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도, 노후경유차 미세먼지 제로(ZERO) 위한 저공해조치 지원에 3,341억 원 투입

○ ’21년 3,341억원, 139,550대(노후경유차 133,673대, 노후건설기계 2,251대, LPG화물차 신차구매
3,620대, 노후차 운행제한 CCTV 6대) 지원
○ ’21.12월 계절관리제 운행제한 시 저감장치 미부착 차량 유예없이 단속

                 
경기도는 경유차량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배출가스 5등급 노후경유차 및 노후건설기계 등을 대상으로 올해 총 3,34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후경유차 제로(ZERO)’를 추진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도는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10만3,650대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2만9,600대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동시저감 장치(PM-NOx) 부착 334대 ▲경유차 LPG엔진개조 89대 ▲노후건설기계 엔진교체 1,960대 ▲노후건설기계 저감장치 부착 291대 ▲노후경유차 폐차 후 LPG 화물차 신차구매 지원 3,620대 ▲노후차 운행제한 단속을 위한 CCTV 설치 등에 총 3,341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추진 중이다.
또한, 올해부터 조기폐차에 대한 차주 부담을 줄이기 위해 조기폐차 후 배출가스 1~2등급의 중고자동차를 구매할 때에도 폐차하는 차량 기준가액의 30%에 해당하는 추가보조금을 지원한다. 저감장치 부착불가 차량, 소상공인 차량, 영업용 차량, 차상위계층 차량에 대해서는 조기폐차 상한액을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상향했다.
특히 올해 말 시행되는 제3차 미세먼지 계절관리기간(’21.12.~’22.3.)에는 저공해조치 신청만 해도 단속이 유예됐던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20.12.~’21.3.)와는 달리 저공해조치 미이행 시 유예 없이 운행제한 단속이 시행돼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저공해 조치 지원을 받고자 하는 배출가스 5등급 경유차 차주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홈페이지(https://emissiongrade.mecar.or.kr)’를 통해 저공해조치 신청을 하면 된다. 또한, 신차 구입 시 보조금 지원 등 자세한 사항은 신청대상 차량이 등록된 시·군 환경부서 와 경기도 콜센터(031-120) 및 한국자동차환경협회(조기폐차 1577-7121, 저감장치 부착 1544-0907)에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박성남 도 환경국장은 “오는 12월 시행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운행제한 단속에 따른 과태료 부담을 줄이고 노후경유차 제로(ZERO) 목표달성을 위해 노후경유차 소유자의 저공해조치 조기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참고1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세부사업 현황


사업구분

내 용

지원금

‘21년 예산

조기폐차

배출가스 5등급 경유자동차 또는 ‘05년 이전 도로용 3 건설기계 중에서 정해진 요건을 충족하는 차량에 대해 폐차 시 보조금 지급

(총중량 3.5톤미만) 차량기준가액의 70%, 경유차 외 신차(중고차 포함) 구매 시 30% 추가지원, 상한액 300만원

(총중량 3.5톤이상) 차량기가액의 100%, 신차(중고차 제외) 구매 시 200% 추가지원, 상한액 3,000만원(건설기계 4,000만원)

- 사업비 : 1,658억원

사업량 : 103,650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노후경유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감장치(DPF) 부착

장치가격의 82.5% ~ 90%

(292만원 ~ 632만원)

, 생계형 차량 100% 지원

- 사업비 : 1,125억원

사업량 : 29,600

LPG엔진 개조

기존 경유자동차 엔진을 LPG엔진으로 개조

장치가격의 90.5% ~ 93%

(406만원 ~ 417만원)

, 생계형 차량 100% 지원

- 사업비 : 3.1억원

사업량 : 89

PM-NOx 저감장치 부착

버스, 화물차 등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는 저감장치 부착

장치가격의 99%

(1,318만원~1,567만원)

, 생계형 차량 100% 지원

- 사업비 : 50억원

사업량 : 334

건설기계

DPF 부착

노후 건설기계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 콘크리트펌프를 대상으로 매연저감장치 부착

장치가격의 100%

(525만원 ~ 729만원)

- 사업비 : 32억원

사업량 : 291

 

건설기계

엔진교체

tier-1이하의 엔진을 탑재한 지게차, 굴삭기 등 건설기계를 대상으로 신형(tier-3 이상)엔진 또는 전기모터로 교체

장치가격의 100%

(937만원 ~ 2,035만원)

- 사업비 : 323억원

사업량 : 1,960

노후경유차 운행제한 시스템 구축

노후경유자동차 운행제한 시스템 구축(단속 카메라 설치)

5,000만원/

- 사업비 : 3억원

사업량 : 6

LPG 화물차

전환 지원

경유차 폐차 후 LPG 1톤 화물차 신차 구매 시 지원

400만원/

- 사업비 : 145억원

사업량 : 3,620


참고2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보조금 지원절차

                     
조기폐차

조기폐차 신청

조기폐차 대상 확인

폐차장 입고

노후경유차 소유자

지자체 또는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소유자

 

 

 

 

 

 

 

경유차량 상태 확인(성능검사)*

폐차 말소 등록 및 보조금 청구

보조금 지급

지자체 또는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소유자

지자체

 

 

 

 

 

 

보조금 수령

신차구매 및 추가지원 신청

추가지원 보조금 수령

 

소유자

소유자

소유자

 

                        
DPF, 엔진교체 절차

저공해조치 신청

(배출가스등급제 시스템을 통해 저공해조치 신청)

매연저감장치 부착 등 대상차량 선정

(배출가스등급제 시스템을 통해 선정)

부착대상 확인 및 적정장치 안내

(배출가스등급제 시스템의 선정 정보를 활용해서 안내)

차량 소유자

 

지자체

 

한국자동차환경협회

 

 

 

 

 

 

 

 

차량 상태 확인

(부착 완료 후 품질 확인 점검 포함)

장치 부착 등에 관한 계약 체결 및 자기부담금(소유자) 납부

저감장치 부착 등

장치 제작사

 

소유자-장치 제작사

 

장치 제작사

 

 

 

 

 

 

 

적정장치 부착 여부확인

(배출가스등급제 시스템)

보조금지급신청서 제출

(부착사실확인서 첨부)

보조금 지급

 

지자체 또는 협회

 

장치 제작사

 

보조사업 수행기관(지자체)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이동환 고양시장, ‘중부대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 참석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지난 29일 중부대학교에서 개최된 ‘중부대학교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에 참석해 대학지원체계 협력을 본격화했다. 이번 발대식은 경기도 공모사업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중부대학교가 최종 선정된 것을 기념하고, 고양시와 대학, 산업체, 지역기관이 함께 교육혁신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부대학교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기도로부터 매년 20억 원씩 5년간 100억 원을 지원받고 시에서도 행·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이를 기반으로 중부대학교는 고양시, 산업계와 협력해 실무형 인재 양성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중부대 라이즈 사업을 통해 ▲첨단 미디어콘텐츠·AI 기반 창의융합 인재 양성 ▲전공 연계 창업 지원 ▲지역 현안 해결형 협력 프로젝트 ▲평생교육 및 교육연계 모델 개발 등을 대학과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중부대 라이즈 사업은 고양시 미래 전략 산업과 직결돼 있으며, 대학과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산학협력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고양시는 다른 대학과도 긴밀히 협력해 학생부터 청년, 중장년까지 모든 세대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교육·산업 혁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