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0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고흥 연홍도, 미술 섬으로 둥실

13일 전국 유일의 미술섬으로 오픈․가고 싶은 섬 의 날 행사

전라남도는 ‘가고 싶은 섬’ 고흥 연홍도가 13일 미술관 오픈과 함께 ‘섬 여는 날’ 행사를 열고 본격적인 손님맞이에 나섰다고 밝혔다.

전라남도의 브랜드 시책인 ‘가고 싶은 섬’ 가운데 2015년 5월 강진 가우도, 2016년 11월 여수 낭도, 신안 반월․박지도가 문을 열었다. 고흥 연홍도는 네 번째다.

연홍도는 ‘가고 싶은 섬’ 가꾸기 대상으로 선정된 뒤 2년여 동안 미술관을 리모델링하고 유휴 공간을 수리해 마을 식당과 카페, 조형물 설치, 걷는 길 조성 등을 마무리했다.

이날 행사에는 ‘가고 싶은 섬’에 대한 지역민의 뜨거운 관심을 증명하듯 김갑섭 전라남도지사 권한대행 행정부지사와 박병종 고흥군수를 비롯한 지역 주요 인사와 10곳의 가고 싶은 섬 주민 대표, 연홍도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연홍도 향우 100여 명이 참석해 오래 전 떠났던 고향이 예술의 섬으로 다시 태어난 것에 대해 남다른 감회에 젖는 등 ‘섬 여는 날’의 의미를 더했다.

연홍도에 설치된 대표적 미술품은 전국에서 공모한 2천 장의 티셔츠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연출한 ‘팔랑팔랑 대지미술관’, 폐가에 그림을 그려 새로운 이미지로 변신시킨 프랑스 작가 실뱅 페리에(Sylvain Perrier)의 ‘탈출’, 언덕에 설치된 유자 모양의 설치미술 작품, 섬 입구 선착장에 들어선 하얀 소라고둥과 아트타일 작품 등이다.

이외에도 물때에 따라 수면 위로 드러나는 ‘은빛 물고기’가 바다에 떠있고, 오랜 시간 바닷물에 씻긴 해변 쓰레기로 만든 정크아트 작품이 골목길을 따라 아기자기한 느낌으로 전시돼 관광객들의 감성을 자극할 것으로 보인다.

김갑섭 권한대행은 축사를 통해 “가고 싶은 섬 10곳 가운데 고흥 연홍도가 강진 가우도, 여수 낭도, 신안 반월‧박지도에 네 번째로 문을 열게 됐다”며 “연홍도가 일본의 유명한 예술의 섬 나오시마처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예술의 섬으로 거듭나도록 도에서도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가고 싶은 섬 연홍도는 바다위에 떠있는 연(鳶)과 같아 연홍도(鳶洪島)라 부르다가 거금도와 맥이 이어져 있다 하여 한자가 이을 연(連)자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62가구 108명의 주민이 사는 아담하고 아름다운 섬으로 미술관 앞쪽에는 때 묻지 않는 모래 해변이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시민과 함께 만드는 ‘공감형 안전도시’ 실현
여수시는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도시 구현을 위한 ‘시민 체감형 안전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행정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체감형 정책으로 시민이 공감하고 동참하는 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시는 시민 맞춤형 안전교육 확대와 드론을 활용한 실시간 재난 대응, 시민안전보험 운영 등 다양한 생활밀착형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전 시민 자동 가입 시민안전보험과 QR 기반 재난안전 인식도 진단, 어린이·어르신 맞춤형 안전학당 등 시민의 일상과 밀접한 정책이 중심이 되고 있다. ▲전 시민 대상으로 운영되는 '시민안전보험'‘시민안전보험’은 별도의 절차 없이 여수시민 전체가 자동 가입되며, 각종 사고나 재난 발생 시 실질적인 보장을 제공한다. 이는 시민 모두를 촘촘하게 보호하는 든든한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보험 신규 보장내용에 대한 집중 홍보는 물론,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안내 및 처리 과정을 통해 시민의 실질적 수혜율도 함께 제고해 나가고 있다. ▲1만 8천여 명 참여한 ‘재난안전 인식도 진단’올해 처음 실시된 ‘재난안전 인식도 진단’에는 상반기 동안 시민과 관광객 1만 8천여 명이 참여했다. 진단은 자연재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