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행자부 “10월 주민등록 인구수 5168만명…최다 출생지는 경기 수원”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시스템으로 집계한 2008년부터 2016년 10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출생신고가 가장 많은 지역은 10만여 명을 기록한 경기 수원, 사망신고가 가장 많은 지역은 4만여 명을 기록한 경남 창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올해 10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는 51,677,054명으로 2015년말에 비해 147,716명(0.29%) 늘어났고, 지난 9월에 비해 12,810명(0.02%)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남자는 25,820,488명이고 여자는 25,856,566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36,078명이 더 많다.


지난달과 비교할 때 경기(17,452명), 세종(2,399명), 충남(1,795명), 인천(1,357명) 등 9개 시도의 인구는 늘어난 반면,


서울(△9,500명), 부산(△2,032명), 전북(△686명), 경북(△488명), 광주(△468명) 등 8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참고로 금년 1월부터 10월까지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시도는 경기(월평균 16,362명), 세종(2,568명), 인천(1,622명), 제주(1,539명), 충남(1,450명) 등 5개 지역이며,


같은 기간 서울(월평균 △7,083명), 부산(△1,064명), 전남(△542명) 3개 지역은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기초단체 중 성남시는 등록외국인*(17,686명)을 포함하면 10월말 994,942명으로 총인구수가 100만에 육박하였다. *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통계월보(9월) 참고


’16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전국의 출생신고는 349,558명, 사망신고는 231,203명으로 자연적 인구 변동은 118,355명 증가하였다.


※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 : 출생·사망(자연적인구 증감), 신규등록(국적취득), 재등록, 말소, 국적상실 등의 사유가 존재하여 우리나라 총인구수에 변동 발생


서울 인구*는 ’08년부터 10년까지 증가하다 11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총인구수는 237,919명 감소하였으나, 출생자수와 사망자수의 차인 자연적 인구변동은 427,581명** 증가하였다.


* 10,192,710명(’07년말) → 10,312,545명(’10년) → 10,103,233명(’14년) → 9,954,791명(’16.10)


** 자연적순증 누적값 : 57,721명(’08년) → 164,064명(’10년) → 357,309명(’14년) → 427,581명(’16.10)


경기 인구*는 같은 기간 꾸준히 증가하여 총인구수는 1,577,519명 증가 하였고, 자연적 인구변동도 602,972명** 증가하였는데, 이는 자연적 인구증가 보다 타지역에서 전입에 따른 인구 증가로 볼 수 있다.


* 11,106,211명(’07년말) → 11,786,622명(’10년) → 12,357,830명(’14년) → 12,683,730명(’16.10)


** 자연적순증 누적값 : 76,140명(’08년) → 219,129명(’10년) → 495,190명(’14년) → 602,972명(’16.10)


’08년부터 ’16년 10월말까지 시·군·구의 출생신고는 경기 수원(102,240명), 경남 창원(92,270명), 경기 용인(83,641명), 성남(81,618명) 등 5만명 이상 증가한 13개 지역을 포함하여 226개 전체 지역에서 증가하였다.


한 달 평균 출생신고 20건 미만*인 시·군·구 지역은 28개로 경북 7개(울릉, 영양, 군위, 청송, 청도, 영덕, 봉화), 강원 4개(양양, 고성, 영월, 양구), 경남 4개(의령, 남해, 산청, 함양), 전북 4개(장수, 무주, 순창, 임실), 전남 4개(구례, 곡성, 진도, 장흥), 충북 3개(괴산, 단양, 보은), 인천(옹진)·충남(청양)이다.


* 한 달 20건 * (12개월 * 8년 + 10) = 2,120건 미만인 지역


같은 기간 사망신고는 경남 창원(43,380명), 경기 수원(36,320명), 경기 고양(34,812명), 충북 청주(33,919명), 경기 성남(33,298명) 순으로 14개 지역에서 ’15년말 읍 지역의 평균인구(21,255명) 보다 많았다.


한 달 평균 10건 미만 사망신고를 한 지역은 경북 울릉이 유일했고, 20건 미만 신고 지역은 충남 계룡, 인천 옹진, 강원 양구, 강원 화천, 충북 증평 5개 지역이었다.


같은 기간에 시·군·구별 자연적 인구 변동은 경기 수원(65,920명), 경기 용인(56,007명), 경남 창원(48,890명), 경기 성남(48,320명), 경기 화성(47,479명) 등 지역에서 15년말 동(洞)지역의 평균인구(20,081명) 보다 많은 38개를 포함하여 137개 지역(전체 시군구 226개의 60.6%)이 증가한 반면,


전남 고흥(△6,219명), 경북 의성(△4,898명), 경북 상주(△4,480명), 경남 남해(△4,238명), 충남 부여(△4,125명) 등 89개(39.4%) 지역은 감소하였다.


