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도, 소규모사업장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확인부터 교체까지 ‘전 생애-맞춤형’지원

○ 대기오염방지시설 전 생애를 사업장 실정에 맞게 꼼꼼히 관리ㆍ지원
- 신규 설치 시설에 대한 성능검사 과정 추가하기로
- 녹색환경지원센터 등과 협업해 시범사업 실시(9월~10월) 후 내년부터 확대 추진

                
○ 2017년부터 전국 최초로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개선)사업 추진
 - 2020년까지 2,758개 교체대상 시설에 지원비 지급. 943개 시설 유지관리 지원
○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에 대한 성능검사, 유지관리, 교체(개선보완) 등 
   전 생애 –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경기도가 재정ㆍ기술능력이 부족한 소규모 사업장에 대해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 확인과 성능검사, 유지관리, 교체(개선보완) 등 방지시설 관리 전 과정을 사업장 실정에 맞게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의 ‘소규모 사업장 대기오염방지시설 전 생애-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도내 대기 배출사업장(1~5종)은 1만9,408개소로 이 중 약 96%인 1만8,610개소가 소규모 사업장(4~5종)이다. 소규모 사업장은 환경기술인에 대한 자격 기준 및 제한이 없고, 운영비용 부담 등으로 대기오염방지시설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소규모 사업장 대기오염방지시설 전 생애-맞춤형 지원’사업은 기존에 진행했던 교체, 유지관리 지원사업에 신규 설치(증설)되는 시설에 대한 관리를 추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박성남 도 환경국장은 “대기오염방지시설을 하나의 인격체로 봤을 경우 신설은 탄생, 유지관리는 삶, 교체는 사망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면서 “신규 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과정을 추가해 신설부터 유지관리, 교체까지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전 생애-맞춤형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의미에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부터 신규 설치(증설)되는 시설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 확인 강화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은 신규 시설 가동개시 현장 확인 시 공무원과 전문가가 시설 적정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설치·운영상 문제점을 진단한 뒤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등 컨설팅을 실시한다. 시설 적정 가동 확인을 위한 오염도 검사도 진행한다. 이를 위해 경기·안산·시흥녹색환경지원센터 등과 협업해 9월부터 10월까지 시범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며, 사업효과를 분석한 뒤 내년도에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녹색환경지원센터(3개소)와 원활한 협력체계 마련을 위해 지난 30일 ‘사업장 환경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한편, 경기도는 2017년부터 전국 최초로 대기오염방지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했다. 이 사업은 노후화가 심각한 방지시설을 교체할 경우 설치비의 90%를 도가 지원하는 내용이다. 도는 2019년부터 국비 약 1,700억 원을 확보해 방지지설 교체 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 시행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도는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개선)사업을 통해 2,758개 사업장의 노후시설을 신규 시설로 교체했으며, 올해에도 1,144개소를 교체할 예정이다.
도는 또 2019년에는 방지시설 유지관리 사업을, 2020년에는 방지시설 성능 검사사업을 새롭게 추진해 2020년까지 2년 동안 943개 사업장의 대기오염방지시설을 체계적으로 관리했다. 
경기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 사업을 통해 먼지가 64%, 황산화물이 57% 감소하는 등 오염물질 배출저감, 1,777명의 일자리 창출, 환경산업체 매출 2019년 281%, 2020년 104% 증가 등의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하고 있다. 
                   
연도별 추진현황
                              

추진방향 및 흐름도>


  

참고

 

연도별 추진실적

                                                                                                                           (단위:백만원/개소)

사업명

사업비

’17

’18

’19

’20

소 계

258,935

20,000

9,120

77,450

152,365

국 비

113,585

 

 

37,825

75,760

도 비

53,608

5,000

2,280

15,670

30,658

시군비

54,290

5,000

2,280

16,270

30,740

자부담

37,452

10,000

4,560

7,685

15,207

사업량

3,701

171

83

1,436

2,011

대기오염방지시설 유지관리

(관리지원+유지보수+성능검사)

소 계

2,645

 

 

1,800

845

국 비

 

 

 

 

 

도 비

894

 

 

540

354

시군비

1,576

 

 

1,140

436

자부담

175

 

 

120

55

사업량

943

 

 

446

497

관리지원

401

 

 

286

115

유지보수

240

 

 

160

80

성능검사

302

 

 

 

302

소규모사업장 방지시설

설치지원

소 계

256,290

20,000

9,120

75,650

151,520

국 비

113,585

 

 

37,825

75,760

도 비

52,714

5,000

2,280

15,130

30,304

시군비

52,714

5.000

2,280

15,130

30,304

자부담

37,277

10,000

4,560

7,565

15,152

사업량

2,758

171

83

990

1,514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이동환 고양시장, ‘중부대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 참석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지난 29일 중부대학교에서 개최된 ‘중부대학교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에 참석해 대학지원체계 협력을 본격화했다. 이번 발대식은 경기도 공모사업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중부대학교가 최종 선정된 것을 기념하고, 고양시와 대학, 산업체, 지역기관이 함께 교육혁신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부대학교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기도로부터 매년 20억 원씩 5년간 100억 원을 지원받고 시에서도 행·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이를 기반으로 중부대학교는 고양시, 산업계와 협력해 실무형 인재 양성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중부대 라이즈 사업을 통해 ▲첨단 미디어콘텐츠·AI 기반 창의융합 인재 양성 ▲전공 연계 창업 지원 ▲지역 현안 해결형 협력 프로젝트 ▲평생교육 및 교육연계 모델 개발 등을 대학과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중부대 라이즈 사업은 고양시 미래 전략 산업과 직결돼 있으며, 대학과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산학협력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고양시는 다른 대학과도 긴밀히 협력해 학생부터 청년, 중장년까지 모든 세대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교육·산업 혁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