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産銀, 인도 최대 은행 SBI와 MOU 체결로 해외진출 가속화

SBI 內 Korea Desk 신설로 인도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산업은행(회장 이동걸)은 10일(수) 인도 뭄바이에서, 인도 진출 교두보 확보를 위해 인도 정부 소유 최대 상업은행인 State Bank of India (SBI)와 Korea Desk 설치 등 상호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MOU 체결을 통해 SBI 內 Korea Desk 설치를 비롯하여 신디케이티드론, PF, 무역금융 및 파생상품 등의 업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SBI는 2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인도 최대 은행으로서, 신디케이티드론 주선 10년(’06~‘15년) 연속 인도 1위, ’15년 PF 주선 세계 4위(인도 1위)를 기록하는 등 인도 금융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 2위의 인구, 구매력 기준 세계 3위의 거대한 내수시장을 가진 서남아 경제권 대표국가로 ‘10년 우리나라와 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체결 후 우리나라의 5위 수출시장으로 부상하는 등, 우리나라 기업들의 진출 및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국가임

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SBI 內 Korea Desk 개설을 통해 인도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 인도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대한 지원과 현지 우량기업과의 거래 등을 확대함으로써 Asia 성장지역 CIB (Corporate & Investment Banking) 벨트내에 Global Network를 확충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금년(‘16년) 국내기업의 해외 수주 지원자금으로 17억불을 지원키로 하는 등 이동걸 회장 취임 이후 해외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번 인도 SBI 內 Korea Desk 설치 또한 이동걸 회장의 ‘Global KDB’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한편, 산업은행은 최근 어려운 국제금융환경 속에서도 적극적인 해외영업을 통해, 국외점포에서 금년(‘16년) 상반기 중 70백만불의 수익(전년 동기 실적 33백만불)을 올리는 등 양호한 해외사업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참고] 산업은행 국외 점포 현황
    
구      분
진출 지역
지점(9개)
뉴욕, 런던, 토쿄, 싱가폴,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양, 칭다오
현지법인(5개)
홍콩, 유럽(헝가리), 우즈벡, 아일랜드, 브라질
사무소(8개)
프랑크푸르트, 모스크바, 아부다비, 호치민, 양곤, 방콕, 마닐라, 시드니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