한편 ’16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읍·면·동 지역의 출생신고 수는 부산 기장 정관읍(1,188명), 경기 광주 오포읍(1,066명), 충북 청주 오창읍(962명), 순으로 3,480개(전체 읍면동 3,496개의 99.5%) 증가하였으나,


16개(0.5%) 읍·면·동은 ’16년에 출생신고 수가 한 건도 없었다.


※ 강원 4개(강릉 왕산면, 삼척 노곡면·신기면, 철원 근북면), 경기 2개(파주 군내면·진동면), 충북 2개(단양 단성면·적성면), 전남 2개(장흥 유치면, 화순 청풍면), 경북 2개(영주 평은면, 포항 기북면), 경남 2개(거제 남부면, 함안 여항면), 충남(청양 비봉면), 전북(남원 덕과면)이 각각 1개 지역이다.


같은 기간에 읍·면·동 지역의 사망신고 수는 경기 남양주 화도읍(404명), 부산 기장군 기장읍(332명), 경기 남양주 진접읍(308명), 경남 창원 내서읍(265명), 대구 동구 안심1동(261명) 순이다.

31개 지역의 읍·면·동은 ’16년 1월부터 10월말까지 사망신고 수가 10건 미만 이였는데, 경기 7개, 강원 6개, 경북·전남 3개, 서울·경남·인천·전북·충북 2개, 부산·충남 1개 지역이다.


같은 기간에 읍·면·동 지역의 자연적 인구 변동은 부산 기장 정관읍(1,012명), 경기 화성 동탄4동(861명), 세종 아름동(832명), 경기 광주 오포읍(806명) 등 1,686개 지역(전체 읍면동 3,496개의 48.2%)이 증가한 반면,


경북 경주 안강읍(-123명), 부산 해운대 반송제1동(-105명), 전남 보성 벌교읍(-102명), 충남 홍성 광천읍(-99명), 전남 고흥 도양읍(-96명) 등 1,792개(51.3%) 지역은 감소하였다.


서울 강북 수유제2동, 강서 방화제2동, 송파 가락1동 등 18개(0.51%) 지역은 인구변동이 없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멈추지 않는 배움의 도시’… 양평군, 학습 생태계 완성하며 전국 선도
양평군이 민선8기 들어 ‘배움이 일상인 도시’를 향한 구체적인 길을 닦아가고 있다.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장애인 학습도시 선정, 경기도 평생학습 기회특구 사업 유치 등 연이은 성과는 교육·문화·복지가 연결된 지역 학습 생태계의 완성을 향한 여정에 힘을 실었다. 마을에서 학교, 도서관까지, 군민 누구나 참여하고 성장할 수 있는 촘촘한 학습 기반은 이제 양평을 넘어 전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같은 성과의 출발점은 최근 재지정된 ‘평생학습도시’에서 찾을 수 있다. 양평군은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한 ‘2025년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평가’에서 2014년 첫 지정 이후 3회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번 평가는 전국 46개 군 단위를 대상으로 추진체계, 사업 운영, 성과 등을 종합 심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양평군은 중장기 발전계획에 군민 의견을 반영하고, 연간 운영계획과 연계한 사업 추진, 국·도비 공모사업 유치와 군비 확보를 통한 재정 안정성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평생학습동아리 지원’, ‘찾아가는 배달강좌’, ‘우리동네 학습여행’처럼 마을 단위에서 시작해 군 전체로 확산되는 주민 주도형 프로그램이 우수사례로 꼽혔다. 장애인 평생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함평군, 전남 무궁화 우수분화 품평회서 단체 대상 등 잇단 수상 ‘쾌거’
전남 함평군이 ‘2025년 전라남도 무궁화 우수분화 품평회’에서 단체 대상 및 개인 최우수상, 우수상을 받으며 명품 무궁화 도시로서의 위상을 입증했다. 함평군은 지난 7일 장성 무궁화동산에서 개최된 전라남도 무궁화 품평회에 단체 36점, 개인 13점 등 총 49점을 출품해 단체 대상과 개인 부문 최우수상, 우수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품평회는 전남도가 주최하고, 도내 각 시군이 참여한 가운데 무궁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지역별 출품작 간 경쟁이 치열했던 만큼 함평군의 수상은 더욱 의미가 깊다는 평가다. 이상익 함평군수는 “이번 수상은 무궁화를 소중히 아끼고 가꿔온 군민들의 애정과 노력 덕분”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제4회 함평군 무궁화 전시회’에도 많은 관심과 방문을 바란다”고 전했다. ‘제4회 함평군 무궁화 전시회’는 오는 16일까지 함평엑스포공원 내 추억공작소 앞에서 열리며, 다양한 품종의 무궁화가 전시돼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8월 7일 장성 무궁화동산에서 열린 전라남도 무궁화 품평회 - 함평군 대상 수상 단체사진 (왼쪽에서 5번째, 김택곤 함평군 산림공원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