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부천·성남·수원에 6년간 9,600억 투입 도시재생사업 추진

경기도 3개시, 국토교통부‘16년 도시재생 공모사업에 4개소 선정


경기도 부천시 등 도내 4개 지역이 2016년도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경기도는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 일대 ‘부천 허브렉스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 ▲수원시 행궁동 ‘수원 화성 르네상스’ ▲성남시 태평동 ‘태평성대 도시재생’, ▲부천시 ‘성주산 행복한 마을’ 등 3개 지역에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간 9,676억(국비 430억 확보)을 투입해 도시재생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쇠퇴 여건 및 활성화계획에 따라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으로 구분된다.

경제기반형은 노후 산업단지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핵심시설․중추시설 주변에 재생역량을 집중해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력을 도모하는 재생방법이다. 

근린재생형은 주민에게 생활환경 개선 및 기초 생활인프라 확충 ․ 공동체 활성화, 골목경제 살리기 등 주민 밀접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경제기반형으로 선정된 ‘부천시 허브렉스’는 부천 동부 지역 중 뉴타운 해제로 기반시설 정비대책이 시급한 춘의동 일대를 중심으로 창조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R&D 종합센터 설치 등 9개 사업이 포함된 마중물 사업에 500억 원, ▲뫼비우스 광장 조성 등 7개 자체사업에 470억 원, ▲민간투자 2개 사업(6,000억원) 등 총 8,32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성남시 태평동 등 3개 근린재생형은 ▲성남(593억원)의 순환형 주택 개보수 사업, ▲수원(557억원)의 행궁체험 골목길 조성사업, ▲부천(198억원)의 지역 맞춤형 복지센터 등 지역 생활단위 재생인프라 구축을 주축으로 모두 1,348억 원이 소요된다. 

이번 도시재생사업은 향후 추진될 경기도 도시재생센터와 더불어 주민, 지자체, 민간을 아우르는 협의체를 구축해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경기도는 도시재생위원회를 통해 선정사업이 해당 지역의 전략계획과의 부합 여부 등 관련 법적 절차를 이행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경기도 도시재생사업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용역’을 통해 경기도형 도시재생사업 방안을 마련하고 경기도 여건에 맞는 도시재생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이동환 고양시장, ‘중부대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 참석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지난 29일 중부대학교에서 개최된 ‘중부대학교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에 참석해 대학지원체계 협력을 본격화했다. 이번 발대식은 경기도 공모사업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중부대학교가 최종 선정된 것을 기념하고, 고양시와 대학, 산업체, 지역기관이 함께 교육혁신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부대학교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기도로부터 매년 20억 원씩 5년간 100억 원을 지원받고 시에서도 행·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이를 기반으로 중부대학교는 고양시, 산업계와 협력해 실무형 인재 양성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중부대 라이즈 사업을 통해 ▲첨단 미디어콘텐츠·AI 기반 창의융합 인재 양성 ▲전공 연계 창업 지원 ▲지역 현안 해결형 협력 프로젝트 ▲평생교육 및 교육연계 모델 개발 등을 대학과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중부대 라이즈 사업은 고양시 미래 전략 산업과 직결돼 있으며, 대학과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산학협력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고양시는 다른 대학과도 긴밀히 협력해 학생부터 청년, 중장년까지 모든 세대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교육·산업 혁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