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김포시, 갖춰진 긴급돌봄시스템으로 돌봄공백 메우고 성장으로 견인

24시간 돌봄 가능한 언제나 어린이집, 24시까지 보육 야간연장어린이집 운영
초등시설형 긴급돌봄, 시간 단위 이용 시간제보육 서비스제공기관도 갖춰
우리아이행복돌봄센터, 우수 프로그램으로 아이 만족과 학부모 인기 동시에

김포시가 긴급돌봄시스템 구축으로 돌봄공백에도 안심할 수 있는 ‘아이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

24시간 돌봄이 가능한 언제나 어린이집과 최대 24시까지 보육하는 야간연장 어린이집, 초등학생 대상으로 하는 초등시설형 긴급돌봄, 원하는 시간 단위로 이용 가능한 시간제보육 서비스제공기관 지정 운영, 질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우리아이행복돌봄센터 등 사각지대를 메우고 성장으로 이끄는 돌봄 정책이 빛을 발하고 있다. 

시는 현재 24시간 돌봄이 가능한 언제나어린이집을 지정 운영중이다. 생후 6개월부터 7세까지 언제든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언제나 어린이집’은 김병수 시장의 공약으로, 김포시의 인구 구성과 보육 환경을 감안해 시행하게 된 맞춤형 보육 프로그램이다. 김포시에는 현재 통진소재의 시립금빛하늘어린이집이 지정되어 있고 평일, 토·일요일 및 공휴일에도 예약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경기도내 김포시 포함 약 10개소가 지정 운영 중이다.

초등학생도 긴급 상황시 믿고 맡길 수 있는 긴급돌봄이 구축되어 있다. 이 사업은 2024년 7월1일부터 경기도 31개 시군 중 14개시·군만 선도적으로 시행한 사업으로, 보육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김포시의 적극적인 참여로 실시하게 됐다. 6세부터 12세 이하의 아동이 대상이며 평일야간과 주말 및 휴일 긴급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기관은 우리아이행복돌봄센터22개소, 지역아동센터 3개소이며, 아동돌봄김포거점센터에서 서비스제공기관과 아동을 연계해 돌봄을 제공 중이다. 서비스 신청 방법은 경기도아동언제나 돌봄(https://www.gg.go.kr/always360) 플랫폼, 중앙콜센터(010-9979-7722), 아동돌봄김포거점센터(070-8209-6474,070-4109-3533)에서 사전등록 후 이용가능하다. 

긴급시, 집에서 아이돌봄을 받는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3개월~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야간과 주말 등 긴급돌봄이 필요한 경우 제공하며, 서비스시작 4시간 전, 긴급돌봄은 30분 전까지만 신청하면 시간 제한 없이 가능하다.서비스 신청은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 홈페이지(https://idolbom.go.kr)또는 모바일앱(아이돌봄서비스)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최대 24시까지 운영하는 야간연장 어린이집 111개소도 지정 운영되고 있다. 야간연장 어린이집은 기본 및 연장 보육시간(07:30~19:30)을 경과하여 최대 24:00시까지 보육하는 어린이집이다. 특히 김포시에서 위탁관리하는 시립어린이집은 야간연장보육 지정이 의무화돼 한부모 및 맞벌이 가정을 위한 안전 보육망으로 보육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원하는 시간만큼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시간제보육 서비스제공기관도 지정 운영 중이다. 시간제보육 서비스의 이용대상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영아(0~2세)로, 가정양육 중 긴급·비상 상황 시 시간 단위로 지정된 어린이집에서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김포시에서는 민선8기 출범 후부터 시간제보육 서비스제공기관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등록 영유아반과 독립된 반에서 케어받는 독립반과, 등록 영유아와 함께 케어받는 통합반으로 구분되며 각각 3개반, 11개반으로 지정 운영되고 있다.(2022년 3개소4개반, 2023년 7개소9반, 2024년 12개소13반, 2025년 13개소14개반)

평일 방과 후 우수한 프로그램으로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우리아이행복돌봄센터도 22개소가 운영 중이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기본 돌봄서비스(아동보호, 간식 제공, 방학중 행복밥상 급식제공) ▲공통프로그램(신체활동, 숙제독서지도, 일상생활교육) ▲특별활동 프로그램(원어민 강사 영어프로그램, 예체능, 체험활동 등) ▲권역별 특화돌봄센터(3개소) 운영(과학, 외국어, 체육 특화프로그램)안심동행서비스(등·하교동행, 병원동행) ▲맞벌이 부모들을 위한 운영시간 연장(오후 8시)등이 특징이다. 

