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SRT개통, 경기도민 통행시간 부산역까지 24분, 광주역까지 26분 단축 효과

국내 최초 민간운영 수서발 고속전용선 SRT, 수도권 내 고속철도역 접근성 향상 도모
서울 동부·경기 남동부 지역, SRT 개통으로 고속철도역으로의 이동시간 단축↑
경기도 주도하에 SRT 경기북부 연장방안, 역세권 개발전략·연계교통체계 마련해야

지난 12월 19일 수서발 고속열차인 SRT(Super Rapid Train) 개통에 따라 경기도 주도하에 SRT 경기북부 연장방안과 역세권 개발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경기연구원은 SRT 개통의 효과를 분석하고, 경기도 대응방안을 제안한 ‘새로운 고속철도, SRT 개통 효과 및 과제’ 보고서를 발간했다. 

SRT는 수서~평택 고속선로를 경유하여 경부선과 호남선을 운행하는 수도권 고속전용선으로, 저렴한 요금, 빠른 속도, 넓은 실내좌석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고서는 SRT 개통에 따른 가장 큰 변화로 ‘고속철도역으로의 접근시간 단축’을 꼽았다. 수도권 내에서 고속철도역으로의 접근시간을 비교한 결과, 대중교통 이용 시 서울 7.8%(37.9분→35.0분), 경기 11.5%(88.7분→78.5분), 승용차 이용 시 서울 13.3%(25.3분→22.0분), 경기 27.4%(57.1분→41.1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SRT 개통으로 수도권과 지역 간 통행시간이 서울~부산 간 8분, 서울~광주 간 10분이 단축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역까지의 접근시간 16분을 감안한다면, 경기도민의 통행시간은 부산역까지 최대 24분(15%), 광주역까지 최대 26분(22%)이 단축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수도권 읍면동에서 고속철도역으로의 접근이 크게 개선된 SRT개통 수혜지역으로 서울 동부지역과 경기 남동부 지역으로 분석했다.
김채만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SRT 개통으로 인한 경기도의 대응 방안으로 ▲SRT 경기북부 연장방안 마련 ▲동탄역·지제역 중심의 역세권 개발전략 수립 ▲SRT역 연계교통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지난 60년간 국가안보를 위해 규제를 받아온 경기 북부지역의 보상과 한국형 고속철도의 시장한계 극복, 통일 대비를 위해  SRT의 경기북부 연장이 필요하다”며 경기도 주도하에 SRT 경기북부 연장방안을 마련하여 중앙정부에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SRT 역세권인 동탄역과 지제역 주변지역 개발에 경기도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 예로 2016년 준공한 동대구역의 경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동대구역을 복합환승센터로 지정하여 버스터미널, 전철역, 시내버스정류장을 유치했으며, 백화점과 같은 민간자본으로 건설했다.

김 연구위원은 동탄역세권은 의료산업 및 국제회의(MICE) 기능, 지제역세권은 국제유통 및 상업기능이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2개 지역에 관한 종합적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SRT역 연계교통체계는 고속철도 역사의 이용권역이 광역적이기 때문에 시·군이 수립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경기도가 SRT 연계교통체계 수립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제언했다.

한편 개통한 지 3개월이 되어가는 현재 SRT 이용승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SRT의 경제적 수혜를 위해 중앙정부와 민간의 지원이 적극적인 상황이다. 국토교통부는 수서역과 연계한 교통체계를 마련하고 있으며, 수서역 인접 대학병원들은 전용 셔틀버스를 운행 중에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딸기가 지하보도에서 자란다고?… 고양시, 스마트팜 도시 선언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도심형·농촌형 스마트팜을 병행 추진하는 농업 혁신 전략을 입체적으로 펼치고 있다. 전국 최초로 지하보도에 수직형 딸기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자동화 온실과 스마트팜 보급 확대에도 집중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지난 2일 도심형 스마트팜 4곳을 차례로 방문해 다양한 기술 기반 농업 모델을 점검하고 스마트농업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도 민간 기술과 현장 경험이 결합된 스마트팜을 적극 도입하고, 지하보도 스마트팜 등 도시 인프라를 활용해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시민친화공간을 조성하겠다”며 “나아가 도시계획 관점으로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미래 농업 기반을 마련하고 수도권 스마트농업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지하보도 딸기는 어떤 맛일까… 고양시, ‘도심형 스마트팜’ 실험 첫선 고양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보도를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했다. 민간기업 ㈜착한농부의 전액 투자(5억 원)로 238㎡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 설치를 마치고 지난 15일에 딸기 모종 3,420주를 심었다. 이 스마트팜은 이용률이 줄어든 도로 시설 지하보도를 활용한 전국 첫 사례로, 적법성과 안전성 등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김동연 “‘겜기도’로서 게임산업 본산 되도록 각종 지원 아끼지 않겠다” - 22일 ‘2025 플레이엑스포’ 개막
수도권 최대 융·복합 게임쇼 ‘2025 플레이엑스포(PlayX4)’가 22일 막을 올렸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경기콘텐츠진흥원과 킨텍스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25일까지 나흘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막식에서 “저는 어렸을 때 ‘도가 넘치게’ 만화를 좋아했다. 중학교 때는 소설을, 고등학교 때는 스포츠를 좋아했고 성인이 되어서는 영화를 좋아한다”며 “제가 좋아했던 만화, 소설, 스포츠, 영화, 이런 것들의 공통점은 하나는 상상력, 두 번째는 스토리텔링인 것 같다. 오랫동안 공직에 있으면서도 상상력을 많이 가지려고 애를 썼던 그 원천은 거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상력과 스토리텔링에 체험을 더한 게임은 우리의 자산이자 보물 같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이어 “경기도를 겜기도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한다. 그만큼 경기도가 대한민국 게임산업과 체험의 중심이기 때문”이라며 “이제 게임은 즐기는 것을 넘어서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로 성장하고 있다. 경기도가 겜기도로서 게임산업의 본산이 되도록 각종 지원과 역할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전시장을 관람하며 경기게임마이스터고의 고등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