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의 2020년도 세출 총계는 3조1971억원으로 2019년도 2조7483억원에 비해 1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인시는 지난 1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결산기준 지방재정 현황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했다. 시는 지방재정법에 따라 시의 1년 살림 내용을 시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매년 두 차례 시 홈페이지를 통해 재정 운용 현황을 공시하고 있다. 세출 중 가장 큰 금액이 투입된 것은 사회복지 분야로 2019년 7765억원에서 9201억원으로 1436억원 가까이 증가했다. 다음은 공공질서·안전 분야로 2019년 150억원보다 4436억원이 늘어난 4586억원으로 나타났다. 세출은 지방 자치 단체의 한 회계 연도 내 모든 지출을 의미한다. 특히 공공질서 안전 분야는 2019년 전체 세출에서 0.66%의 비중을 보였으나 2020년에는 전체 세출 중 차지하는 비중이 16.93%로 대폭 늘어났다. 이는 코로나19 방역과 긴급재난지원금, 수해 복구 비용 등 예상치 못한 재난재해 관련 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세입은 일반회계가 3조961억원, 공기업 특별회계가 3431억원, 기타 특별회계1305억원, 기금1614억원 등 3조7311억원으로 나타났
의정부시(시장 안병용)는 코로나19에 대응하고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편성한 1조 5천913억 원의 2차 추가경정예산이 8월 30일 제307회 의정부시의회 임시회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시가 당초 편성한 1조 3천519억 원보다 2천394억 원 증액된 것으로 정부 정책과 연계한 전 시민 상생국민지원금 지급과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한 지역경제 회복 등에 중점을 뒀다. 주요 증액사업으로 경전철 소송 종결에 따른 해지 시 지급금 439억 원, 전 시민 상생국민지원금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재난예비비 160억 원, 의정부예술의전당 리모델링 25억 원, 민락 국민체육센터 건립 25억 원, 코로나19 대응 학교 정보화기자재 보급 10억 원,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이전 매입비 10억 원 등이다. 또한 각종 재난으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제설장비 등 구입예산과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한 도로 개설 및 정비사업 등의 예산이 늘었다. 안병용 의정부시장은 “이번 추경예산안 심의에 애써주신 의정부시의회 오범구 의장님과 모든 의원님들께 감사드린다”며, “확정된 예산을 신속하게 집행해서 코로나19로부터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지역경제가 회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
경상남도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상생과 피해 회복 지원을 위해 9,172억 원 규모의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총 예산규모는 제1회 추경보다 8% 증가한 12조 3,284억 원이다. 이번 추경은 국비 7,819억 원과 지방교부세 959억 원, 순세계잉여금 306억 원 등의 재원으로 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 및 복지취약계층 지원, 도민건강 및 보건안전 강화, 소상공인ㆍ중소기업 및 고용취약계층 지원 등 분야별 맞춤형 지원 예산을 편성하였다. 2021년 제2회 추경예산안의 주요 편성내역은 다음과 같다. ▲ 코로나19 도민생활안정 지원 7,505억 원코로나 상생국민지원금 6,695억 원, 저소득층 추가 국민지원금 197억 원,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감소 가구에 한시생계비 지원 311억 원, 일시적 위기가정 긴급복지 지원 128억 원, 격리‧입원자 생활지원비 174억 원을 편성하여 도민생활 안정을 지원한다. ▲ 소상공인ㆍ중소기업 및 고용취약업계 경제위기 대응 379억 원방역조치 장기화로 피해를 본 소기업ㆍ소상공인에 대한 공제 가입 지원 23억 원,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을 위한 경남신용보증재단 출연금 18억 원, 소상공인 정책자금 이차
