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도, 3월까지 ‘경기도형 긴급복지’ 지원 기준 한시적 완화

지난해 17만4천여 가구에 지원금 1,148억원 지급 (2019년 530억원의 약 2.2배)


○ 긴급복지 지원 기준 한시적 추가 완화 연장을 통한 지원대상 확대
○ 지원 대상 :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중위소득 100% 이하 위기가구 등
 - 재산 기준 시 3억3,900만원, 군 2억2,900만원, 금융 기준 1,731만원 (4인 가족 기준) 
○ 신청 방법 :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경기도콜센터(031-120)

경기도가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기 가구 지원을 위한 ‘경기도형 긴급복지제도’ 지원 기준을 3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487만원) 위기 도민 생계 지원을 위한 ‘경기도형 긴급복지제도’ 지원 대상 재산 기준을 기존 시 지역 2억5,700만원, 군 지역 1억6천만 원에서 올해 시 지역 3억3,900만원, 군 지역 2억2,900만원으로 완화한다. 금융 기준은 기존 1천만 원에서 1,731만4천원으로 완화한다.
지원 대상 가구는 ▲주 소득자가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 등으로 가구 생계가 곤란한 경우 ▲주 소득자가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고용보험 수혜마저 끊긴 1개월 이상 소득상실 가구 ▲30% 이하 소득 급감 영세 소상공인 등이다. 4인 가구 기준 월 생계비 126만원과 중한 질병에 걸릴 경우 500만원 이내의 입원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경기도는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도내 생계 위기가구 증가에 따라 지난해 3차례에 걸쳐 ‘경기도형 긴급복지’ 지원 기준을 완화해 국가 예산 포함 약 1,148억원을 174,646가구에 지원한 바 있다. 2019년 지원금 530억 원의 약 2.2배다.
도는 기준 완화 기간을 보건복지부의 긴급복지 완화 기간인 3월 31일까지로 우선 정했으며 종료 시점 상황에 따라 기간, 기준 연장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시·군 적극행정 독려, 경찰과의 협업을 통한 생계위기가구 지속 발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을 활용한 민·관 협력 등을 통해 복지사각지대 위기 가구 발굴·지원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긴급복지 지원 신청은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경기도    콜센터(031-120)를 통해 할 수 있다.
이병우 경기도 복지국장은 “이번 경기도형 긴급복지 확대를 통해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도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는 위기도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 1

 

긴급복지활용 복지사각 발굴지원 추가확대 (~3.31.) 

          
적용기간 : (‘20)‘20.4. 6~ 12.31. (’21) ~’21. 3.31.
변경사항 : 긴급복지경기도형 긴급복지추가 한시적 기준 완화

사업명

세부내용

긴급
복지

(중앙)

위기
사유

- 코로나19에 따른 생계 곤란한 경우를 지방자지단체장이 인정하는 경우로 인정

-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가 무급휴직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또는 프리랜서인 주부소득자의 소득이 급격히 감소한 경우

보건복지부 고시사항 적용(‘20.04.06.)

선정
기준

완화

- 지원내용 : 생계비 월 126만원(4인 가구), 의료 주거, 교육 지원 등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4인가구 기준 3,562천원)

* 재산기준(기초연금제도 수준, 실 거주 고려 추가확대)

() 118백만원 (‘21년 한시 확대) 200백만원

() 101백만원 (‘21년 한시 확대) 170백만원

* 금융기준 : 500만원 (‘21년 한시 확대) 1,2314000 (*4인가구 기준)

경기도형
긴급
복지
(경기도)

위기
사유

- 코로나 여파로 인해 1개월 이상 소득이 단절된 임시, 일용직(비정규직, 프리랜서 등)

- 최근 1개월 매출이 이전 동기 대비 30% 이하로 감소된 소상공인 및 소득상실 종사자

- 코로나 관련 소득감소로 월세 등 임차료 체납 가구

- 기타 시장군수가 코로나19 위기사유로 인정하는 경우 자율적 추가

보건복지부 고시사항(‘20.04.06.) 및 도 확대 방침 적용

선정
기준

완화

- 지원내용 : 생계비 월 126만원(4인 가구), 의료 주거, 교육 지원 등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4인가구 기준 4,876천원)

* 재산기준(기초연금제도 수준, 실거주 고려 추가확대) *복지부 완화기준 적용

() 257백만원 (21년 한시 확대) 339백만원 (20324백만원)

() 160백만원 (21년 한시 확대) 229백만원 (20221백만원)

* 금융기준 : 1천만원 (21 한시 확대) 1,731만원 4000(201712만원)

                  
중위소득 기준

                                                                                                                                                                                                 (단위 : )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긴급복지

중위소득 75%

1,370,873

2,316,059

2,987,963

3,657,218

4,318,030

4,971,452

경기도형 긴급복지

중위소득100%

1,827,831

3,088,079

3,983,950

4,876,290

5,757,373

6,628,603

                          
생활비 지원금액

                                                                                                                                                                         (단위 : /)

