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시 119구조대, 4분마다 출동 26분마다 인명 구조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2015년 119구조대 활동 내역」 17일(수) 발표

서울시 119구조대는 2015년 한 해 동안 총 12만7,481번 출동해 1만9,912명의 인명을 구조했다. 이는 4분마다 출동해 26분마다 1명을 구조, 하루 평균 349건을 출동해 55명씩 구조한 셈이다.
  
출동건수는 전년(13만1,257건)보다 3,776건(2.9%) 감소했고, 구조 인원은 전년(2만1,593명)보다 1,681명(7.8%) 감소했다.

'위치추적'으로 인한 출동(2만8,025건)이 전체 출동의 1/5을 차지해 가장 많았다. 구조된 시민 유형의 절반 가까이는 '승강기(28.5%)'와 '잠긴 문(27.9%)' 때문에 갇혀 있다가 구조된 경우였다.

주요 13개 재난사고 유형을 작년과 비교해보면 자연재해가 178.0% 증가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붕괴사고(7.1%)와 기타출동(5.0%)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11년 이후 인적사고가 증가하고, 폭우․폭설․한파 등 자연재해로 인명피해와 생활안전사고 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회 전반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시민생활 안전사고 출동건수는 ′14년 47,729건→′15년 70,137건으로 46.9%가 증가했고, 도심 멧돼지 출현조치 96.8%․벌떼 출현조치 35%가 증가했는데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생태계 교란 등이 원인으로 보여진다. 

한강 자살시도자 구조인원은 ′14년 396건→′15년 543건으로  37.1%가 증가했으나, ‘CCTV 영상감시 관제출동시스템 사업 확대’, ‘생명의 전화 사업’ 및 ‘수난구조대 확대’ 등 선제적 대응을 통해 투신 전 교량 위 구조인원과 수중 구조인원은 증가했으며 생존자 구조율은 소폭 감소했다.
  
투신 전 구조인원은 ′14년 252건→′15년 377건(49.6%), 수중 구조인원은 ′14년 144건→′15년 166건(15.3%)으로 증가했으며 투신자의 목숨을 구한 생존자 구조율은 95%였다.(′14년 97.2%)
  
작년 한해 투신자 구조인원이 가장 많았던 곳은 마포대교(33.6%)였으며, 다음으로 한강대교(8.7%), 양화교(4.9%), 잠실교(4.7%)의 순이었다.

장애인 안전사고는 '14년 283건→'15년 243건으로 14.1% 감소했고, 어린이 안전사고 역시 '14년 2,195건→'15년 1,154건으로  47.4% 줄어, ‘장애인 재난위기관리매뉴얼 제작 및 픽토그램활용가이드 개발․보급’, ‘소방안전지도상 장애인 거주지 표시’, ‘시각장애인 재난대응 매뉴얼 및 장애인 안전벨 음원개발’ 등 재난 약자에 대한 보호정책과 계층별(노인복지시설, 아동장애복지시설 관계인 및 학부모 등) 소방안전교육 강화 등 일련의 노력이 일정부분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분석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15년 119구조대 활동 내역」을 발표, 출동건수 및 구조인원을 ▴원인별 ▴장소별 ▴자치구별 ▴월별 ▴시간대별 ▴요일별로 분석해 소개했다.

  화재' 출동 20.9%로 최다, 구조인원 56.4% 승강기·잠긴 문에 갇혔다 구조

원인별 : ▴위치추적이 2만8,025건(22.0%)으로 가장 많았으며, ▴화재출동 2만6,604건(20.9%) ▴동물구조 2만3,889건(18.7%) ▴문잠김 해제 1만872건(8.5%) ▴승강기 갇힘 구조 5,309건(4.2%) ▴교통사고 5,017건(3.9%) 순이었다.
  
'산악사고'로 인한 출동은 총 1,475건으로 1.2%를 차지했는데,  ▴북한산 479건(32.5%) ▴도봉산 397건(26.9%) ▴수락산 308건(20.9%) ▴관악산 161건(10.9%) 4개 주요 산이 전체의 91.2%를 차지했다. 
  
아울러 토·일요일에 산악사고 출동건수는 813건으로 55.1%를 차지했다.

사고 원인별 구조인원을 보면, 구조인원이 가장 많은 사고는 '승강기 갇힘 5,674명(28.5%)이 구조됐다. 이어서, ▴문 잠김'으로 5,558명(27.9%) ▴교통사고 1,797명(9.02%) ▴산악사고 1,204명(6.05%) ▴화재 920명(4.62%) 순으로 나타났다.