경남도는 8월 31일 국무회의를 거쳐 정부안에 반영된 도의 내년도 국비 반영액은 6조 9,647억 원으로 지난해 확보한 금액보다 4,010억 원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2년 정부예산안에는 ‘한-아세안 국가정원 조성’, ‘ICT융합 제조운영체제개발 및 실증사업’, ‘마산자유무역지역 폐공장 철거’ 등 연초부터 많은 공을 들여온 주요 현안사업은 물론 ‘동북아 스마트 물류플랫폼 구축 용역’, ‘해양쓰레기처리 수소선박 개발실증’ 등 부울경 메가시티 관련사업이 다수 반영되었다. 한-아세안 국가정원 조성사업은 2019년 11월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공동의장 성명으로 채택된 사업으로, 기재부 주관 예산협의회, 기재부 방문 등 여러 차례에 걸쳐 필요성을 설명하고 건의한 결과 기본구상용역비 5억 원이 반영되어 사업추진의 물꼬를 트게 되었다. 부울경 메가시티 핵심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 물류플랫폼 구축 용역은 항만-공항-철도(트라이포트)와 연계한 복합물류 인프라 구축, 배후권역 개발을 위해서는 지역단위의 계획만으로는 추진이 어렵고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단계별 이행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도의 의견을 끊임없이 건의한 결과 국비 10억 원이 이번 정부예산안에 반영되었다.
성남시(시장 은수미)의 지난해 살림살이 규모는 역대 최고 수준인 5조276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8월 31일 이런 내용의 ‘2020 회계연도 결산기준 재정 운용 결과’를 성남시 홈페이지에 공시했다. 공시내용을 보면 성남시의 지난해 재정 규모 5조276억원은 전년(4조2708억원)보다 7568억원(17.7%)이 늘었다. 삼평동 641번지 매각, 코로나19 관련 국도비 보조금 등의 증가 영향이다. 인구·재정 규모가 비슷한 화성·수원·고양·용인·부천 등 16곳 다른 지자체(이하 유사자치단체)의 재정 규모 평균이 3조5904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40%(1조4372억원) 큰 규모다. 성남시 전체 재정 규모 중에서 지방세, 세외수입 등 자체 수입이 차지하는 비율은 32%인 1조6166억원이다. 유사자치단체의 자체 수입 평균 9887억원 보다 6279억원(63.5%) 많았다. 국·도비 보조금, 지방교부세, 조정교부금 등 상급기관 이전재원은 1조3445억원으로 유사자치단체 평균 1조5059억원보다 1614억원(11%) 적었다. 채무는 1600억원으로 유사자치단체 평균 1009억원보다 591억원(59%) 많았다. 공원일몰제에 대비해 장기 미집행 공원 부지 매입을 위한
경상남도는 9월 8일 9시 150억 원 발행을 시작으로 하반기에 경남사랑상품권을 500억 원 이상 발행한다고 밝혔다. 9월 1차 판매는 8일 9시에 150억 원 규모‧10% 할인으로 진행되고, 추석맞이 이벤트로 추가 발행되는 2차 판매는 15일 9시에 50억 원 규모‧3% 할인으로 진행된다. 9월 이후 판매는 11월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과 12월 둘째 주 경 진행될 예정이다.* 코리아세일페스타 : 2021. 11. 1. ~ 11. 15. 이번 하반기 발행계획에는 발행정책 정비를 위해 7·8월 발행을 연기하고 진행한 경남사랑상품권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최대한 많은 도민에게 상품권 사용경험과 혜택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경된 다양한 사항들이 적용되었다. 총 5,553명이 참여하여 경남사랑상품권에 대한 도민의 높은 관심이 재확인된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예산한도 내에서 최대한 발행량을 확대하여 할인구매 기회를 널리 제공하기를 원했으며, 응답자의 88.7%가 경남사랑상품권 사용으로 인한 소비 증가 여부에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따라서 도는 하반기 추가 확보한 국비 16억 원을 활용하여 추석과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소비 진작이 필요한 기간에 10% 특별
