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획이슈

산림청, 세계산림총회(WFC) 유치 위해 본격 홍보 나서

필리핀 클락서 열리는 ‘아·태지역 산림위원회’ 참가해 지지 호소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22일부터 26일까지 필리핀 클락에서 개최되는 ‘제26차 유엔식량농업기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산림위원회’에 참석해 제15차 세계산림총회 유치를 위해 각국 대표단을 만나 한국의 유치 의지를 설명하고 지지를 당부하는 등 홍보활동을 펼친다.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산림위원회(Asia-Pacific Forestry Commission : APFC):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주요 산림 이슈에 대한 자문과 이행을 담당하는 포럼으로 산림 정책 입안, 지역 단위에서의 정책 이행 검토와 조정, 정보 교환 등을 논의한다.
 
산림분야 올림픽으로 통하는 ‘세계산림총회(World Forestry Congress : WFC)’는 산림 지식·경험 공유, 산림 보존·관리 및 사회·경제 제도적 문제에 관해 논의하는 최대 규모의 산림 분야 국제회의로, 6년마다 대륙별로 개최된다.
 
산림청은 홍보활동 일환으로 24일 뉴질랜드·호주 등 아시아 지역 30여 개국 대표단을 대상으로 차기 산림총회가 아시아 지역에서 개최될 차례임을 알리고, 산림을 성공적으로 복원한 경험이 있는 한국이 아시아 지역 대표로서 차기 산림총회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지를 호소할 계획이다.
 
산림청 김용관 해외자원협력관은 “이번 아·태지역 산림위원회를 시작으로 제15차 산림총회 유치에 대한 한국의 의지와 유치 당위성을 전 세계에 적극적으로 알려 산림총회 유치에 성공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은 이번 회의에서 ▲산림경관복원 고위급 회담 ▲아·태지역 산림 투자 등 주요 주제회의에 참석해 한국의 산림 관리 경험과 아·태지역 산림 복원 활성화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파리협정이 산림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제6차 세계산불총회 결과물인 평창 선언을 공유하는 등 관련 의제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 파리협정(Paris Agreement):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15.12월, 파리)에서 채택되었으며 기온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등의 노력을 공동 목표로 삼음.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지운 ’97 교토의정서와는 달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책임을 분담했다.
    
* 평창 선언(Pyeongchang Declaration): 제6차 세계산불총회(’15.10월, 평창)에서 채택되었으며 산불 관리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함. 선언문에는 전 지구적 차원의 산불관리를 위해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과 국제적 지원 등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있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직원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 반영
서울교통공사가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반영해 직원들의 정치 참여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해명과 후속 조치로, 공사는 내부적으로 개정된 법령을 정확히 안내하고 재발 방지에 나섰다.공사 감사실은 지난 5월 8일,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무 기강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공문을 사내에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공문이 올해 1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이전 법령을 기준으로 작성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직원을 선거운동 금지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지방공기업 직원의 정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해당 직원들의 기본적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된 개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언론 일부는 서울교통공사가 법 개정 사실을 무시한 채 직원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설명자료를 통해 당시 공문이 개정 이전의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인정하며, 이후 전 직원에게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핵심 내용을 별도로 안내하는 공문을 추가로 시행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