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획이슈

도, 보도 위 장애물‘부적합 볼라드’26,319개 정비완료


도, 안전한 보행환경 위해 볼라든 전수조사 후 26,319개 정비조치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전수조사. 올해 6월 전원 정비 완료 
그간 일부 비규격 볼라드가 오히려 보행자 통행에 지장을 초래
충격 완화할 수 없는 재료 사용, 기준보다 낮은 높이 등
향후 지속적인 정비 점검을 통해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에 기여

경기도가 보행자 안전사고 유발 위험이 있는 도내 ‘부적합 볼라드’ 26,319개에 대한 정비조치를 올해 6월까지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볼라드(bollard)’란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법’에 따라 보행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 및 차량 진출입로 주변 등 보도 내에 차량진입을 막고자 해당 시·군이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문제는 볼라드 중 일부가 규격에 맞지 않아 오히려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현행 기준에 따르면, 볼라드는 높이 80cm~100cm, 지름 10cm~20cm로 쉽게 식별이 가능하고 저속차량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밝은 색 도료를 사용해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디자인이나 설치의 용이성을 이유로 충격 완화효과가 적은 화강석이나 철재를 사용하거나, 높이가 낮은 비규격 볼라드를 설치해 보행자가 이를 발견하지 못하고 걸려 넘어지는 등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왔다.

특히, 경기도에서는 보행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지난 2011년부터 비규격 볼라드를 개선토록 도내 각 시·군에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으며, 2015년 행자부 특정감사(감사관 임양기)에서 규격미달 볼라드로 인한 보행자의 안전사고 발생으로 각 도로관리청의 불필요한 재정손실 발생을 지적받는 등 부적합 볼라드에 대한 조치가 요구된 바 있었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도내 설치된 볼라드에 대한 전수조사를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실시해, 전체 106,030개 중 26,319개의 부적합 볼라드를 찾아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31개 시군에 철거 및 교체를 요구해, 올해 6월 22일 군포시를 마지막으로 전원 교체 및 철거 조치를 완료했다.  
임창완 도 건설안전과장은 “이번 부적합 볼라드 정비로 도민의 안전한 보행환경 제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설치되는 시설물에 대해서도 철저한 관리감독을 통해 안전한 보행에 지장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면서, “보도는 보행자를 위한 공간이므로 보도 내 불법 주정차를 삼가줄 것”을 당부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이동환 고양시장, ‘중부대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 참석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지난 29일 중부대학교에서 개최된 ‘중부대학교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에 참석해 대학지원체계 협력을 본격화했다. 이번 발대식은 경기도 공모사업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중부대학교가 최종 선정된 것을 기념하고, 고양시와 대학, 산업체, 지역기관이 함께 교육혁신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부대학교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경기도로부터 매년 20억 원씩 5년간 100억 원을 지원받고 시에서도 행·재정적 지원을 받는다. 이를 기반으로 중부대학교는 고양시, 산업계와 협력해 실무형 인재 양성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중부대 라이즈 사업을 통해 ▲첨단 미디어콘텐츠·AI 기반 창의융합 인재 양성 ▲전공 연계 창업 지원 ▲지역 현안 해결형 협력 프로젝트 ▲평생교육 및 교육연계 모델 개발 등을 대학과 협력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중부대 라이즈 사업은 고양시 미래 전략 산업과 직결돼 있으며, 대학과 지역이 함께 발전하는 산학협력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며 “고양시는 다른 대학과도 긴밀히 협력해 학생부터 청년, 중장년까지 모든 세대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교육·산업 혁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