경상남도가 8월 30일부터 정부5차재난지원금인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2차 신속지급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2차 신속지급은 2021년 3월 이후 개업, 다수사업체, 1차 신속지급 미지급 대상자 등에게 30일부터 지급되며, 당일 오전 8시부터 안내문자가 발송되고 같은 시간부터 접수가 시작된다. 지원금 신청은 온라인 누리집(홈페이지) ‘희망회복자금.kr’에서 가능하며 신청인은 본인인증을 위해 본인 명의 휴대폰 또는 공동인증서를 준비해야 한다. 1‧2차 신속지급으로 안내 문자를 받지 못한 소상공인은 9월 말에 확인지급으로 신청할 수 있다. 신청방법은 온라인 또는 소상공인진흥공단 경남지역센터에서 방문해서 신청하면 된다. 한편 17일부터 지급된 희망회복자금 1차 신속지급으로 소기업‧소상공인 8만4천 명에게 40만 원에서 최대 4,000만 원까지 정부에서 직접 지원했다. 김현미 소상공인정책과장은 “희망회복자금 1차 신속지급이 시작되고 신청인의 99% 이상이 지원금을 받았다”며, “2차 신속지급 역시 보다 많은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하고, 코로나19 위기 소상공인들에게 어려움을 극복하는 희망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경기경제자유구역청, 평택시, 경기주택도시공사(GH), 평택도시공사가 ‘경기경제자유구역’ 평택 포승(BIX)지구와 현덕지구 활성화 및 평택시 발전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경기경제자유구역청과 이들 기관은 26일 영상회의를 통해 ‘제1회 평택 포승(BIX)지구·현덕지구 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이 자리에는 김규식 경기경제자유구역청 사업총괄본부장, 박홍구 평택시 기획항만경제실장, 곽현성 경기주택도시공사 전략사업본부장, 고기훈 평택도시공사 사업기획처장 등이 참석했다.먼저 이날 발전협의회에서는 평택시에서 추진하는 자동차클러스터 조성사업·평택항 탄소중립 수소복합지구 조성사업과 연계된 현덕지구 수소도시 모델화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해당 사업들은 경기경제자유구역청에서 추진하는 평택 포승(BIX)지구 친환경 모빌리티 혁신생태계 기반조성 사업, 현덕지구 개발사업 등과 연계돼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업이다.아울러 평택 포승(BIX)지구에 계획 중인 ‘경기도형 공공임대 산업단지’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한 협업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도형 공공임대 산업단지는 공공임대주택처럼 영세기업·중소기업이 저렴한 가격에 산업단지에 입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경기도에서 시범 추진 중이다.이
파주시가 2021년 두 번째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총 2조 1,384억원 규모로 제1회 추경예산 대비 3,090억원, 약 17%가 증가했다. 일반회계 1조 7,073억원(2,154억원 증), 특별회계 4,311억원(936억원 증)으로 2020회계연도 결산에 따른 순세계잉여금 및 국·도비로 필요 재원을 마련했다. 먼저 정부 상생국민지원금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시민들에게도 동일하게 지원금을 지급하기 위한 시비 대응분을 포함한 ▲코로나19 상생국민지원금 1,061억원 ▲저소득층 한시생활지원 등 생활지원비 사업 79억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38억원 ▲코로나19 지속으로 위기에 빠진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일자리 사업, 소득안정자금 지원 등 53억원 ▲마을버스 준공영제 7억원 ▲백신 예방접종센터 운영 등 19억원을 편성했다. 두 번째, 주민들의 생활 편익증대를 위해 ▲월롱역 환승주차장 조성 46억원 ▲조리 봉일천 공영주차장 24억원 ▲금촌 민·군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 20억원 ▲파주놀이구름 외부공간 정비 18억원 ▲LPG소형저장탱크보급 사업 10억원 ▲운정 소리천 수변생태공원 조성 64억원 ▲어울림터 공원조성 25억원을 편성했다. 세 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