이밖에도 김포시는 올해 6월 경기도 최초로, 영유아의 발달상태 조기 진단부터 상담과 치료 연계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아이발달지원센터를 개소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이외에도 육아종합지원센터내에 영유아 발달단계에 맞춰 모션팡팡 실내운동, 홀로매직 XR체험 등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맘대로 A+(AI Play) 놀이터도 설치 운영 중에 있으며, 통진읍 북부보건센터 4층에 통진분소(공공실내놀이터 및 장난감도서관)도 설치해 올해 말 개소 및 일요일에도 이용이 가능하도록 확대할 계획이다.  

김병수 시장은 “김포시는 영유아기부터 발달에 관심을 기울이고 질높은 돌봄을 제공해 실질적인 양육부담을 덜어내는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미래세대 주역인 아이들과 부모님이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돌봄서비스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발달지원센터 개소에서 김병수 시장과 아이들

육아종합지원센터(풍무분소)아이사랑놀이터에서 김병수 시장과 아이들


우리아이행복돌봄센터에서 활동중인 아이들


학부모간담회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양평이 연 ‘행정 혁신 ’의 문... 디지털 플랫폼으로 달라진 주민 일상
양평군이 디지털 기술을 행정 전반에 적극 도입하며 스마트 행정 구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국 지자체 가운데 최초로 지방행정서비스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대민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으며 양평군은 스마트 지방행정을 선도하는 이정표 역할을 하고 있다. 양평군은 고령화의 심화와 넓은 면적 대비 부족한 교통 인프라로 인해 행정기관 접근성이 낮아 정보 격차와 행정 서비스 수혜 불균형 등의 문제가 발생해 왔다. 이에 양평군은 지역 실정에 맞춰 행정 서비스의 양적‧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전환(DX) 기반의 지방행정 플랫폼을 마련하여 스마트 디지털 행정의 전국적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군은 카카오톡 기반의 통합 행정 서비스 플랫폼 ‘스마트 양평톡톡’을 성공적으로 구축‧운영하며 지난해 ‘제29회 지방자치단체 정보통신 우수사례 대통령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로써 양평의 디지털 행정 정책이 대외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게 됐다. 민선 8기 출범과 동시에 전진선 양평군수는 공약사업 중 하나로 소통형 민원 플랫폼을 제시했다. ‘구석구석 주민이 만족하는 생활형 지방혁신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주민 일상을 편리하게!’라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순천 도시첨단산단 조성 마무리 박차! 활성화 협의체 운영 가동
순천시가 공모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시행하고 있는 첨단·지식산업기반 직장, 주거, 문화생활이 가능한 직주락(職住樂) 산단인 『순천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이 2017년부터 시작하여 현재 공정률 85%로 금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이에 따라 순천시는 준공시기에 맞춰 고품격 산단 환경 조성을 위해 사전에촘촘히 점검하여 미비점에 대한 원스톱 해결을 위한 순천도시첨단산업단지 활성화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한다.협의회는 순천시 신성장산업과장을 단장으로 순천경찰서, 전남도시가스, 한국토지주택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분야별 실무팀장으로 도로, 도시가스, 하수도, 교통 등 12개분야 2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월 셋째주 정기회를 개최하고 현안이 있을 경우 수시로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첫 회의는 지난 23일 개최했으며 총 8건의 현안사항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여 2건에 대하여는 현장에서 해결하고 6건에 대하여는 다음 회의(8. 13.)까지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첫 회의를 마쳤다.시 관계자는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지식 산업, 문화 산업, 정보 통신 산업, 그 밖의 첨단 산업의 육성과 개발 촉진이 가능한 산단으로 순천 산업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