 ▴아파트(장소별) ▴강남구(자치구별) ▴7월(월별) ▴토요일(요일별) 최다 출동

장소별 : 119구조대가 가장 많이 출동한 장소는 '아파트'로 1만 9,996건(15.7%)이었다. 이어서, ▴빌라 1만9,698건(15.5%) ▴주택 1만5,079건(11.8%) ▴빌딩 1만2,786건(10.0%) ▴도로 12,628건(9.9%) 순이었다.

자치구별 : 강남구 9,389건(7.4%), 서초구 7,485건(5.9%), 영등포구 6,613(5.2%), 노원구 6,322건(5.0%) 순으로 출동건수가 많았으며, 중구가 3,031건(2.4%)으로 가장 적었다.

월별 : ▴8월 1만4,342건(11.3%) ▴7월 1만3,157건(10.3%) ▴9월 1만2,909건(10.1%) 순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여름에 많이 출동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간대별 : ▴16시~18시 1만3,701건(10.75%) ▴18시~20시 1만3,673건(10.73%) ▴14시~16시 1만3,612건(10.68%)순으로, 상대적으로 오전보다 오후 시간대에 더 많이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 : ▴토요일 1만9,153건(15.02%) ▴금요일 1만8,356건(14.4%) ▴월요일 1만8,300건(14.36%) 순으로 출동건수가 많아 주중보다는 주말에 더 많이 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요일이 1만7,543건(13.76%)으로 가장 적었다. 

한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매년 늘어나는 생활안전 출동('14년 47,729건→'15년 70,173건, 47.0% 증가)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출동이 많은 소방서에 시범적으로 ‘시민생활 안전지원센터’를 운영 할 계획이며,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1급 인명구조사 양성’을 통해 구조대원의 역량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만큼 119구조대의 장비를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구조역량을 강화해 시민이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외에도 소방이 가진 역량을 집중해 사회적 약자의 안전을 빈틈없이 보호하고 골든타임 내 신속한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화성특례시, 제80주년 광복절 기념식 개최
화성특례시(시장 정명근)가 15일 화성시 독립운동기념관에서 ‘제80주년 광복절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을 비롯해 윤대성 광복회 화성시지회장, 배정수 화성시의회 의장, 독립유공자 유족, 유관·공공기관 관계자,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올해는 1945년 광복 이후 8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로, 화성 지역의 치열했던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를 조명하고자 건립된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에서 광복절 기념식을 개최해 그 의미를 더했다. 기념식에서는 ▲기념영상 상영 ▲독립운동가 후손 꽃다발 증정 ▲유공 표창 수여 ▲기념사·축사 ▲뮤지컬 갈라쇼 ‘광복을 노래하라’ ▲광복절 노래 제창 및 만세삼창 퍼포먼스 등이 진행됐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기념사를 통해 “선열들의 숭고한 희생과 투쟁의 역사를 잊지 않고 계승하는 것이 광복 80주년이 지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책무”라며 “‘국민이 주인인 나라, 국민주권 국가’라는 약속은 바로 이러한 역사적 진실 위에 세워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날 행사에서는 장편소설 ‘범도’의 저자인 방현석 작가와 함께하는 북토크 콘서트도 운영돼, 저자와 함께 일제강점기 조선인 청년의 삶과 시대적 갈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의향 전남의 자긍심, 남도의병역사박물관 공정률 85%
전라남도는 의향 전남의 랜드마크가 될 남도의병역사박물관 건립사업이 8월 현재 공정률 85%를 달성, 목표했던 오는 11월 준공, 2026년 3월 개관이 무난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유물 수집과 전시물 제작·설치도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으며, 조만간 의병박물관 개관준비단이 현장으로 사무실을 옮겨 공사 마무리와 본격적인 개관 준비에 돌입할 방침이다. 남도의병역사박물관은 20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구국운동에 앞장선 의병의 최대 산실로서 호남지역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도민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민선 7기 김영록 도지사의 역점사업으로 추진됐다. 2024년 3월 착공, 총사업비 422억 원을 들여 지상 1층, 지하 1층 규모로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무명의병 추모전시실, 어린이박물관, 카페테리아, 수장고 등을 갖추게 된다. 상설전시실에서는 임진왜란 전후 의병 활동부터 대한제국 전후 의병까지, 나라를 구하고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활동한 의병의 역사를 다양한 조형물과 디지털매체 등을 활용해 전시할 예정이다. 추모전시실은 평범한 민초였던 의병이 자발적으로 봉기해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채 사라지는 등의 희생을 기릴 수 있는 공간이다. 어린이박물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