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보조금 10만원 받고, 친환경 보일러로 바꾸세요.

▸ 대구시, 친환경 가정용 보일러 교체 신청자 모집(예산소진 시까지)
▸ 대당 10만원, 저소득층엔 60만원까지 지원


  대구시는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사업비 28억원을 들여,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보조금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저녹스 보일러는 일반보일러보다 에너지 효율이 12% 높아 연간 난방비가 최대 13만원 절약되며, 연간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534kg 줄이는 효과가 있다. 초미세먼지(PM-2.5) 생성의 주요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 배출량도 약 79%까지 줄일 수 있는 친환경 보일러이다.

사업물량은 23,270대로 일반가정 22,400대, 저소득층 870대를 책정했다. 보일러를 주로 사용하는 겨울철을 앞두고 대구시는 본격적으로 신청자를 모집한다.

지원대상은 2022년에 저녹스 보일러를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 일반보일러를 저녹스 보일러로 교체한 가정이며, 대당 지원금액은 10만원이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에는 대당 60만원이 지원되며, 저소득층의 경우 보일러 제작사 지원금을 더해 무상 설치가 가능한 제품도 있다. 공공기관과 공공시설, 신축건물 중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대상 공동주택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신청기간은 올해 예산 소진 시까지이며, 가정용 보일러 보조금 신청 홈페이지(http://www.greenproduct.go.kr/boiler)에서 신청하거나, 주거지 구·군청 환경부서에 신청서 및 구비서류를 갖추어 등기우편 또는 방문해 제출하면 된다.

신청대상 및 신청방법은 구·군 홈페이지 공고에서 확인하거나 구·군 환경부서로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지원 가능한 제품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국내 5개 보일러 사의 제품이다. 저녹스 보일러는 배기가스 재연소로 발생하는 응축수 배관 설치가 불가능한 장소에는 설치가 곤란하기 때문에 보일러 제작사를 통해 설치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홍성주 대구시 환경수자원국장은 “고농도 미세먼지가 집중되는 겨울철을 앞두고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큰 친환경 저녹스 보일러 교체 사업에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붙임: 저녹스 보일러 소개 및 접수처, 보일러 제작사 연락처(별첨)

붙임 1

 

저녹스 보일러 소개


  저녹스 보일러란?
    질소산화물(NOx) 발생 억제를 위한 저녹스(低NOx)버너 장착으로 연소 방식을 개선하여 한국환경산업기술저녹스 보일러 소개 및 원의 환경표지 인증을 받은 보일러
    미세먼지 발생 원인물질인 NOx 배출저감과 난방비 절감 효과가 있음

  일반 보일러 vs 저녹스 보일러

구 분

일반 보일러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

특 징

현재 가정에서 주로 사용

응축수가 열교환기나 배기 등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배기가스 온도를 일정온도 유지(140~200)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응축 잠열을 회수하여 열효율 향상

질소산화물(NOx)발생 억제를 위한저녹스버너 장착으로 연소방식 개선

저녹스버너, 두 개의 열교환기 및 응축수 발생으로 인한 내식성 소재의 사용으로 고가

에너지효율

76~83%

92%

질소산화물(NOx)

배출농도

173ppm

20ppm

설치가격

최대 약 70만원 정도

최대 약 90만원 정도

연간 난방비용

100만원

87만원

구 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bb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9pixel, 세로 33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bb011e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6pixel, 세로 447pixel

설  .설치가격은 회사별, 용량별로 달라질 수 있음.


붙임 2

 

접수처 및 보일러 제작사 연락처

            

◎              

      ◎ 구.군별 접수처

    

연번

자치구

주 소

담당부서

부서전화

1

중 구

대구 중구 국채보상로 1391

환경자원과

053-661-2737

2

동 구

대구 동구 아양로 207

환경녹색과

053-662-4114

3

서 구

대구 서구 국채보상로 257

환경청소과

053-663-2597

4

남 구

대구 남구 이천로 51

녹색환경과

053-664-2582

5

북 구

대구 북구 옥산로 65

환경관리과

053-665-2608

6

수성구

대구 수성구 달구벌대로 2450

녹색환경과

053-666-2588

7

달서구

대구 달서구 학산로 45

기후환경과

053-667-2594

8

달성군

대구 달성군 논공읍 달성군청로 33

환경과

053-668-2597

            
가정용 저녹스보일러 설치 제작사 연락처

제작사

대표전화

경동나비엔

1588-1144

귀뚜라미

1588-9000

린나이코리아

1544-3651

알토엔대우

1588-7339

대성쎌틱 에너시스

1588-8577

                                                                                         
  저소득층 제조사 무상 지원 가능 제품 및 문의처

제작사

지원 제품

대표전화

경동나비엔

NC353(LNG)

1588-1144

귀뚜라미

거꾸로 ECO콘덴싱(LNG)

거꾸로 NEW콘덴싱 플러스(LNG)

1588-9000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건강한 맛! 전북에서 찾는다!” 전북특별자치도, 2025 치유음식 콘테스트 개최
전북특별자치도는 도민의 건강한 식생활 문화 확산과 웰니스 관광 활성화를 위한 ‘2025 전북 치유음식 콘테스트’를 오는 6월 24일,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건강한 맛, 전북에서 찾다’를 부제로 도내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활용한 창의적인 치유음식을 주제로 다양한 요리 경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최근 웰니스와 힐링이 관광 트렌드로 자리잡으며, 건강과 관광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문화 조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도는 이번 콘테스트를 통해 전북만의 차별화된 치유음식 콘텐츠를 발굴하고 도민의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번 콘테스트는 전북도에 거주하는 조리·영양학과 대학생이나 전공자, 요식업 종사자 등 치유음식에 관심이 있는 도민이라면 누구든 지원 가능하다. 접수는 6월 2일 월요일부터 6월 11일 수요일 오후6시까지 이메일을 통해 진행되며, 본선 참가팀에게는 팀당 20만원의 재료비가 지원된다. 참가자들은 신청서와 함께, 지역식재료를 활용한 치유음식 레시피를 제출해야한다. 심사는 1, 2차로 나누어지며 1차 서면심사를 통과한 22팀은 2차 현장시연과 시식평가를 거치게 된다. 경연을 통해 수상한 10팀에게는 도지사 표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