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418톤 감량 목표
녹색장터, 벼룩시장 활성화로 물건 재사용 독려
생활쓰레기 감량 위한 기간제근로자 10명 채용
불법 무단투기 쓰레기 ‘엄중 단속’ 이어가
사업장폐기물에 대한 관리 강화…자가처리 유도
지난 1994년보다도 무더운 여름을 지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구촌 기온 상승의 원인을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본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는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나 일반인들은 폐기물을 분리 배출하는 것만으로도 적잖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용산구(구청장 성장현)가 폐기물 분리배출과 재활용을 통한 생활쓰레기 10% 감량에 총력을 기울인다.

지난해 용산구의 폐기물 발생량은 75,552톤으로 이 중 재활용품과 음식물을 제외한 생활폐기물은 34,181톤이다. 구는 올해 생활폐기물 감량 목표를 3,418톤으로 정했다.
생활쓰레기 감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는데 첫째는 물건의 재사용이다.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만들지 않는 게 우선이지만 일단 만들어진 제품은 오래 쓰고 볼 일이다. 구는 지역 내 녹색장터와 벼룩시장을 활성화해서 구민들이 물건을 재사용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구는 종이, 스티로폼, 폐비닐 등 제품 원료를 회수하는 재활용 선별장도 1곳 운영한다구 전체 폐기물의 20% 정도가 선별장에서 걸러져 자원으로 재활용된다. 구는 지난 3월 선별업체를 새로 선정해 선별장 운영을 위탁했다.
자체적으로 재활용하지 못한 폐기물은 대부분 마포자원회수시설에서 소각 처리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지역의 2만여 가구에 온수 및 난방열로 공급되고 있다. 구에서 폐기물 감량목표를 달성하면 반입 수수료가 감면된다.
구는 지난달 각 동별로 마포자원회수시설 주민 견학을 실시했다. 견학에 참여한 김연호(가명)씨는 “일일 처리용량도 한계가 있고 음식물이 섞이면 불완전연소 같은 문제가 생기더라”며 “쓰레기 감량과 분리 배출에 좀 더 신경 써야겠다”고 말했다.
구는 지난 5월 주민들의 생활쓰레기 배출을 지도·단속하고 1회용품 사용 자제를 독려하는 기간제 근로자 10명을 채용했다. 이들은 오는 10월까지 이태원 등 상가와 주택, 사업장을 돌며 계도 활동을 펼친다.
마구 버려지는 불법 무단투기 쓰레기는 엄중 단속한다. 구는 지난 4월 ‘쓰레기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후 석 달간 무단투기, 시간외배출 등 463건을 단속해 과태료 2,728만원을 부과했다. 이달에도 ‘무관용’ 원칙으로 단속을 이어가고 있다.
용산구 생활쓰레기의 13%를 차지하는 사업장폐기물에 대한 관리도 강화한다. 폐기물관리법상 1일 300kg이상 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자는 폐기물을 스스로 처리해야 한다. 구는 사업장별 10% 감량의무를 부여해 자원회수시설 반입을 제한하고 자가 처리를 유도한다.
성장현 구청장은 “최근 무더위로 지구온난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며 “온실가스를 줄이고 소중한 환경을 살릴 수 있도록 물건 재사용과 폐기물 분리배출에 모든 구민들이 적극 동참해 주기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