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 연 평균 5.7% 증가...평균속도 86km/h

‣ 道公, 이동성․정시성 등 고속도로 교통운영 지표 발표


고속도로 이용 차량대수와 주행거리 지속 증가하지만 주요 도시 간 소요시간은 감소
2015년 ‘여객지표’와 ‘물류지표’는 전년보다 각 7.1%와 7.4%가 증가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이동거리인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가 연 평균 5.7% 증가했다. 통행속도도 꾸준히 증가해 2015년 평균 통행속도는 86km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공사(사장 김학송)는 고속도로 교통개선 방향 설정을 위해 총 주행거리,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 이동성․정시성 등 교통운영에 관한 지표를 산출해 발표했다.

먼저, 고속도로 이용 차량대수와 주행거리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주행거리’는 2015년 74,660백만대-km로 2011년 59,918백만대-km에 비해 24.6%(연 평균 5.7%)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서울~부산 간 통행시간이 5시간 

고속도로 총 주행거리 :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이동거리를 합산(단위 : '대-km')
13분에서 4시간 51분으로 22분, 서울~광주간은 3시간 58분에서 3시간 40분으로 18분 줄어드는 등 주요 도시 간 소요시간은 줄어들었다.

한국도로공사 운영 고속도로 연장 : 3,622km(2011년)→3,872km(2015년)
전체 고속도로 이용자의 총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여객지표’,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화물물동량의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물류지표’도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여객지표’와 ‘물류지표’는 전년보다 각 7.1%와 7.4%가 증가했다. 
    
고속도로의 통행속도도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정시성의 경우 수도권, 충청권, 강원권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속도로를 이용한 모든 차량의 평균 주행속도는 2013년 83.32km/h에서 2015년 86km/h로 3.2% 높아졌으며, 고속도로 이용차량 중 평균 80km/h로 주행한 차량의 비율도 2014년 67.7%에서 2015년 69.8%로 증가했다.

수도권 고속도로는 전체 차량 중 통행시간이 오래 걸린 상위 5%의 경우 평균 통행시간의 1.84배가 소요된 것으로 나타나 정시성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국토면적당 고속도로 연장은 OECD 33개국 중 5위로, 국토계수당 고속도로 연장*은 14위로, 국토자동차계수당 고속도로 연장*은 12위로 조사됐다.
    * 국토계수 = ,   * 국토자동차계수 =  
박신 한국도로공사 경영전략연구실장은 “앞으로 고속도로 정체구간 해소를 위해 확장, 신설 등을 통한 고속도로 용량을 증대함은 물론, 인터넷(로드플러스), 스마트폰(고속도로교통정보) 등을 통해 더 다양한 교통정보를 제공해 국민 불편을 해소해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