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울산시, 야간에도 즐기는 문화행사 마련

11월 23일~30일 중구 문화의 전당 야외광장 매체예술 전시
11월 30일 오후 7시 중구 문화의 전당 전통 음악 공연‘장날’개최


울산시는 11월 23일부터 30일까지 울산 중구 문화의 전당에서 시민들이 야간에도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매체예술(미디어아트) 전시와 전통음악 공연 ‘장날’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울산시가 주최하고 지역문화진흥원과 울산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하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됐으며, 시민들에게 문화예술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혁신도시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매체예술(미디어아트) 전시는 11월 23일부터 30일까지 중구 문화의전당 야외광장에서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운영된다.
인상파 화가들의 명화를 비롯해 울산을 대표하는 태화강국가정원과 같은 주요 이미지들을 담은 영상들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별도의 예매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이와 함께 11월 30일 오후 7시, 중구 문화의 전당 함월홀에서는 전통음악 공연 ‘장날’이 열린다. 
이번 공연은 혁신도시와 전통의 만남을 주제로 전통음악의 힘찬 에너지와 아름다운 선율을 시민들에게 선사할 예정이다.
공연에는 국내외적으로 유명한 전통 예술가와 지역 예술단체가 참여한다. 
먼저 김덕수패 사물놀이가 역동적인 타악 공연을 선보이며 관객들의 흥을 돋우고, 국악타악그룹 버슴새는 다양한 국악 리듬을 활용한 창의적인 무대를 펼친다.
이어 태화루예술단은 울산 지역의 전통을 담은 공연으로 관객들에게 울산시민으로서의 자부심을 느끼게 하며, 김미경 판소리연구소는 깊이 있는 판소리 공연으로 감동을 선사한다. 
끝으로 울빛시니어합창단은 감미로운 합창곡으로 공연의 다채로움을 더할 계획이다.
이번 공연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멜론티켓 누리집(ticket.melon.com)에서 예약 가능하다.
울산시 관계자는 “매체예술(미디어아트) 전시와 전통음악 공연을 통해 시민들이 울산의 문화적 매력을 새롭게 느끼고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사회의 활력을 불어넣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울산시 누리집(www.ulsan.go.kr)과 울산문화관광재단 누리집(www.uacf.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문화예술과(052-229-3726) 또는 예술지원팀(052-255-1913)으로 하면 된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