘첨단 기업도시’ 로 도약하는 의정부시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기업이 오면 도시가 바뀐다’는 확신을 도시 전략의 중심에 세웠고, 지난 3년 동안 이 원칙을 토대로 시정을 이끌어 왔다.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 유치에서 시작해 산업단지 고도화, 규제 해소, 미래산업 기반 확보, 상권 활력으로 이어진 의정부의 변화, 그 여정을 살펴본다. 기업유치 성과…기업이 오면 도시가 달라진다시는 민선 8기 출범 직후 ‘기업유치팀’을 신설하며 규제에 묶인 베드타운의 한계를 ‘좋은 일자리’로 돌파하겠다고 선언했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과 재정자립도 하위권이라는 현실 진단 끝에 ‘기업이 오면 사람이 온다’는 선순환 시나리오를 선택한 것이다. 실행은 전형적이지 않았다. 시장이 직접 나선 ‘찾아가는 기업유치 설명회’, 공무원‧민간 전문가 워킹그룹, 부서 간 전략회의까지 전 과정을 현장 밀착형으로 설계했다. 그 결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북부지역본부 ▲㈜바이오간솔루션 ▲의정부농협 복합문화시설 ▲㈜시지바이오 등 총 5개의 앵커 기업‧기관이 잇달아 의정부행을 택했다. 특히, LH 경기북부지역본부의 입주로 300여 명의 상주 인력이 유입되면서 용현산단 인근 식당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