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환경뉴스

경남도, 친환경 수소연료전지차 1,400여대 구입 보조금 지원

수소차(넥쏘) 7,000만원 중 보조금 3,310지원(선착순 1,452대)
구입시 최대 660만원 세금감면(소비세, 교육세, 취득세 감면)


경상남도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과 연계하여 미세먼지 저감과 대기질 개선을 위하여 올해 550.6억원을 투입하여 도내 수소연료전지차 1,452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현재 출시된 수소 승용차 판매가는 7천만원 정도이며, 구매시 대당 3,310만원이 지원되며, 시군별 보급대수는 ▲창원시 1,100대, ▲진주시 104대, ▲통영시 2대, ▲김해시 100대, ▲거제시 40대, ▲양산시 30대, ▲함안군 5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차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이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자동차로서 1회 충전 주행거리 및 충전시간 면에서 전기차보다 우월하다. 수소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600km로 충전시간은 내연기관과 유사한 3~5분 정도이다.
 ※ 전기차 1회 충전 주행거리 400km 이하, 충전시간 급속 30분, 완속 6시간 

친환경 수소차를 구매할 경우 개별소비세(최대400만원)와 교육세(최대 120만원), 취득세(최대 140만원) 등 총 660만원까지의 세금 감면 혜택도 누릴 수 있으며, 일반 차량은 배기량을 기준으로 자동차세를 납부하지만, 친환경 수소차는 연 13만원만 납부하면 된다. 뿐만아니라 올해(2020년)까지 고속도로 통행료를 50% 할인 받을 수 있으며, 공영 주차장 주차료도 50% 할인이 가능하다.

경남도는 ‘19년까지 수소차 539대를 보급하였고, ’20년 수소차를 213대 보급하여 5월말 기준 도내에는 752대의 수소차가 보급되어 있다. 현재 운영중인 수소충전소는 5개소로 창원시 4개소(팔용동, 성주동, 중앙동, 덕동)와 함안휴게소 부산방향으로 1개소가 있다.

도내 구축중인 수소충전소는 총 9개소(창원 4, 진주 1, 통영 1, 김해 1, 거제 1, 양산 1)이며, 도내 전역에 충전소가 구축되면 수소차 충전이 편리해져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경남도 김영삼 산업혁신국장은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중이며, 분산형 수소생산기지와 수소액화 실증플랜드 구축 등 수소관련 인프라가 구축되면 현재보다 수소공급 가격이 낮아져 수소차량의 운영비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차량인 수소차의 보급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수소공급가격 : 현재 8,000원/kg '22년 6,000원/kg, '30년 4,000원/kg, '40년 3,000원/kg 예상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