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온도 차를 이용한 방식으로 댐용수를 활용한 신산업 창출 효과 기대
냉방과 난방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주목
K-water(사장 최계운)는 2016. 4. 26(화) 14시 30분, 강원대학교(강원도 춘천)에서 물과 대기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냉·난방에 활용하는「수열에너지 활성화 방안 대토론회」를 개최한다.
수열(水熱)에너지는 ▲여름철 대기 온도보다 낮은 물의 온도를 냉방에 활용하고 ▲겨울에는 대기 온도보다 높은 물의 온도를 난방에 활용하여▲화석연료를 사용할 때보다 약 20~50%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댐과 하천, 호수 등 다양한 용수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산업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
K-water가 관리하는 소양강댐의 물(연평균수온 7~8℃)을 춘천시의 냉·난방에 활용하면
여름철 냉방용 전력 에너지 절약은 물론,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고 냉방기기 사용으로 인한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 할 수 있으며,
겨울에는 IT기업의 IDC(인터넷데이터센터)* 설비 등의 열을 식힌 후에 배출되는 뜨거운 물을 가정에 공급하여 급탕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IDC (Internet Data Center)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서버 등 네트워크 장비를 한곳에 모아 관리하는 시설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며 항시 열이 발생하여 냉각 설비가 반드시 필요
이번 토론회는 K-water의 수자원과 춘천시의 지리적 여건을 활용한 IDC 단지 조성과 이를 통한 수열에너지의 활성화를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모였으며
수열에너지 현황과 활성화 방안’, ’수열에너지 적용사례 및 효과분석‘, ’IDC의 세계적 추세 및 수열에너지 적용방안‘ 등 에너지 분야 전문가주제발표에 이어,
공공기관, 학계, 언론, 연구기관 등 이해당사자들의 종합토론 순서로 진행된다.
K-water는 2006년 주암댐 관리사무소를 시작으로, 전국 12개 사업장에서 수열에너지를 활용하여 623RT(약 2,180kW, 연간 567MWh 절감, 133가구분)을 운영 중이며, 지난 2014년 제2롯데월드에도 수열에너지를 개발하여 현재는 전체 냉난방 부하의 10%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올해 개발예정인 강원도 횡성군의 송전정수장 등에도 수열에너지를 적용하여 지속적인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에 노력할 계획이다.
최계운 K-water 사장은 “앞으로 춘천이 소양강댐의 수열에너지 및 수도권과의 높은 접근성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친환경 IDC 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며, K-water는 수열에너지를 비롯한 물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토론회 개최계획
수열에너지 활성화 방안 대토론회 개최(안)
풍부한 수자원을 가진 춘천시의 지리적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세계적 IDC IDC(Internet Data Center) : 빅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통하는 핵심 인프라
단지 조성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의 차세대 주자(수열에너지) 활성화 도모
수열에너지의 신재생에너지化로 신사업 창출
춘천시 IDC메카 조성 통한 수열에너지 활성화 붐업 마련
개최 배경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신 기후체제 합의문 “파리 협정(Paris Agreement)” 채택(’15.12) 및 발효 예정(’16. 05)
온실가스 감축 목표 ‘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
소양강댐의 29억톤 “물”그 동안 용수공급과 수력발전 위주로 활용 했으나, 新 기후체제 출범 이후 수자원의 스마트한 활용(수열-냉난방, 수면-수상태양광)이 절대적인 시점
춘천은 IDC의 적지(평균기온, 황사, 지진 등)로 많은 IDC기업 춘천유치 타진 중, 높은 신뢰성(2중화) 요구에 꼭 필요한 전력(수상태양광) 및 냉방(수열)을 소양강댐 수자원을 활용해 기초 인프라가 구축 된 단지조성으로 연관 기업유치 및 지역 경제발전 견인
2 토론회 개요
(주제발표) 수열에너지 활성화, IDC현황 및 수열적용 주제발표 (3개, 30분)
(종합토론) 각계 전문가 참여, 심층토론 (40분)
일 시 : 2016. 4. 26(화) 14:30~16:30
장 소 : 강원대학교 60주년기념관(1층 국제회의실)
주 최 : 강원도, 강원대학교,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참석자 : 최문순 도지사, 박상덕 산업부(에너지MD), 김진태 국회의원,
최계운 K-water사장, 관련기업체 등 약 2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