가구원수

1

2

3

4

5

6

비고

지원금액

474,600

802,000

1,035,000

1,266,900

1,496,700

1,722,000

7인이상 225,400원씩 추가

정부 및 경기도 지원금액 동일

   

참고 2

 

긴급지원 비교표(정부 긴급, 경기도형)

       

구분

긴급복지

경기도형 긴급복지(무한돌봄)

위기

사유

대상

(현행)

1. 주소득자 사망, 가출, 행방불명 등으로 소득상실

2.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3.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 유기, 폭력을 당한 경우

4. 화재 등으로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경우

5. 폐업 등

한시적 확대

현행 긴급복지 법령에 의한 실직, 영업곤란 등 위기사유 요건을 미충족하더라도 지방자치단체장이 인정하는 경우 지원가능

코로나19 여파 위기사유 추가(지침확대)

1개월 이상 소득단절 임시일용직(비정규직 등)

최근 1개월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30% 이하로

감소된 소상공인 및 소득상실 종사자

월세 등 임차료 체납가구

기타 시장군수가 코로나19 위기사유라고 인정하는 경우

*코로나19 극복 긴급지원사업의

위기사유 추가인정

집중발굴 기간 중 목표

발굴 가구수

56,423가구

16,427가구

사업예산

50,160백만원

17,402백만원

선정

기준

소 득

기준 중위소득 75%이하

(4인가구 기준 : 365만원)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487만원)

재산

중소도시()

118백만원 (21년 한시) 200백만원

257백만원 (21년 한시) 339백만원

()

101백만원 (21년 한시) 170백만원

160백만원 (21년 한시) 229백만원

금 융

*생활준비금 확대 500만원

(4인가구 기준 완화 시) 1,231만원 4000

*생활준비금 확대 1,000만원

(4인가구 기준완화 시) 1,7314000

지원

내용

 

생계

(4인가구 기준)

1,266,900

1,266,900

의료

300만원(최대 2),

500만원(최대2)

주거

(3~4인가구 기준)

42.3만원(:24.3)

64.3만원(:42.3)

복지시설이용

(: 사례관리)

4인가구 기준 월 145만원

가구별 400만원 한도

(1회 한해 50만원 선지원, 심사제외)

기타

교육비, 연료비, 해산비, 장제비, 전기요금

연료비, 해산비, 장제비, 구직활동비, 전기요금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서로가 돌보는 도시, 의정부의 새로운 복지 기준... 복지, 제도를 넘어 삶으로… 의정부 ‘모두의돌봄’ 실현
도시의 품격은 사회적 약자가 얼마나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지에서 결정된다. 민선 8기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이 철학을 바탕으로, 모든 세대와 계층이 서로를 돌보는 복지 모델 ‘모두의돌봄’을 구축해 왔다.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맞춤형 돌봄 체계를 완성해 가고 있는 의정부시의 지난 3년 간 노력을 살펴본다. 현장에서 시작되는 복지혁신…의정부형 돌봄 브랜드 ‘모두의돌봄’시는 ‘모두의돌봄’을 통해 제도 밖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돌봄 공동체를 구축하고 있다. 현장 중심의 행정과 민관 협업을 바탕으로 복지정책에 진정성을 더하며, 3개 분야(▲의정부형 돌봄 ▲복지디자인 거버넌스 ▲복지 사각지대 해소) 11개 과제를 본격 추진 중이다. 대표 과제인 ‘돌봄 삶의 현장’은 시장과 관계 공무원이 복지 현장을 직접 찾아가 소외된 이웃을 살피고, 정책이 닿지 못한 영역을 체감하며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시는 폭염에 취약한 경로당과 독거노인 가구, 자활기업, 장애인 걷기 대회, 아동양육시설 등 다양한 복지 현장을 지속 방문하며 고충을 청취하고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해 왔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 처한 한부모 가정 아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진주시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길 올라
‘2025 진주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 발대식이 4일 진주시청 광장에서 진주시 자전거협회(회장 설대호) 주관으로 개최되었다. 진주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는 진주지역 대학생들의 도전 의식과 협동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2013년에 시작돼 올해 11회째를 맞았으며, 올해 자전거 국토 대종주팀은 진주지역 대학생과 서포터즈 등 총 40명으로 구성되어 의령군, 창녕군을 거쳐 대구 달성군, 칠곡군, 구미시, 상주시를 돌아오는 코스 250㎞의 종주 자전거길을 2박 3일의 일정으로 달린다. 두 바퀴로 달려가는 젊음과 열정의 진주시 대학생 자전거 국토 대종주팀은 5년 연속‘대한민국 도시 대상’을 수상한 살기 좋은 도시 진주의 자긍심을 싣고 낙동강 국토종주 자전거길을 달리며 ‘명품 자전거도시 진주, K-기업가정신 수도 진주’ 등을 홍보하고 환경 봉사활동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참가 대학생 대표인 경상국립대학교 김태환, 김현정 학생의 선서와 함께 참가자 전원 완주와 안전한 라이딩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김태환 학생은 “이번 자전거 국토 대종주를 통해 한계를 넘고 역경을 극복하는 진취적 기상과 강인한 의지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며 “참가자들 간 유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